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담합 최다 벌금 10대 기업에 한국 4곳”
입력 2010.06.10 (06:05)
수정 2010.06.10 (09: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격담함 등 국제카르텔 행위로 미국에 수천억원 이상 과징금을 낸 `세계 10대 기업' 가운데 한국기업이 4곳이나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개 한국기업은 해당 분야에서 세계 최고수준의 기술력을 자랑하는 곳으로 이들이 미국에 낸 과징금만도 약 1조6천억원에 달한다.
또 우리나라 기업이 미국, 유럽연합(EU), 캐나다, 일본 등 주요 수출상대국 경쟁당국으로부터 담합 등 혐의로 부과받은 과징금은 모두 2조원을 넘어섰다.
10일 공정거래위원회가 집계한 `전세계 국제카르텔 벌금 순위 현황'에 따르면 미국이 국제카르텔에 대한 단속을 강화한 지난 99년 이후 최다 과징금을 물은 `세계 10대 기업' 가운데 한국기업은 LG디스플레이(2위), 대한항공(4위), 삼성전자(6위), 하이닉스반도체(8위) 등 4곳이다.
가장 많은 벌금을 낸 곳은 스위스 국적 `호프만 라로슈'로 지난 99년 비타민 가격담합 혐의로 5억달러를 물었다. 이어 LG디스플레이가 지난해 TFT-LCD(초박막액정표시장치) 패널 가격담합으로 무려 4억달러의 벌금을 내 2위를 차지했다.
이어 프랑스와 네덜란드 국적의 에어프랑스와 KLM이 화물운송료 담합으로 3위(3억5천만달러)를 차지했고, 대한항공이 화물.여객 운송료 담합으로 4위(3억달러)에 올랐다.
한국 대표기업인 삼성전자는 2006년 D램 가격담합으로 3억달러를 물면서 6위에 이름을 올렸고, 하이닉스반도체도 D램 가격담합 혐의로 2007년 1억8천500만달러를 물면서 8위로 기록됐다.
이밖에 외국 경쟁당국에 의한 한국기업 제재현황을 국가별로 보면 ▲미국은 8개 업체(제일제당.세원아메리카.대상저팬.하이닉스.삼성전자.대한항공.아시아나.LG디스플레이) 12억4천216만달러(한화 약 1조6천585억원) ▲유럽연합은 4개 업체(제일제당.대상.삼성전자.하이닉스) 2억1천932만유로(한화 약 3223억원) ▲캐나다는 1개 업체(제일제당) 17만5천캐나다달러(한화 약 1억9천440만원) ▲일본은 2개 업체(삼성SDI. LG디스플레이즈코리아) 15억2천500만엔(한화 약 201억원) 등으로 우리기업이 외국에 낸 전체 과징금은 모두 2조원을 넘어섰다.
공정위는 "유럽연합은 대부분 유로존(유로화를 사용하는 국가) 국가들을 대상으로 국제카르텔 혐의를 단속하고 있어 국내 업체의 피해가 크지 않은 편이나 미국은 주로 한국 등 주요수출국을 대상으로 엄격한 단속을 실시하고 있는 만큼 우리 기업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4개 한국기업은 해당 분야에서 세계 최고수준의 기술력을 자랑하는 곳으로 이들이 미국에 낸 과징금만도 약 1조6천억원에 달한다.
또 우리나라 기업이 미국, 유럽연합(EU), 캐나다, 일본 등 주요 수출상대국 경쟁당국으로부터 담합 등 혐의로 부과받은 과징금은 모두 2조원을 넘어섰다.
10일 공정거래위원회가 집계한 `전세계 국제카르텔 벌금 순위 현황'에 따르면 미국이 국제카르텔에 대한 단속을 강화한 지난 99년 이후 최다 과징금을 물은 `세계 10대 기업' 가운데 한국기업은 LG디스플레이(2위), 대한항공(4위), 삼성전자(6위), 하이닉스반도체(8위) 등 4곳이다.
가장 많은 벌금을 낸 곳은 스위스 국적 `호프만 라로슈'로 지난 99년 비타민 가격담합 혐의로 5억달러를 물었다. 이어 LG디스플레이가 지난해 TFT-LCD(초박막액정표시장치) 패널 가격담합으로 무려 4억달러의 벌금을 내 2위를 차지했다.
이어 프랑스와 네덜란드 국적의 에어프랑스와 KLM이 화물운송료 담합으로 3위(3억5천만달러)를 차지했고, 대한항공이 화물.여객 운송료 담합으로 4위(3억달러)에 올랐다.
