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신용카드 수익 60%가 가맹점 수수료
입력 2010.07.18 (07:52) 연합뉴스
수익구조 변화 `카드대출→가맹점 수수료'
신용카드사의 카드수익에서 가맹점 수수료가 차지하는 비중이 60%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드사의 수익 구조가 카드대출 관련 수익은 줄고 가맹점 수수료가 늘어나는 쪽으로 바뀌고 있다.
18일 금융감독원 등에 지난해 카드수익(10조1천233억원) 중 가맹점 수수료는 60.5%(6조1천296억원)에 달했다.
그 외 카드론 수익 10.6%(1조705억원), 현금서비스 수수료 6.7%(6천788억원) 등 카드대출과 관련된 수익이 17.3%였고 할부 수수료 5.0%(5천26억원), 기타 17.2%(1조7천417억원) 등이었다.
올해도 1분기 카드수익(2조8천10억원) 중 가맹점 수수료(1조6천921억원)가 차지하는 비중은 60.4%로 지난해와 비슷했다.
카드사의 수익에서 가맹점 수수료 비중이 커진 것은 2003년 유동성 위기로 카드 대란을 겪으면서부터다.
카드수익 중 가맹점 수수료 비중은 2000년 11.2%에서 증가세를 보여 유동성 위기로 카드 대란을 겪은 2003년 27.9%에 달했다가 이후 증가 폭이 커지면서 2007년(60.5%) 60%를 넘은 데 이어 지난해까지 60% 안팎을 유지했다.
카드사 수익에서 가맹점 수수료 비중이 커지는 것과 반대로 현금서비스 수수료와 카드론 수익 등 대출관련 수익은 크게 줄어 2000년 57.9%에서 2003년 48.9%로 감소한 데 이어 2007년(19.1%) 20% 이하로 떨어졌고 지난해에는 17.3%에 그쳤다.
이처럼 카드수익에서 가맹점 수수료 비중이 커지고 카드대출 비중이 줄어든 것은 카드사들이 카드 대란을 겪으면서 리스크(위험)가 큰 카드대출보다는 안정적인 신용판매 위주로 영업 방식을 전환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카드 대란의 원인이 된 현금서비스, 카드론 영업 비중을 줄이면서 상대적으로 가맹점 수수료 수익 비중이 커진 것이다.
또 소비자들도 카드대출을 통한 무분별한 소비를 지양하고 현금보다 카드 사용을 선호하면서 가맹점이 늘어난 것도 하나의 요인으로 꼽힌다. 가맹점 수는 2002년 147만9천개에서 지난해 187만1천개로 증가했다.
다른 수익에 비해 가맹점 수수료 비중이 월등히 높은 상황이 수년째 이어지면서 가맹점주들의 수수료율 인하 요구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카드사들은 지난해부터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 요구가 끊이지 않자 올해 3월 금융당국 권고로 재래시장 가맹점의 수수료율을 대형마트 수준으로, 중소 가맹점의 수수료율을 백화점 수준으로 각각 인하했다.
그러나 동네 미장원, 안경점 등의 가맹점 수수료율이 3%대 이상으로 1~2%대의 골프장, 백화점 등보다 높은 것을 고려하면 추가 인하 여력이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카드사 관계자는 "가맹점 수수료에서 얻는 영업수익은 대출 수수료에서 얻는 영업수익에 비해 비용이 훨씬 많아서 가맹점 수수료를 추가로 인하하는 것은 부담스럽다"고 말했다.
카드사의 영업수익은 카드수익과 할부금융, 리스, 신기술금융 등의 수익으로 구성되며 이중 카드수익이 80~90%를 차지한다.
신용카드사의 카드수익에서 가맹점 수수료가 차지하는 비중이 60%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드사의 수익 구조가 카드대출 관련 수익은 줄고 가맹점 수수료가 늘어나는 쪽으로 바뀌고 있다.
18일 금융감독원 등에 지난해 카드수익(10조1천233억원) 중 가맹점 수수료는 60.5%(6조1천296억원)에 달했다.
그 외 카드론 수익 10.6%(1조705억원), 현금서비스 수수료 6.7%(6천788억원) 등 카드대출과 관련된 수익이 17.3%였고 할부 수수료 5.0%(5천26억원), 기타 17.2%(1조7천417억원) 등이었다.
올해도 1분기 카드수익(2조8천10억원) 중 가맹점 수수료(1조6천921억원)가 차지하는 비중은 60.4%로 지난해와 비슷했다.
카드사의 수익에서 가맹점 수수료 비중이 커진 것은 2003년 유동성 위기로 카드 대란을 겪으면서부터다.
