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금융 파생상품인 키코를 부실 판매한 책임을 물어 금융당국이 시중은행 임직원들을 무더기로 징계했습니다.
금융당국이 처음으로 키코 사태에 대한 은행 쪽의 책임을 일부 인정한 것이지만 징계수위를 두고는 논란이 예상됩니다.
김태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이 업체의 지난해 매출액은 167억 원, 그런데도 운영자금이 부족해 흑자부도를 걱정하는 처집니다.
키코에 가입한 게 화근이었습니다.
<인터뷰>안영준(대표):"법정관리 해주면 회사를 갖다줄 수밖에 없는 거죠. 지금 많은 업체들이 그렇게 가고 있습니다. 지금"
키코는 환율이 정해진 범위 안에서 움직이면 환위험을 줄일 수 있는 상품입니다.
그러나 이 범위를 벗어나면 손실이 급격히 커지는 구조입니다.
금융위기 이후 기업들의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난 게 바로 이 때문입니다.
금감원이 2년여의 논란 끝에 키코 상품을 부실 판매한 시중은행 9곳, 임직원 72명에 대해 무더기 징계를 내렸습니다.
키코 사태에 대해 은행도 책임이 있다는 점을 금융당국이 처음 인정한 셈입니다.
<인터뷰>금감원 관계자:"이런 투기성이 높은 고위험 상품을 은행들이 취급한 것에 대해서 우리가 지적을 하는 것이고요."
그러나 4명을 제외하곤 대부분 '주의' 수준의 경징계여서 솜방망이 처벌 논란은 피하기 어려워보입니다.
<인터뷰>조붕구(키코 피해기업 공대위):"제재 심의위원들을 다시 재구성해서 공평하고 공정한 심의가 이뤄지기를 강력하게 바라는 바입니다."
한편, 금감원은 강정원 전 국민은행장을 경영부실의 책임을 물어 중징계하는 등 국민은행 임직원 88명에 대해서도 제재조치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김태욱입니다.
금융 파생상품인 키코를 부실 판매한 책임을 물어 금융당국이 시중은행 임직원들을 무더기로 징계했습니다.
금융당국이 처음으로 키코 사태에 대한 은행 쪽의 책임을 일부 인정한 것이지만 징계수위를 두고는 논란이 예상됩니다.
김태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이 업체의 지난해 매출액은 167억 원, 그런데도 운영자금이 부족해 흑자부도를 걱정하는 처집니다.
키코에 가입한 게 화근이었습니다.
<인터뷰>안영준(대표):"법정관리 해주면 회사를 갖다줄 수밖에 없는 거죠. 지금 많은 업체들이 그렇게 가고 있습니다. 지금"
키코는 환율이 정해진 범위 안에서 움직이면 환위험을 줄일 수 있는 상품입니다.
그러나 이 범위를 벗어나면 손실이 급격히 커지는 구조입니다.
금융위기 이후 기업들의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난 게 바로 이 때문입니다.
금감원이 2년여의 논란 끝에 키코 상품을 부실 판매한 시중은행 9곳, 임직원 72명에 대해 무더기 징계를 내렸습니다.
키코 사태에 대해 은행도 책임이 있다는 점을 금융당국이 처음 인정한 셈입니다.
<인터뷰>금감원 관계자:"이런 투기성이 높은 고위험 상품을 은행들이 취급한 것에 대해서 우리가 지적을 하는 것이고요."
그러나 4명을 제외하곤 대부분 '주의' 수준의 경징계여서 솜방망이 처벌 논란은 피하기 어려워보입니다.
<인터뷰>조붕구(키코 피해기업 공대위):"제재 심의위원들을 다시 재구성해서 공평하고 공정한 심의가 이뤄지기를 강력하게 바라는 바입니다."
한편, 금감원은 강정원 전 국민은행장을 경영부실의 책임을 물어 중징계하는 등 국민은행 임직원 88명에 대해서도 제재조치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김태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키코’ 은행 무더기 징계…솜방망기 처벌?
-
- 입력 2010-08-20 10:12:39
<앵커 멘트>
금융 파생상품인 키코를 부실 판매한 책임을 물어 금융당국이 시중은행 임직원들을 무더기로 징계했습니다.
금융당국이 처음으로 키코 사태에 대한 은행 쪽의 책임을 일부 인정한 것이지만 징계수위를 두고는 논란이 예상됩니다.
김태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이 업체의 지난해 매출액은 167억 원, 그런데도 운영자금이 부족해 흑자부도를 걱정하는 처집니다.
키코에 가입한 게 화근이었습니다.
<인터뷰>안영준(대표):"법정관리 해주면 회사를 갖다줄 수밖에 없는 거죠. 지금 많은 업체들이 그렇게 가고 있습니다. 지금"
키코는 환율이 정해진 범위 안에서 움직이면 환위험을 줄일 수 있는 상품입니다.
그러나 이 범위를 벗어나면 손실이 급격히 커지는 구조입니다.
금융위기 이후 기업들의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난 게 바로 이 때문입니다.
금감원이 2년여의 논란 끝에 키코 상품을 부실 판매한 시중은행 9곳, 임직원 72명에 대해 무더기 징계를 내렸습니다.
키코 사태에 대해 은행도 책임이 있다는 점을 금융당국이 처음 인정한 셈입니다.
<인터뷰>금감원 관계자:"이런 투기성이 높은 고위험 상품을 은행들이 취급한 것에 대해서 우리가 지적을 하는 것이고요."
그러나 4명을 제외하곤 대부분 '주의' 수준의 경징계여서 솜방망이 처벌 논란은 피하기 어려워보입니다.
<인터뷰>조붕구(키코 피해기업 공대위):"제재 심의위원들을 다시 재구성해서 공평하고 공정한 심의가 이뤄지기를 강력하게 바라는 바입니다."
한편, 금감원은 강정원 전 국민은행장을 경영부실의 책임을 물어 중징계하는 등 국민은행 임직원 88명에 대해서도 제재조치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김태욱입니다.
-
-
김태욱 기자 twkim@kbs.co.kr
김태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