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북한 영양 부족 주민 3명 중 1명”
입력 2010.07.18 (07:20) 수정 2010.07.18 (15:22) 경제
식량난이 가중되면서 북한의 인구 가운데 3명에 1명 꼴로 영양 부족 상태에 시달리고 있고, 5세 미만 영유아는 4명 가운데 1명이 평균 이하의 체중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최근 펴낸 '한눈에 보는 보건지표'라는 보고서를 보면, 탄수화물과 지방 등 에너지 섭취량이 OECD 평균은 하루 3천 3백 74㎉, 한국이 3천 73㎉인데 비해, 북한은 2천 백 4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따라 지난 2004년부터 2006년 사이 영양 부족 상태인 인구가 북한의 경우 32%로, 아시아권에서 비율이 가장 높았습니다.
북한은 또, 체중이 평균 이하인 5세 미만 영유아 비율이 23%에 이르렀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최근 펴낸 '한눈에 보는 보건지표'라는 보고서를 보면, 탄수화물과 지방 등 에너지 섭취량이 OECD 평균은 하루 3천 3백 74㎉, 한국이 3천 73㎉인데 비해, 북한은 2천 백 4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따라 지난 2004년부터 2006년 사이 영양 부족 상태인 인구가 북한의 경우 32%로, 아시아권에서 비율이 가장 높았습니다.
북한은 또, 체중이 평균 이하인 5세 미만 영유아 비율이 23%에 이르렀습니다.
- “북한 영양 부족 주민 3명 중 1명”
-
- 입력 2010-07-18 07:20:56
- 수정2010-07-18 15:22:41
식량난이 가중되면서 북한의 인구 가운데 3명에 1명 꼴로 영양 부족 상태에 시달리고 있고, 5세 미만 영유아는 4명 가운데 1명이 평균 이하의 체중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최근 펴낸 '한눈에 보는 보건지표'라는 보고서를 보면, 탄수화물과 지방 등 에너지 섭취량이 OECD 평균은 하루 3천 3백 74㎉, 한국이 3천 73㎉인데 비해, 북한은 2천 백 4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따라 지난 2004년부터 2006년 사이 영양 부족 상태인 인구가 북한의 경우 32%로, 아시아권에서 비율이 가장 높았습니다.
북한은 또, 체중이 평균 이하인 5세 미만 영유아 비율이 23%에 이르렀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최근 펴낸 '한눈에 보는 보건지표'라는 보고서를 보면, 탄수화물과 지방 등 에너지 섭취량이 OECD 평균은 하루 3천 3백 74㎉, 한국이 3천 73㎉인데 비해, 북한은 2천 백 4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따라 지난 2004년부터 2006년 사이 영양 부족 상태인 인구가 북한의 경우 32%로, 아시아권에서 비율이 가장 높았습니다.
북한은 또, 체중이 평균 이하인 5세 미만 영유아 비율이 23%에 이르렀습니다.
- 기자 정보
-
-
선재희 기자 ana@kbs.co.kr
선재희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