한국 대표기업인 삼성전자는 2006년 D램 가격담합으로 3억달러를 물면서 6위에 이름을 올렸고, 하이닉스반도체도 D램 가격담합 혐의로 2007년 1억8천500만달러를 물면서 8위로 기록됐다.
이밖에 외국 경쟁당국에 의한 한국기업 제재현황을 국가별로 보면 ▲미국은 8개 업체(제일제당.세원아메리카.대상저팬.하이닉스.삼성전자.대한항공.아시아나.LG디스플레이) 12억4천216만달러(한화 약 1조6천585억원) ▲유럽연합은 4개 업체(제일제당.대상.삼성전자.하이닉스) 2억1천932만유로(한화 약 3223억원) ▲캐나다는 1개 업체(제일제당) 17만5천캐나다달러(한화 약 1억9천440만원) ▲일본은 2개 업체(삼성SDI. LG디스플레이즈코리아) 15억2천500만엔(한화 약 201억원) 등으로 우리기업이 외국에 낸 전체 과징금은 모두 2조원을 넘어섰다.
공정위는 "유럽연합은 대부분 유로존(유로화를 사용하는 국가) 국가들을 대상으로 국제카르텔 혐의를 단속하고 있어 국내 업체의 피해가 크지 않은 편이나 미국은 주로 한국 등 주요수출국을 대상으로 엄격한 단속을 실시하고 있는 만큼 우리 기업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제담합 최다 벌금 10대 기업에 한국 4곳”
-
- 입력 2010-06-10 06:05:19
- 수정2010-06-10 09:54:59
가격담함 등 국제카르텔 행위로 미국에 수천억원 이상 과징금을 낸 `세계 10대 기업' 가운데 한국기업이 4곳이나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개 한국기업은 해당 분야에서 세계 최고수준의 기술력을 자랑하는 곳으로 이들이 미국에 낸 과징금만도 약 1조6천억원에 달한다.
또 우리나라 기업이 미국, 유럽연합(EU), 캐나다, 일본 등 주요 수출상대국 경쟁당국으로부터 담합 등 혐의로 부과받은 과징금은 모두 2조원을 넘어섰다.
10일 공정거래위원회가 집계한 `전세계 국제카르텔 벌금 순위 현황'에 따르면 미국이 국제카르텔에 대한 단속을 강화한 지난 99년 이후 최다 과징금을 물은 `세계 10대 기업' 가운데 한국기업은 LG디스플레이(2위), 대한항공(4위), 삼성전자(6위), 하이닉스반도체(8위) 등 4곳이다.
가장 많은 벌금을 낸 곳은 스위스 국적 `호프만 라로슈'로 지난 99년 비타민 가격담합 혐의로 5억달러를 물었다. 이어 LG디스플레이가 지난해 TFT-LCD(초박막액정표시장치) 패널 가격담합으로 무려 4억달러의 벌금을 내 2위를 차지했다.
이어 프랑스와 네덜란드 국적의 에어프랑스와 KLM이 화물운송료 담합으로 3위(3억5천만달러)를 차지했고, 대한항공이 화물.여객 운송료 담합으로 4위(3억달러)에 올랐다.
한국 대표기업인 삼성전자는 2006년 D램 가격담합으로 3억달러를 물면서 6위에 이름을 올렸고, 하이닉스반도체도 D램 가격담합 혐의로 2007년 1억8천500만달러를 물면서 8위로 기록됐다.
이밖에 외국 경쟁당국에 의한 한국기업 제재현황을 국가별로 보면 ▲미국은 8개 업체(제일제당.세원아메리카.대상저팬.하이닉스.삼성전자.대한항공.아시아나.LG디스플레이) 12억4천216만달러(한화 약 1조6천585억원) ▲유럽연합은 4개 업체(제일제당.대상.삼성전자.하이닉스) 2억1천932만유로(한화 약 3223억원) ▲캐나다는 1개 업체(제일제당) 17만5천캐나다달러(한화 약 1억9천440만원) ▲일본은 2개 업체(삼성SDI. LG디스플레이즈코리아) 15억2천500만엔(한화 약 201억원) 등으로 우리기업이 외국에 낸 전체 과징금은 모두 2조원을 넘어섰다.
공정위는 "유럽연합은 대부분 유로존(유로화를 사용하는 국가) 국가들을 대상으로 국제카르텔 혐의를 단속하고 있어 국내 업체의 피해가 크지 않은 편이나 미국은 주로 한국 등 주요수출국을 대상으로 엄격한 단속을 실시하고 있는 만큼 우리 기업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