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서울시, 바이오메디컬 펀드 2천 억 원 조성
입력 2010.05.25 (11:13) 사회
서울시의 차세대 성장동력인 바이오 메디컬산업 육성을 위해 2천억 원 규모의 펀드가 조성됩니다.
서울시가 6백억 원을 종자돈으로 출자하고 공공자금과 민간자금 천4백억 원을 유치하기로 했습니다.
조성된 펀드는 바이오 제약과 의료기기 등 유망 중소벤처 기업과 '마곡 바이오클러스터'에 입주하는 국내외기업에 집중 투자됩니다.
바이오산업은 고부가가치, 고성장산업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막대한 투자비용과 고위험으로 민간투자가 부족한 실정입니다.
서울시가 6백억 원을 종자돈으로 출자하고 공공자금과 민간자금 천4백억 원을 유치하기로 했습니다.
조성된 펀드는 바이오 제약과 의료기기 등 유망 중소벤처 기업과 '마곡 바이오클러스터'에 입주하는 국내외기업에 집중 투자됩니다.
바이오산업은 고부가가치, 고성장산업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막대한 투자비용과 고위험으로 민간투자가 부족한 실정입니다.
- 서울시, 바이오메디컬 펀드 2천 억 원 조성
-
- 입력 2010-05-25 11:13:37
서울시의 차세대 성장동력인 바이오 메디컬산업 육성을 위해 2천억 원 규모의 펀드가 조성됩니다.
서울시가 6백억 원을 종자돈으로 출자하고 공공자금과 민간자금 천4백억 원을 유치하기로 했습니다.
조성된 펀드는 바이오 제약과 의료기기 등 유망 중소벤처 기업과 '마곡 바이오클러스터'에 입주하는 국내외기업에 집중 투자됩니다.
바이오산업은 고부가가치, 고성장산업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막대한 투자비용과 고위험으로 민간투자가 부족한 실정입니다.
서울시가 6백억 원을 종자돈으로 출자하고 공공자금과 민간자금 천4백억 원을 유치하기로 했습니다.
조성된 펀드는 바이오 제약과 의료기기 등 유망 중소벤처 기업과 '마곡 바이오클러스터'에 입주하는 국내외기업에 집중 투자됩니다.
바이오산업은 고부가가치, 고성장산업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막대한 투자비용과 고위험으로 민간투자가 부족한 실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 기자 정보
-
-
오종우 기자 helpbell@kbs.co.kr
오종우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