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픈 기억 지워주는 약 발견

입력 2010.06.04 (15:49) 수정 2010.06.04 (16: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만간 실연의 상처나 사고로 인한 정신적 충격을 약 한알로 지울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일간 데일리메일 인터넷판이 4일 보도했다.



영국 국립보건원(NIMH)이 지원한 최근 연구에서 과학자들은 안전한 느낌을 주는 것에 의해서 나쁜 기억들로 인한 고통을 잠재우는 것을 돕는 약을 발견했다.



이러한 방법으로 언젠가는 공포증 환자들을 치료하고 병사들을 전투의 무서운 기억에서 벗어나게 하며 사고 피해자들의 정신적 충격을 완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과학자들은 기대했다.



이 약의 효과를 시험하기 위해 연구팀은 쥐들에게 큰 소음이 들리는 동안 전기 충격을 가함으로써 나쁜 기억을 만들어냈다. 수차례 반복을 거쳐 쥐들은 소음과 전기 충격을 연결하게 됐고 소음만 들어도 얼어붙었다.



그러나 ’신경영양인자(BDNF)’라는 약을 투여하자 쥐들에게 공포가 사라졌다.



이 약의 효과는 ’소멸 훈련(extinction training)’이라는 심리학적 기술과 비슷하다.



소멸 훈련은 공포증 환자들을 공포를 일으키는 대상에 반복적으로 노출시켜 그 대상에 둔감하게 하는 방법이다.



이번 연구에서 연구팀은 소멸 훈련에서와 마찬가지로 이 약은 나쁜 기억을 완전히 지우지는 않고 안전감과 확신감을 주어 보다 쉽게 나쁜 기억에 대처하도록 한다고 보고 있다.



연구팀은 이 약이 공포증을 다루는데 중요한 뇌의 특정 지점의 세포들간 연결을 강화하는 것에 의해 이러한 작용을 한다고 생각한다.



BDNF는 뇌에서 자연적으로 생산되는 물질로 실험에서 BDNF가 부족한 쥐들은 나쁜 기억을 덮어써서 지우기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공포를 덮어쓸 수 없을 경우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등 심리학적 문제들이 나타난다.



프로작도 BDNF 수준을 높이지만 연구팀은 공포를 다룰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인 약들이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NIMH의 토머스 인셀 박사는 "이번 연구결과는 BDNF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약이 개발돼 약으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나 기타 불안 장애를 치료할 기회가 생길 수 있다는 생각을 뒷받침한다"라고 말했다.



뇌에서 BDNF 수준을 높이는 약은 중독 치료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약으로 고통스러운 기억을 지운다는 생각은 수십년간 과학소설이나 할리우드 영화의 소재가 되어왔다.



케이트 윈슬렛과 짐 캐리 주연의 영화 ’이터널 선샤인’에는 관계가 소원해진 연인이 서로에 대한 모든 기억을 지워버리는 장면이 나온다.



이번 연구는 ’사이언스’ 최신호에 실렸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아픈 기억 지워주는 약 발견
    • 입력 2010-06-04 15:49:27
    • 수정2010-06-04 16:09:22
    연합뉴스
조만간 실연의 상처나 사고로 인한 정신적 충격을 약 한알로 지울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일간 데일리메일 인터넷판이 4일 보도했다.

영국 국립보건원(NIMH)이 지원한 최근 연구에서 과학자들은 안전한 느낌을 주는 것에 의해서 나쁜 기억들로 인한 고통을 잠재우는 것을 돕는 약을 발견했다.

이러한 방법으로 언젠가는 공포증 환자들을 치료하고 병사들을 전투의 무서운 기억에서 벗어나게 하며 사고 피해자들의 정신적 충격을 완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과학자들은 기대했다.

이 약의 효과를 시험하기 위해 연구팀은 쥐들에게 큰 소음이 들리는 동안 전기 충격을 가함으로써 나쁜 기억을 만들어냈다. 수차례 반복을 거쳐 쥐들은 소음과 전기 충격을 연결하게 됐고 소음만 들어도 얼어붙었다.

그러나 ’신경영양인자(BDNF)’라는 약을 투여하자 쥐들에게 공포가 사라졌다.

이 약의 효과는 ’소멸 훈련(extinction training)’이라는 심리학적 기술과 비슷하다.

소멸 훈련은 공포증 환자들을 공포를 일으키는 대상에 반복적으로 노출시켜 그 대상에 둔감하게 하는 방법이다.

이번 연구에서 연구팀은 소멸 훈련에서와 마찬가지로 이 약은 나쁜 기억을 완전히 지우지는 않고 안전감과 확신감을 주어 보다 쉽게 나쁜 기억에 대처하도록 한다고 보고 있다.

연구팀은 이 약이 공포증을 다루는데 중요한 뇌의 특정 지점의 세포들간 연결을 강화하는 것에 의해 이러한 작용을 한다고 생각한다.

BDNF는 뇌에서 자연적으로 생산되는 물질로 실험에서 BDNF가 부족한 쥐들은 나쁜 기억을 덮어써서 지우기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공포를 덮어쓸 수 없을 경우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등 심리학적 문제들이 나타난다.

프로작도 BDNF 수준을 높이지만 연구팀은 공포를 다룰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인 약들이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NIMH의 토머스 인셀 박사는 "이번 연구결과는 BDNF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약이 개발돼 약으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나 기타 불안 장애를 치료할 기회가 생길 수 있다는 생각을 뒷받침한다"라고 말했다.

뇌에서 BDNF 수준을 높이는 약은 중독 치료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약으로 고통스러운 기억을 지운다는 생각은 수십년간 과학소설이나 할리우드 영화의 소재가 되어왔다.

케이트 윈슬렛과 짐 캐리 주연의 영화 ’이터널 선샤인’에는 관계가 소원해진 연인이 서로에 대한 모든 기억을 지워버리는 장면이 나온다.

이번 연구는 ’사이언스’ 최신호에 실렸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