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멘트>
KBS의 지방선거 후보 매니페스토 검증, 오늘은 인천시장 후보들입니다.
소속 정당과 정책 연계성이 높아서, 정당 대결 양상이 뚜렷합니다.
김병용 기자입니다.
<리포트>
먼저, 일자리 대책입니다.
안상수 후보는 5개 척도 가운데 정책 연계성이, 송영길 후보는 유권자 요구 척도가 상대적 강세였습니다.
안 후보는 신규 일자리와 공공부문, 구직자 취업 대책 공약이, 송 후보는 사회적 일자리와 소상공인 보호 등이 평가를 받았습니다.
공교육 강화 방안은 송 후보가 교육지원예산 1조원, 무상급식 전면실시 공약으로 정책연계성, 유권자 요구, 비전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반면 안 후보는 특목고, 자사고 신설, 외국어 교육 등으로 효율성 척도가 상대적으로 높았습니다.
인천 최대 현안인 구도심 개발 문제.
현재 진행중인 사업 완료를 내세운 안 후보는 유권자 요구와 정책 연계성이, 송도재개발의 구도심 유치와 원주민 보상 우선을 내세운 송 후보는 비전과 정책 연계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김상하 후보는 각 현안마다 당의 정강정책을 잘 반영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인천시장 후보들의 공약은 전반적으로 정책연계성 척도가 높았습니다.
각 당이 집중하고 있는 정책을 최대한 반영했다는 얘기입니다.
<녹취>이현출(국회 입법조사처 정치의회팀장):"일자리와 공교육 등 현안을 놓고 각당과 후보간의 치열한 정책 대결과 공방이 예상된다고 볼 수 있다."
각 현안마다 후보들이 제시한 수단의 적정성은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평가됐습니다.
KBS 뉴스 김병용입니다.
KBS의 지방선거 후보 매니페스토 검증, 오늘은 인천시장 후보들입니다.
소속 정당과 정책 연계성이 높아서, 정당 대결 양상이 뚜렷합니다.
김병용 기자입니다.
<리포트>
먼저, 일자리 대책입니다.
안상수 후보는 5개 척도 가운데 정책 연계성이, 송영길 후보는 유권자 요구 척도가 상대적 강세였습니다.
안 후보는 신규 일자리와 공공부문, 구직자 취업 대책 공약이, 송 후보는 사회적 일자리와 소상공인 보호 등이 평가를 받았습니다.
공교육 강화 방안은 송 후보가 교육지원예산 1조원, 무상급식 전면실시 공약으로 정책연계성, 유권자 요구, 비전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반면 안 후보는 특목고, 자사고 신설, 외국어 교육 등으로 효율성 척도가 상대적으로 높았습니다.
인천 최대 현안인 구도심 개발 문제.
현재 진행중인 사업 완료를 내세운 안 후보는 유권자 요구와 정책 연계성이, 송도재개발의 구도심 유치와 원주민 보상 우선을 내세운 송 후보는 비전과 정책 연계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김상하 후보는 각 현안마다 당의 정강정책을 잘 반영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인천시장 후보들의 공약은 전반적으로 정책연계성 척도가 높았습니다.
각 당이 집중하고 있는 정책을 최대한 반영했다는 얘기입니다.
<녹취>이현출(국회 입법조사처 정치의회팀장):"일자리와 공교육 등 현안을 놓고 각당과 후보간의 치열한 정책 대결과 공방이 예상된다고 볼 수 있다."
각 현안마다 후보들이 제시한 수단의 적정성은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평가됐습니다.
KBS 뉴스 김병용입니다.
- [매니페스토 검증] 인천시장, 정당간 대결 양상 뚜렷
-
- 입력 2010-05-26 22:10:34

<앵커 멘트>
KBS의 지방선거 후보 매니페스토 검증, 오늘은 인천시장 후보들입니다.
소속 정당과 정책 연계성이 높아서, 정당 대결 양상이 뚜렷합니다.
김병용 기자입니다.
<리포트>
먼저, 일자리 대책입니다.
안상수 후보는 5개 척도 가운데 정책 연계성이, 송영길 후보는 유권자 요구 척도가 상대적 강세였습니다.
안 후보는 신규 일자리와 공공부문, 구직자 취업 대책 공약이, 송 후보는 사회적 일자리와 소상공인 보호 등이 평가를 받았습니다.
공교육 강화 방안은 송 후보가 교육지원예산 1조원, 무상급식 전면실시 공약으로 정책연계성, 유권자 요구, 비전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반면 안 후보는 특목고, 자사고 신설, 외국어 교육 등으로 효율성 척도가 상대적으로 높았습니다.
인천 최대 현안인 구도심 개발 문제.
현재 진행중인 사업 완료를 내세운 안 후보는 유권자 요구와 정책 연계성이, 송도재개발의 구도심 유치와 원주민 보상 우선을 내세운 송 후보는 비전과 정책 연계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김상하 후보는 각 현안마다 당의 정강정책을 잘 반영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인천시장 후보들의 공약은 전반적으로 정책연계성 척도가 높았습니다.
각 당이 집중하고 있는 정책을 최대한 반영했다는 얘기입니다.
<녹취>이현출(국회 입법조사처 정치의회팀장):"일자리와 공교육 등 현안을 놓고 각당과 후보간의 치열한 정책 대결과 공방이 예상된다고 볼 수 있다."
각 현안마다 후보들이 제시한 수단의 적정성은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평가됐습니다.
KBS 뉴스 김병용입니다.
KBS의 지방선거 후보 매니페스토 검증, 오늘은 인천시장 후보들입니다.
소속 정당과 정책 연계성이 높아서, 정당 대결 양상이 뚜렷합니다.
김병용 기자입니다.
<리포트>
먼저, 일자리 대책입니다.
안상수 후보는 5개 척도 가운데 정책 연계성이, 송영길 후보는 유권자 요구 척도가 상대적 강세였습니다.
안 후보는 신규 일자리와 공공부문, 구직자 취업 대책 공약이, 송 후보는 사회적 일자리와 소상공인 보호 등이 평가를 받았습니다.
공교육 강화 방안은 송 후보가 교육지원예산 1조원, 무상급식 전면실시 공약으로 정책연계성, 유권자 요구, 비전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반면 안 후보는 특목고, 자사고 신설, 외국어 교육 등으로 효율성 척도가 상대적으로 높았습니다.
인천 최대 현안인 구도심 개발 문제.
현재 진행중인 사업 완료를 내세운 안 후보는 유권자 요구와 정책 연계성이, 송도재개발의 구도심 유치와 원주민 보상 우선을 내세운 송 후보는 비전과 정책 연계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김상하 후보는 각 현안마다 당의 정강정책을 잘 반영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인천시장 후보들의 공약은 전반적으로 정책연계성 척도가 높았습니다.
각 당이 집중하고 있는 정책을 최대한 반영했다는 얘기입니다.
<녹취>이현출(국회 입법조사처 정치의회팀장):"일자리와 공교육 등 현안을 놓고 각당과 후보간의 치열한 정책 대결과 공방이 예상된다고 볼 수 있다."
각 현안마다 후보들이 제시한 수단의 적정성은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평가됐습니다.
KBS 뉴스 김병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