카드수익 중 가맹점 수수료 비중은 2000년 11.2%에서 증가세를 보여 유동성 위기로 카드 대란을 겪은 2003년 27.9%에 달했다가 이후 증가 폭이 커지면서 2007년(60.5%) 60%를 넘은 데 이어 지난해까지 60% 안팎을 유지했다.
카드사 수익에서 가맹점 수수료 비중이 커지는 것과 반대로 현금서비스 수수료와 카드론 수익 등 대출관련 수익은 크게 줄어 2000년 57.9%에서 2003년 48.9%로 감소한 데 이어 2007년(19.1%) 20% 이하로 떨어졌고 지난해에는 17.3%에 그쳤다.
이처럼 카드수익에서 가맹점 수수료 비중이 커지고 카드대출 비중이 줄어든 것은 카드사들이 카드 대란을 겪으면서 리스크(위험)가 큰 카드대출보다는 안정적인 신용판매 위주로 영업 방식을 전환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카드 대란의 원인이 된 현금서비스, 카드론 영업 비중을 줄이면서 상대적으로 가맹점 수수료 수익 비중이 커진 것이다.
또 소비자들도 카드대출을 통한 무분별한 소비를 지양하고 현금보다 카드 사용을 선호하면서 가맹점이 늘어난 것도 하나의 요인으로 꼽힌다. 가맹점 수는 2002년 147만9천개에서 지난해 187만1천개로 증가했다.
다른 수익에 비해 가맹점 수수료 비중이 월등히 높은 상황이 수년째 이어지면서 가맹점주들의 수수료율 인하 요구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카드사들은 지난해부터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 요구가 끊이지 않자 올해 3월 금융당국 권고로 재래시장 가맹점의 수수료율을 대형마트 수준으로, 중소 가맹점의 수수료율을 백화점 수준으로 각각 인하했다.
그러나 동네 미장원, 안경점 등의 가맹점 수수료율이 3%대 이상으로 1~2%대의 골프장, 백화점 등보다 높은 것을 고려하면 추가 인하 여력이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카드사 관계자는 "가맹점 수수료에서 얻는 영업수익은 대출 수수료에서 얻는 영업수익에 비해 비용이 훨씬 많아서 가맹점 수수료를 추가로 인하하는 것은 부담스럽다"고 말했다.
카드사의 영업수익은 카드수익과 할부금융, 리스, 신기술금융 등의 수익으로 구성되며 이중 카드수익이 80~90%를 차지한다.
- 신용카드 수익 60%가 가맹점 수수료
-
- 입력 2010-07-18 07:52:00
수익구조 변화 `카드대출→가맹점 수수료'
신용카드사의 카드수익에서 가맹점 수수료가 차지하는 비중이 60%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드사의 수익 구조가 카드대출 관련 수익은 줄고 가맹점 수수료가 늘어나는 쪽으로 바뀌고 있다.
18일 금융감독원 등에 지난해 카드수익(10조1천233억원) 중 가맹점 수수료는 60.5%(6조1천296억원)에 달했다.
그 외 카드론 수익 10.6%(1조705억원), 현금서비스 수수료 6.7%(6천788억원) 등 카드대출과 관련된 수익이 17.3%였고 할부 수수료 5.0%(5천26억원), 기타 17.2%(1조7천417억원) 등이었다.
올해도 1분기 카드수익(2조8천10억원) 중 가맹점 수수료(1조6천921억원)가 차지하는 비중은 60.4%로 지난해와 비슷했다.
카드사의 수익에서 가맹점 수수료 비중이 커진 것은 2003년 유동성 위기로 카드 대란을 겪으면서부터다.
카드수익 중 가맹점 수수료 비중은 2000년 11.2%에서 증가세를 보여 유동성 위기로 카드 대란을 겪은 2003년 27.9%에 달했다가 이후 증가 폭이 커지면서 2007년(60.5%) 60%를 넘은 데 이어 지난해까지 60% 안팎을 유지했다.
카드사 수익에서 가맹점 수수료 비중이 커지는 것과 반대로 현금서비스 수수료와 카드론 수익 등 대출관련 수익은 크게 줄어 2000년 57.9%에서 2003년 48.9%로 감소한 데 이어 2007년(19.1%) 20% 이하로 떨어졌고 지난해에는 17.3%에 그쳤다.
이처럼 카드수익에서 가맹점 수수료 비중이 커지고 카드대출 비중이 줄어든 것은 카드사들이 카드 대란을 겪으면서 리스크(위험)가 큰 카드대출보다는 안정적인 신용판매 위주로 영업 방식을 전환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카드 대란의 원인이 된 현금서비스, 카드론 영업 비중을 줄이면서 상대적으로 가맹점 수수료 수익 비중이 커진 것이다.
