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지역 기반 김태호 지사 역할 기대
'전도사' 이재오 특임장관 중용
정종환 국토, 이만의 환경 등 핵심장관 유임
8일 단행된 개각에서 4대강 사업을 적극적으로 찬성·추진했던 인사들이 대거 중용·유임됨으로써 이명박 대통령이 이 사업을 중단없이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줬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대통령이 우선 김태호 전 경남도지사를 국무총리로 낙점한 것은 여러 요인 외에도 4대강 가운데 구간이 가장 길고 보(洑)가 가장 많이 설치되는 등 이 사업의 핵심 지역인 경남도의 지역여론을 설득하는 데도 일정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기대가 작용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4대강 사업이 진행되는 지역 가운데 충남북 지사가 그동안의 반대입장에서 벗어나 조건부 추진방침을 밝힌 가운데서도 김두관 경남지사만큼은 기존의 완강한 입장을 굽힐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반면 김 총리 내정자는 지사 재임 때 낙동강 사업을 무엇보다 중시해온 인물이다.
그는 지난해 9월 실국장 간부회의를 통해 "낙동강 사업은 절체절명의 과제로 이 사업 때문에 다른 사회간접자본(SOC) 사업과 복지예산 확보에 차질이 있다는 말은 경계해야 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김 내정자는 "경남 지역은 지난 10년간 매년 홍수로 1조원 이상의 피해액이 발생했고 소중한 생명을 잃었는데 예산을 줄여 다른 곳에 투입해서는 안 될 것"이라며 "다른 특별계정을 통해서라도 낙동강 살리기 예산은 적극적으로 확보해 계획대로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었다.
7.28 재보선을 통해 국회에 입성하자마자 이날 특임장관으로 전격 발탁됨으로써 화려하게 컴백한 이재오 내정자는 알려진 대로 `한반도 대운하 전도사'나 `4대강 전도사'로 불린다.
이 내정자의 출마를 놓고 야당이 대대적으로 `4대강 심판론'을 폈음에도 재보선에서 이 내정자가 당선되고 여당이 승리한데다 충남·충북이 금강 사업에 `원칙론적 찬성' 입장으로 최근 돌아섬으로써 이 대통령이 4대강 사업에 대해 자신감을 가졌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따라서 이 내정자의 기용을 통해 4대강 등 주요 국정과제를 차질 없이 추진할 수 있도록 당.정.청간의 완벽한 조율을 기하겠다는 이 대통령의 구상이 이날 개각에 담겨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과 이만의 환경부 장관을 유임시킨 것도 업무의 연속성을 살리고 이 사업을 일정대로 차질 없이 진행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되고 있다.
특히 정 장관은 이 장관과 함께 조각 멤버여서 이번 개각에 교체 대상이 될 것이란 예상이 많았으나 4대강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해당 지역을 자주 방문하는 등 현장을 뛰어다니는 행보로 좋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 때문에 국토부 내부에서도 정 장관이 애초 후보로 거론됐던 인사들과 비교할 때 누구보다 현장을 잘 알고 있는데다, 주무 부처 장관이 교체될 경우 청문회 과정에서 4대강 사업이 불가피하게 다시 쟁점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점을 들어 정 장관이 자리를 지킬 것이라는 의견이 주류를 이뤘었다.
정 장관,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과 함께 이 정부의 `최장수 장관' 기록을 이어간 이 장관의 유임에 대해서도 환경부는 "4대강 사업에서 환경부가 맡은 일부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한 능력이 인정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나름대로 분석했다.
'전도사' 이재오 특임장관 중용
정종환 국토, 이만의 환경 등 핵심장관 유임
8일 단행된 개각에서 4대강 사업을 적극적으로 찬성·추진했던 인사들이 대거 중용·유임됨으로써 이명박 대통령이 이 사업을 중단없이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줬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대통령이 우선 김태호 전 경남도지사를 국무총리로 낙점한 것은 여러 요인 외에도 4대강 가운데 구간이 가장 길고 보(洑)가 가장 많이 설치되는 등 이 사업의 핵심 지역인 경남도의 지역여론을 설득하는 데도 일정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기대가 작용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4대강 사업이 진행되는 지역 가운데 충남북 지사가 그동안의 반대입장에서 벗어나 조건부 추진방침을 밝힌 가운데서도 김두관 경남지사만큼은 기존의 완강한 입장을 굽힐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반면 김 총리 내정자는 지사 재임 때 낙동강 사업을 무엇보다 중시해온 인물이다.
그는 지난해 9월 실국장 간부회의를 통해 "낙동강 사업은 절체절명의 과제로 이 사업 때문에 다른 사회간접자본(SOC) 사업과 복지예산 확보에 차질이 있다는 말은 경계해야 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김 내정자는 "경남 지역은 지난 10년간 매년 홍수로 1조원 이상의 피해액이 발생했고 소중한 생명을 잃었는데 예산을 줄여 다른 곳에 투입해서는 안 될 것"이라며 "다른 특별계정을 통해서라도 낙동강 살리기 예산은 적극적으로 확보해 계획대로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었다.
7.28 재보선을 통해 국회에 입성하자마자 이날 특임장관으로 전격 발탁됨으로써 화려하게 컴백한 이재오 내정자는 알려진 대로 `한반도 대운하 전도사'나 `4대강 전도사'로 불린다.
