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수 “물가 압력 증대”…금리 인상 시사
입력 2010.06.10 (11:15)
수정 2010.06.10 (13: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은행이 물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가까운 장래에 기준금리를 올릴 수 있음을 시사했다. 그 시기는 이르면 8월로 예상된다.
김중수 한은 총재는 10일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 직후 기자회견을 갖고 "하반기에 물가 오름폭이 확대될 것"이라며 "통화정책은 우리 경제가 물가 안정의 기조 위에서 견조한 성장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운용하겠다"고 밝혔다.
금통위는 이날 기준금리를 연 2.0%로 16개월째 동결하고 발표한 통화정책 방향 결정문에서 "소비자물가는 석유류 가격을 중심으로 오름세가 소폭 확대됐고 앞으로 경기 상승세가 지속되면서 수요 압력이 점차 증대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김 총재는 이와 관련, "통화정책은 결코 실기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잘 이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경기 회복세로 소비가 늘어나고 하반기에 공공요금도 인상되면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질 것이라는 전망을 고려할 때 금리 인상 시기가 가까이 다가왔음을 내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작년 동월 대비)은 지난 3월 2.3%에서 4월 2.6%, 5월 2.7%로 높아진 가운데 5월 생산자물가는 4.6% 급등해 하반기 소비자물가를 끌어올 것으로 예상된다.
김 총재는 또 "5월 들어서도 수출이 호조를 보이고 고용사정도 민간을 중심으로 한층 회복되고 있으며 국내 경기의 상승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김 총재는 "해외 위험요인 등에 비춰 향후 성장 경로의 불확실성은 상존하고 있다"며 "일부 유럽 국가의 재정문제로 국제 금융시장 불안이 수시로 나타나 세계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한은은 유럽 재정위기의 사태 추이를 보면서 우리나라의 2분기 경제지표를 확인하고 이르면 8월이나 9월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은은 7월 12일을 전후해 올해 경제전망 수정치를 발표할 예정이다.
현대경제연구원 유병규 경제연구본부장은 "대외 경제의 불확실성이 어느 정도 해소되고 실물경기의 회복세가 이어진다는 판단을 할 때 금리 인상이 가능할 것"이라며 "3분기 말이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김 총재는 외환시장 안정책과 관련, "중앙은행 총재에게 위임된 외화대출 규제에 대해 면밀히 검토하고 있으며 멀지 않은 시간에 입장이 정리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중수 한은 총재는 10일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 직후 기자회견을 갖고 "하반기에 물가 오름폭이 확대될 것"이라며 "통화정책은 우리 경제가 물가 안정의 기조 위에서 견조한 성장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운용하겠다"고 밝혔다.
금통위는 이날 기준금리를 연 2.0%로 16개월째 동결하고 발표한 통화정책 방향 결정문에서 "소비자물가는 석유류 가격을 중심으로 오름세가 소폭 확대됐고 앞으로 경기 상승세가 지속되면서 수요 압력이 점차 증대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김 총재는 이와 관련, "통화정책은 결코 실기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잘 이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경기 회복세로 소비가 늘어나고 하반기에 공공요금도 인상되면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질 것이라는 전망을 고려할 때 금리 인상 시기가 가까이 다가왔음을 내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작년 동월 대비)은 지난 3월 2.3%에서 4월 2.6%, 5월 2.7%로 높아진 가운데 5월 생산자물가는 4.6% 급등해 하반기 소비자물가를 끌어올 것으로 예상된다.
김 총재는 또 "5월 들어서도 수출이 호조를 보이고 고용사정도 민간을 중심으로 한층 회복되고 있으며 국내 경기의 상승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김 총재는 "해외 위험요인 등에 비춰 향후 성장 경로의 불확실성은 상존하고 있다"며 "일부 유럽 국가의 재정문제로 국제 금융시장 불안이 수시로 나타나 세계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한은은 유럽 재정위기의 사태 추이를 보면서 우리나라의 2분기 경제지표를 확인하고 이르면 8월이나 9월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은은 7월 12일을 전후해 올해 경제전망 수정치를 발표할 예정이다.
현대경제연구원 유병규 경제연구본부장은 "대외 경제의 불확실성이 어느 정도 해소되고 실물경기의 회복세가 이어진다는 판단을 할 때 금리 인상이 가능할 것"이라며 "3분기 말이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김 총재는 외환시장 안정책과 관련, "중앙은행 총재에게 위임된 외화대출 규제에 대해 면밀히 검토하고 있으며 멀지 않은 시간에 입장이 정리될 것"이라고 말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김중수 “물가 압력 증대”…금리 인상 시사
-
- 입력 2010-06-10 11:15:18
- 수정2010-06-10 13:35:56
한국은행이 물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가까운 장래에 기준금리를 올릴 수 있음을 시사했다. 그 시기는 이르면 8월로 예상된다.
김중수 한은 총재는 10일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 직후 기자회견을 갖고 "하반기에 물가 오름폭이 확대될 것"이라며 "통화정책은 우리 경제가 물가 안정의 기조 위에서 견조한 성장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운용하겠다"고 밝혔다.
금통위는 이날 기준금리를 연 2.0%로 16개월째 동결하고 발표한 통화정책 방향 결정문에서 "소비자물가는 석유류 가격을 중심으로 오름세가 소폭 확대됐고 앞으로 경기 상승세가 지속되면서 수요 압력이 점차 증대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김 총재는 이와 관련, "통화정책은 결코 실기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잘 이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경기 회복세로 소비가 늘어나고 하반기에 공공요금도 인상되면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질 것이라는 전망을 고려할 때 금리 인상 시기가 가까이 다가왔음을 내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작년 동월 대비)은 지난 3월 2.3%에서 4월 2.6%, 5월 2.7%로 높아진 가운데 5월 생산자물가는 4.6% 급등해 하반기 소비자물가를 끌어올 것으로 예상된다.
김 총재는 또 "5월 들어서도 수출이 호조를 보이고 고용사정도 민간을 중심으로 한층 회복되고 있으며 국내 경기의 상승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김 총재는 "해외 위험요인 등에 비춰 향후 성장 경로의 불확실성은 상존하고 있다"며 "일부 유럽 국가의 재정문제로 국제 금융시장 불안이 수시로 나타나 세계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한은은 유럽 재정위기의 사태 추이를 보면서 우리나라의 2분기 경제지표를 확인하고 이르면 8월이나 9월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은은 7월 12일을 전후해 올해 경제전망 수정치를 발표할 예정이다.
현대경제연구원 유병규 경제연구본부장은 "대외 경제의 불확실성이 어느 정도 해소되고 실물경기의 회복세가 이어진다는 판단을 할 때 금리 인상이 가능할 것"이라며 "3분기 말이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김 총재는 외환시장 안정책과 관련, "중앙은행 총재에게 위임된 외화대출 규제에 대해 면밀히 검토하고 있으며 멀지 않은 시간에 입장이 정리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