또 소비자들도 카드대출을 통한 무분별한 소비를 지양하고 현금보다 카드 사용을 선호하면서 가맹점이 늘어난 것도 하나의 요인으로 꼽힌다. 가맹점 수는 2002년 147만9천개에서 지난해 187만1천개로 증가했다.
다른 수익에 비해 가맹점 수수료 비중이 월등히 높은 상황이 수년째 이어지면서 가맹점주들의 수수료율 인하 요구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카드사들은 지난해부터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 요구가 끊이지 않자 올해 3월 금융당국 권고로 재래시장 가맹점의 수수료율을 대형마트 수준으로, 중소 가맹점의 수수료율을 백화점 수준으로 각각 인하했다.
그러나 동네 미장원, 안경점 등의 가맹점 수수료율이 3%대 이상으로 1~2%대의 골프장, 백화점 등보다 높은 것을 고려하면 추가 인하 여력이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카드사 관계자는 "가맹점 수수료에서 얻는 영업수익은 대출 수수료에서 얻는 영업수익에 비해 비용이 훨씬 많아서 가맹점 수수료를 추가로 인하하는 것은 부담스럽다"고 말했다.
카드사의 영업수익은 카드수익과 할부금융, 리스, 신기술금융 등의 수익으로 구성되며 이중 카드수익이 80~90%를 차지한다.
신용카드사의 카드수익에서 가맹점 수수료가 차지하는 비중이 60%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드사의 수익 구조가 카드대출 관련 수익은 줄고 가맹점 수수료가 늘어나는 쪽으로 바뀌고 있다.
18일 금융감독원 등에 지난해 카드수익(10조1천233억원) 중 가맹점 수수료는 60.5%(6조1천296억원)에 달했다.
그 외 카드론 수익 10.6%(1조705억원), 현금서비스 수수료 6.7%(6천788억원) 등 카드대출과 관련된 수익이 17.3%였고 할부 수수료 5.0%(5천26억원), 기타 17.2%(1조7천417억원) 등이었다.
올해도 1분기 카드수익(2조8천10억원) 중 가맹점 수수료(1조6천921억원)가 차지하는 비중은 60.4%로 지난해와 비슷했다.
카드사의 수익에서 가맹점 수수료 비중이 커진 것은 2003년 유동성 위기로 카드 대란을 겪으면서부터다.
카드수익 중 가맹점 수수료 비중은 2000년 11.2%에서 증가세를 보여 유동성 위기로 카드 대란을 겪은 2003년 27.9%에 달했다가 이후 증가 폭이 커지면서 2007년(60.5%) 60%를 넘은 데 이어 지난해까지 60% 안팎을 유지했다.
카드사 수익에서 가맹점 수수료 비중이 커지는 것과 반대로 현금서비스 수수료와 카드론 수익 등 대출관련 수익은 크게 줄어 2000년 57.9%에서 2003년 48.9%로 감소한 데 이어 2007년(19.1%) 20% 이하로 떨어졌고 지난해에는 17.3%에 그쳤다.
이처럼 카드수익에서 가맹점 수수료 비중이 커지고 카드대출 비중이 줄어든 것은 카드사들이 카드 대란을 겪으면서 리스크(위험)가 큰 카드대출보다는 안정적인 신용판매 위주로 영업 방식을 전환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카드 대란의 원인이 된 현금서비스, 카드론 영업 비중을 줄이면서 상대적으로 가맹점 수수료 수익 비중이 커진 것이다.
또 소비자들도 카드대출을 통한 무분별한 소비를 지양하고 현금보다 카드 사용을 선호하면서 가맹점이 늘어난 것도 하나의 요인으로 꼽힌다. 가맹점 수는 2002년 147만9천개에서 지난해 187만1천개로 증가했다.
다른 수익에 비해 가맹점 수수료 비중이 월등히 높은 상황이 수년째 이어지면서 가맹점주들의 수수료율 인하 요구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카드사들은 지난해부터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 요구가 끊이지 않자 올해 3월 금융당국 권고로 재래시장 가맹점의 수수료율을 대형마트 수준으로, 중소 가맹점의 수수료율을 백화점 수준으로 각각 인하했다.
그러나 동네 미장원, 안경점 등의 가맹점 수수료율이 3%대 이상으로 1~2%대의 골프장, 백화점 등보다 높은 것을 고려하면 추가 인하 여력이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카드사 관계자는 "가맹점 수수료에서 얻는 영업수익은 대출 수수료에서 얻는 영업수익에 비해 비용이 훨씬 많아서 가맹점 수수료를 추가로 인하하는 것은 부담스럽다"고 말했다.
카드사의 영업수익은 카드수익과 할부금융, 리스, 신기술금융 등의 수익으로 구성되며 이중 카드수익이 80~90%를 차지한다.
- 기자 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