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 활용해 공기오염 측정

입력 2010.06.30 (06:2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벌이 공기오염을 측정할 수 있을까?"

뉴욕타임스(NYT)는 29일 뒤셀도르프 국제공항을 비롯한 독일의 8개 공항이 생물을 이용해 공항 주변의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는 이색적인 접근을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공항 주변에서 키우는 벌들이 모아온 꿀의 오염도를 측정함으로써 근방 공기가 얼마나 깨끗한지를 파악한다는 것이다.

뒤셀도르프 공항은 이달 초 근방에서 키우는 벌 약 20만 마리가 모아온 꿀에 대한 성분분석을 한 결과 오염도가 기준치를 크게 밑돌았다고 밝혔다.

공항에서 실험을 담당한 피터 넨겔켄씨는 "실험 결과를 보면 공항 내부와 주변의 공기 질이 아주 좋다는 점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공항은 지난 2006년부터 이처럼 벌을 이용한 공기오염 측정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처럼 생명체를 활용해 환경오염 정도를 측정하는 새로운 방식은 기존의 전통적인 오염 측정방식을 완전히 대체하지는 않는다.

공항협회의 환경공학자 마틴 분코프스키씨는 "생명체를 활용한 분석 결과는 대중이 이해하기가 매우 쉬워서 아주 분명하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공항들로부터 채취한 꿀 시료를 1년에 두 번 검사하는 화학자 볼커 리비그씨는 벌꿀 오염 측정이 기존의 실험실에서 하지 못하는 특정 탄화수소나 중금속 관련 실험결과를 보여줄 수 있다고 말한다.

또 채취된 꿀 시료는 공항과 같은 오염발생 시설이 없는 지역에서 채취된 꿀과 비교하는 실험도 거치게 된다.

확실한 실험결과가 나오려면 훨씬 더 많은 데이터 분석작업이 필요하지만 예비검사 결과는 거의 들어맞는 편이다.

과거 석탄광에서 나오는 독가스를 미리 탐지하기 위해 까나리아를 활용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오늘날 벌을 활용해 환경오염을 측정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견도 분분하다.

플로리다 대학 꿀벌 연구소의 제이미 엘리스 조교수는 "벌을 생물학적 환경지표로 활용하는 작업은 이제 막 시작된 연구일 뿐"이라면서 "지금 단계에서 연구 결과를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말했다.

현재 곤충을 활용해 수질을 측정하는 방법 등 유사한 연구는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벌 활용해 공기오염 측정
    • 입력 2010-06-30 06:28:19
    연합뉴스
"벌이 공기오염을 측정할 수 있을까?" 뉴욕타임스(NYT)는 29일 뒤셀도르프 국제공항을 비롯한 독일의 8개 공항이 생물을 이용해 공항 주변의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는 이색적인 접근을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공항 주변에서 키우는 벌들이 모아온 꿀의 오염도를 측정함으로써 근방 공기가 얼마나 깨끗한지를 파악한다는 것이다. 뒤셀도르프 공항은 이달 초 근방에서 키우는 벌 약 20만 마리가 모아온 꿀에 대한 성분분석을 한 결과 오염도가 기준치를 크게 밑돌았다고 밝혔다. 공항에서 실험을 담당한 피터 넨겔켄씨는 "실험 결과를 보면 공항 내부와 주변의 공기 질이 아주 좋다는 점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공항은 지난 2006년부터 이처럼 벌을 이용한 공기오염 측정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처럼 생명체를 활용해 환경오염 정도를 측정하는 새로운 방식은 기존의 전통적인 오염 측정방식을 완전히 대체하지는 않는다. 공항협회의 환경공학자 마틴 분코프스키씨는 "생명체를 활용한 분석 결과는 대중이 이해하기가 매우 쉬워서 아주 분명하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공항들로부터 채취한 꿀 시료를 1년에 두 번 검사하는 화학자 볼커 리비그씨는 벌꿀 오염 측정이 기존의 실험실에서 하지 못하는 특정 탄화수소나 중금속 관련 실험결과를 보여줄 수 있다고 말한다. 또 채취된 꿀 시료는 공항과 같은 오염발생 시설이 없는 지역에서 채취된 꿀과 비교하는 실험도 거치게 된다. 확실한 실험결과가 나오려면 훨씬 더 많은 데이터 분석작업이 필요하지만 예비검사 결과는 거의 들어맞는 편이다. 과거 석탄광에서 나오는 독가스를 미리 탐지하기 위해 까나리아를 활용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오늘날 벌을 활용해 환경오염을 측정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견도 분분하다. 플로리다 대학 꿀벌 연구소의 제이미 엘리스 조교수는 "벌을 생물학적 환경지표로 활용하는 작업은 이제 막 시작된 연구일 뿐"이라면서 "지금 단계에서 연구 결과를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말했다. 현재 곤충을 활용해 수질을 측정하는 방법 등 유사한 연구는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