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옛 기무사터에서 종친부 기반 흔적 발견
입력 2010.06.03 (17:44) 문화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건립이 예정된 옛 기무사 터에서 조선시대 종친부의 핵심 건물인 경근당과 옥척당, 이승당 등의 기반 흔적으로 추정되는 유구가 발견됐습니다.
매장 문화재 전문조사기관인 한강문화재연구원이 지난 3월부터 정밀 발굴조사를 한 결과, 종친부 핵심 건물인 경근당과 옥척당, 이승당 등이 있던 자리에서 초석렬과 다짐층, 월대 등 기반 흔적이 거의 온전한 형태로 발견됐습니다.
이번에 발굴된 유구가 종친부의 흔적인지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발견 위치 등으로 미뤄볼 때 종친부 건물의 유구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종친부는 조선 초기 왕실 종친들을 예우하기 위해 설치한 기관으로, 대원군의 주도로 중건된 건물이 신군부 시절 현재의 정독도서관 경내로 옮겨졌습니다.
매장 문화재 전문조사기관인 한강문화재연구원이 지난 3월부터 정밀 발굴조사를 한 결과, 종친부 핵심 건물인 경근당과 옥척당, 이승당 등이 있던 자리에서 초석렬과 다짐층, 월대 등 기반 흔적이 거의 온전한 형태로 발견됐습니다.
이번에 발굴된 유구가 종친부의 흔적인지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발견 위치 등으로 미뤄볼 때 종친부 건물의 유구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종친부는 조선 초기 왕실 종친들을 예우하기 위해 설치한 기관으로, 대원군의 주도로 중건된 건물이 신군부 시절 현재의 정독도서관 경내로 옮겨졌습니다.
- 옛 기무사터에서 종친부 기반 흔적 발견
-
- 입력 2010-06-03 17:44:58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건립이 예정된 옛 기무사 터에서 조선시대 종친부의 핵심 건물인 경근당과 옥척당, 이승당 등의 기반 흔적으로 추정되는 유구가 발견됐습니다.
매장 문화재 전문조사기관인 한강문화재연구원이 지난 3월부터 정밀 발굴조사를 한 결과, 종친부 핵심 건물인 경근당과 옥척당, 이승당 등이 있던 자리에서 초석렬과 다짐층, 월대 등 기반 흔적이 거의 온전한 형태로 발견됐습니다.
이번에 발굴된 유구가 종친부의 흔적인지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발견 위치 등으로 미뤄볼 때 종친부 건물의 유구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종친부는 조선 초기 왕실 종친들을 예우하기 위해 설치한 기관으로, 대원군의 주도로 중건된 건물이 신군부 시절 현재의 정독도서관 경내로 옮겨졌습니다.
매장 문화재 전문조사기관인 한강문화재연구원이 지난 3월부터 정밀 발굴조사를 한 결과, 종친부 핵심 건물인 경근당과 옥척당, 이승당 등이 있던 자리에서 초석렬과 다짐층, 월대 등 기반 흔적이 거의 온전한 형태로 발견됐습니다.
이번에 발굴된 유구가 종친부의 흔적인지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발견 위치 등으로 미뤄볼 때 종친부 건물의 유구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종친부는 조선 초기 왕실 종친들을 예우하기 위해 설치한 기관으로, 대원군의 주도로 중건된 건물이 신군부 시절 현재의 정독도서관 경내로 옮겨졌습니다.
- 기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