이 내정자의 출마를 놓고 야당이 대대적으로 `4대강 심판론'을 폈음에도 재보선에서 이 내정자가 당선되고 여당이 승리한데다 충남·충북이 금강 사업에 `원칙론적 찬성' 입장으로 최근 돌아섬으로써 이 대통령이 4대강 사업에 대해 자신감을 가졌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따라서 이 내정자의 기용을 통해 4대강 등 주요 국정과제를 차질 없이 추진할 수 있도록 당.정.청간의 완벽한 조율을 기하겠다는 이 대통령의 구상이 이날 개각에 담겨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과 이만의 환경부 장관을 유임시킨 것도 업무의 연속성을 살리고 이 사업을 일정대로 차질 없이 진행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되고 있다.
특히 정 장관은 이 장관과 함께 조각 멤버여서 이번 개각에 교체 대상이 될 것이란 예상이 많았으나 4대강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해당 지역을 자주 방문하는 등 현장을 뛰어다니는 행보로 좋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 때문에 국토부 내부에서도 정 장관이 애초 후보로 거론됐던 인사들과 비교할 때 누구보다 현장을 잘 알고 있는데다, 주무 부처 장관이 교체될 경우 청문회 과정에서 4대강 사업이 불가피하게 다시 쟁점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점을 들어 정 장관이 자리를 지킬 것이라는 의견이 주류를 이뤘었다.
정 장관,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과 함께 이 정부의 `최장수 장관' 기록을 이어간 이 장관의 유임에 대해서도 환경부는 "4대강 사업에서 환경부가 맡은 일부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한 능력이 인정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나름대로 분석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4대강 사업 지속추진 의지 드러내
-
- 입력 2010-08-08 19:59:29
경남지역 기반 김태호 지사 역할 기대
'전도사' 이재오 특임장관 중용
정종환 국토, 이만의 환경 등 핵심장관 유임
8일 단행된 개각에서 4대강 사업을 적극적으로 찬성·추진했던 인사들이 대거 중용·유임됨으로써 이명박 대통령이 이 사업을 중단없이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줬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대통령이 우선 김태호 전 경남도지사를 국무총리로 낙점한 것은 여러 요인 외에도 4대강 가운데 구간이 가장 길고 보(洑)가 가장 많이 설치되는 등 이 사업의 핵심 지역인 경남도의 지역여론을 설득하는 데도 일정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기대가 작용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4대강 사업이 진행되는 지역 가운데 충남북 지사가 그동안의 반대입장에서 벗어나 조건부 추진방침을 밝힌 가운데서도 김두관 경남지사만큼은 기존의 완강한 입장을 굽힐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반면 김 총리 내정자는 지사 재임 때 낙동강 사업을 무엇보다 중시해온 인물이다.
그는 지난해 9월 실국장 간부회의를 통해 "낙동강 사업은 절체절명의 과제로 이 사업 때문에 다른 사회간접자본(SOC) 사업과 복지예산 확보에 차질이 있다는 말은 경계해야 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김 내정자는 "경남 지역은 지난 10년간 매년 홍수로 1조원 이상의 피해액이 발생했고 소중한 생명을 잃었는데 예산을 줄여 다른 곳에 투입해서는 안 될 것"이라며 "다른 특별계정을 통해서라도 낙동강 살리기 예산은 적극적으로 확보해 계획대로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었다.
7.28 재보선을 통해 국회에 입성하자마자 이날 특임장관으로 전격 발탁됨으로써 화려하게 컴백한 이재오 내정자는 알려진 대로 `한반도 대운하 전도사'나 `4대강 전도사'로 불린다.
이 내정자의 출마를 놓고 야당이 대대적으로 `4대강 심판론'을 폈음에도 재보선에서 이 내정자가 당선되고 여당이 승리한데다 충남·충북이 금강 사업에 `원칙론적 찬성' 입장으로 최근 돌아섬으로써 이 대통령이 4대강 사업에 대해 자신감을 가졌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따라서 이 내정자의 기용을 통해 4대강 등 주요 국정과제를 차질 없이 추진할 수 있도록 당.정.청간의 완벽한 조율을 기하겠다는 이 대통령의 구상이 이날 개각에 담겨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과 이만의 환경부 장관을 유임시킨 것도 업무의 연속성을 살리고 이 사업을 일정대로 차질 없이 진행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되고 있다.
특히 정 장관은 이 장관과 함께 조각 멤버여서 이번 개각에 교체 대상이 될 것이란 예상이 많았으나 4대강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해당 지역을 자주 방문하는 등 현장을 뛰어다니는 행보로 좋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 때문에 국토부 내부에서도 정 장관이 애초 후보로 거론됐던 인사들과 비교할 때 누구보다 현장을 잘 알고 있는데다, 주무 부처 장관이 교체될 경우 청문회 과정에서 4대강 사업이 불가피하게 다시 쟁점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점을 들어 정 장관이 자리를 지킬 것이라는 의견이 주류를 이뤘었다.
정 장관,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과 함께 이 정부의 `최장수 장관' 기록을 이어간 이 장관의 유임에 대해서도 환경부는 "4대강 사업에서 환경부가 맡은 일부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한 능력이 인정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나름대로 분석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