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요금 3~4% 오른다…산업용 대폭 인상
입력 2010.07.28 (09:57)
수정 2010.07.28 (15: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르면 내달 중 전기요금이 평균적으로 3~4% 인상된다.
28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정부는 전기요금을 평균 3~4% 올리기로 관계부처 간 협의를 끝내고 청와대와 최종 인상 시기를 조율하고 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이와 관련, "전기요금 인상시기는 내달이 될지, 9월이 될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며 "인상률은 평균 3~4%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용 전기료는 평균치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오르고, 주택용과 농업용 전기요금은 동결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이번 요금 인상에 맞춰 저소득층에 에너지 비용을 보조하는 '에너지 바우처' 제도를 도입하는 방안을 함께 검토 중이다.
정부는 아울러 도시가스 요금도 일부 올리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경환 지경부 장관은 앞서 "경제위기 극복 과정에서 공공요금을 묶어놓았고, 굉장한 적자요인이 발생하고 있다. 경제가 정상화 과정을 밟아가면 서민부담을 최소화하면서 단계적으로 현실화하는 것이 어떤 의미에서는 불가피하다"며 전기료 인상의 당위성을 지적했다.
정부는 지난해 6월 전기요금을 평균 3.9% 인상했으나 여전히 전력 생산 원가에 못 미친다며 추가 인상의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해 왔다.
한편, 한국전력은 올 2분기 1조2천587억원의 적자를 포함해 상반기에만 총 2조3천383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28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정부는 전기요금을 평균 3~4% 올리기로 관계부처 간 협의를 끝내고 청와대와 최종 인상 시기를 조율하고 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이와 관련, "전기요금 인상시기는 내달이 될지, 9월이 될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며 "인상률은 평균 3~4%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용 전기료는 평균치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오르고, 주택용과 농업용 전기요금은 동결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이번 요금 인상에 맞춰 저소득층에 에너지 비용을 보조하는 '에너지 바우처' 제도를 도입하는 방안을 함께 검토 중이다.
정부는 아울러 도시가스 요금도 일부 올리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경환 지경부 장관은 앞서 "경제위기 극복 과정에서 공공요금을 묶어놓았고, 굉장한 적자요인이 발생하고 있다. 경제가 정상화 과정을 밟아가면 서민부담을 최소화하면서 단계적으로 현실화하는 것이 어떤 의미에서는 불가피하다"며 전기료 인상의 당위성을 지적했다.
정부는 지난해 6월 전기요금을 평균 3.9% 인상했으나 여전히 전력 생산 원가에 못 미친다며 추가 인상의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해 왔다.
한편, 한국전력은 올 2분기 1조2천587억원의 적자를 포함해 상반기에만 총 2조3천383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기요금 3~4% 오른다…산업용 대폭 인상
-
- 입력 2010-07-28 09:57:55
- 수정2010-07-28 15:40:57
이르면 내달 중 전기요금이 평균적으로 3~4% 인상된다.
28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정부는 전기요금을 평균 3~4% 올리기로 관계부처 간 협의를 끝내고 청와대와 최종 인상 시기를 조율하고 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이와 관련, "전기요금 인상시기는 내달이 될지, 9월이 될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며 "인상률은 평균 3~4%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용 전기료는 평균치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오르고, 주택용과 농업용 전기요금은 동결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이번 요금 인상에 맞춰 저소득층에 에너지 비용을 보조하는 '에너지 바우처' 제도를 도입하는 방안을 함께 검토 중이다.
정부는 아울러 도시가스 요금도 일부 올리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경환 지경부 장관은 앞서 "경제위기 극복 과정에서 공공요금을 묶어놓았고, 굉장한 적자요인이 발생하고 있다. 경제가 정상화 과정을 밟아가면 서민부담을 최소화하면서 단계적으로 현실화하는 것이 어떤 의미에서는 불가피하다"며 전기료 인상의 당위성을 지적했다.
정부는 지난해 6월 전기요금을 평균 3.9% 인상했으나 여전히 전력 생산 원가에 못 미친다며 추가 인상의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해 왔다.
한편, 한국전력은 올 2분기 1조2천587억원의 적자를 포함해 상반기에만 총 2조3천383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28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정부는 전기요금을 평균 3~4% 올리기로 관계부처 간 협의를 끝내고 청와대와 최종 인상 시기를 조율하고 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이와 관련, "전기요금 인상시기는 내달이 될지, 9월이 될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며 "인상률은 평균 3~4%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용 전기료는 평균치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오르고, 주택용과 농업용 전기요금은 동결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이번 요금 인상에 맞춰 저소득층에 에너지 비용을 보조하는 '에너지 바우처' 제도를 도입하는 방안을 함께 검토 중이다.
정부는 아울러 도시가스 요금도 일부 올리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경환 지경부 장관은 앞서 "경제위기 극복 과정에서 공공요금을 묶어놓았고, 굉장한 적자요인이 발생하고 있다. 경제가 정상화 과정을 밟아가면 서민부담을 최소화하면서 단계적으로 현실화하는 것이 어떤 의미에서는 불가피하다"며 전기료 인상의 당위성을 지적했다.
정부는 지난해 6월 전기요금을 평균 3.9% 인상했으나 여전히 전력 생산 원가에 못 미친다며 추가 인상의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해 왔다.
한편, 한국전력은 올 2분기 1조2천587억원의 적자를 포함해 상반기에만 총 2조3천383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