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쌀 생산 434만t…11.6% 감소 전망

입력 2010.10.08 (13: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올해 쌀 생산량이 재배면적 감소 추세에 기상 악화까지 겹치면서 기록적인 감소폭을 보이며 430만t대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통계청은 지난달 15일 기준으로 전국의 6천808개 표본구역을 조사한 결과, 올해 쌀 예상 생산량이 434만6천t으로 작년(491만6천t)보다 57만t(11.6%) 줄고, 평년(445만5천t)보다 10만9천t(2.4%)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고 8일 밝혔다.

평년치는 최근 5년간 최고, 최저 수량을 뺀 3년간의 평균치다.

쌀 생산량이 전년 대비 감소하고 450만t 밑으로 떨어지는 것은 2007년(440만8천t) 이후 처음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재배면적 감소와 품종 개량이 있었던 만큼 1970~80년대와 단순 비교하긴 어렵지만 총 생산량으로만 보면 이례적으로 생산량이 급감했던 1980년의 355만t 이후 최저치 같다"고 말했다.

단위면적(10a, 1천㎡, 약 300평)당 생산량은 489kg으로 작년보다 45kg(8.4%), 평년(501kg)보다 12kg(2.4%)이 각각 줄어들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작년(534kg)과 2008년(520kg) 보다는 적지만 2007년(466kg)보다는 많은 것이다.

생산량 감소는 형질 변경 등에 따라 재배면적이 89만2천ha로 작년보다 3.5% 줄어든데다 비로 일조시간이 부족했고 태풍으로 쓰러진 벼가 많았기 때문이다. 특히 생육 초기인 5월 상순부터 한 달간의 이상저온도 악영향을 미쳤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이 때문에 포기당 이삭 수는 지난해 19.6개에서 올해 18.6개로, 이삭당 완전 낟알 수도 쭉정이가 많아지면서 73.2개에서 72.7개로 각각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다.

도별 생산 예상량은 전남이 84만5천t으로 7.5% 줄어드는 것을 비롯해 충남 80만8천t(-11.7%), 전북 70만5천t(-11.7%), 경북 59만5천t(-12.5%), 경기 41만9천t(-16.6%) 등으로 전남을 빼고는 대부분 두자릿수 감소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통계청은 최종 생산량은 향후 기상 상황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올해 쌀 생산 434만t…11.6% 감소 전망
    • 입력 2010-10-08 13:32:10
    연합뉴스
올해 쌀 생산량이 재배면적 감소 추세에 기상 악화까지 겹치면서 기록적인 감소폭을 보이며 430만t대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통계청은 지난달 15일 기준으로 전국의 6천808개 표본구역을 조사한 결과, 올해 쌀 예상 생산량이 434만6천t으로 작년(491만6천t)보다 57만t(11.6%) 줄고, 평년(445만5천t)보다 10만9천t(2.4%)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고 8일 밝혔다. 평년치는 최근 5년간 최고, 최저 수량을 뺀 3년간의 평균치다. 쌀 생산량이 전년 대비 감소하고 450만t 밑으로 떨어지는 것은 2007년(440만8천t) 이후 처음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재배면적 감소와 품종 개량이 있었던 만큼 1970~80년대와 단순 비교하긴 어렵지만 총 생산량으로만 보면 이례적으로 생산량이 급감했던 1980년의 355만t 이후 최저치 같다"고 말했다. 단위면적(10a, 1천㎡, 약 300평)당 생산량은 489kg으로 작년보다 45kg(8.4%), 평년(501kg)보다 12kg(2.4%)이 각각 줄어들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작년(534kg)과 2008년(520kg) 보다는 적지만 2007년(466kg)보다는 많은 것이다. 생산량 감소는 형질 변경 등에 따라 재배면적이 89만2천ha로 작년보다 3.5% 줄어든데다 비로 일조시간이 부족했고 태풍으로 쓰러진 벼가 많았기 때문이다. 특히 생육 초기인 5월 상순부터 한 달간의 이상저온도 악영향을 미쳤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이 때문에 포기당 이삭 수는 지난해 19.6개에서 올해 18.6개로, 이삭당 완전 낟알 수도 쭉정이가 많아지면서 73.2개에서 72.7개로 각각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다. 도별 생산 예상량은 전남이 84만5천t으로 7.5% 줄어드는 것을 비롯해 충남 80만8천t(-11.7%), 전북 70만5천t(-11.7%), 경북 59만5천t(-12.5%), 경기 41만9천t(-16.6%) 등으로 전남을 빼고는 대부분 두자릿수 감소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통계청은 최종 생산량은 향후 기상 상황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