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半 전세 급증…세입자 부담 커진다
입력 2010.10.19 (21:50) 뉴스9(경인)
<앵커 멘트>
최근 전셋값이 치솟으면서 올라간 전세보증금을 월세로 내야 하는 이른바 '반전세'가 크게 늘고 있습니다.
이런 '반전세'는 세입자의 부담을 가중시키는데다, 세금탈루 우려까지 낳고 있습니다.
박진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2년 전, 입주가 시작됐던 잠실의 대규모 재건축단집니다.
전세계약 시점이 끝나가는 요즘 전셋값은 입주 당시에 비해 두 배 가까이 올랐습니다.
그래도 물량을 구하기 어려워지자, 최근엔 이른바 '반전세'까지 등장했습니다.
기존의 전세보증금 2억 원에다가 달마다 110만 원의 월세를 더 내는 것.
보증금의 비중이 매우 높다는 점에서 기존의 월세와는 비교됩니다.
<인터뷰> 김치순(공인중개사) : "전세도 없으니까 주인들이 반월세 (반전세)를 요구하면 울며겨자먹기로 어쩔 수 없이하는 경우들도 있고요."
잠실에서 시작된 이런 '반전세' 전환은 강남과 수도권 일대로 번지고 있습니다.
<인터뷰> 박성진(공인중개사) : " 학군이나 교통이 좋은 지역 같은 경우에는보증금이 많이 올랐기 때문에 반전세 전환이나 전세보증금 대출을 받으셔서 증액하는 경우가 많이 생겼습니다."
거액의 보증금에다가 월세부담까지 지게 된 세입자들의 부담은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녹취> 반전세 세입자 : "그런 돈을 매달 안 내다가, 월세 개념이 없다가 갑자기 거의 80만 원씩 내려고 하니까 많이 부담스럽습니다."
특히 반전세로 바꿔도 기존의 전세계약 형식을 유지합니다.
달마다 100만 원 이상의 임대수입이 생겨도 대부분 세금을 신고하지 않기 때문에 집주인에게만 지나치게 유리한 제도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최근 전셋값이 치솟으면서 올라간 전세보증금을 월세로 내야 하는 이른바 '반전세'가 크게 늘고 있습니다.
이런 '반전세'는 세입자의 부담을 가중시키는데다, 세금탈루 우려까지 낳고 있습니다.
박진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2년 전, 입주가 시작됐던 잠실의 대규모 재건축단집니다.
전세계약 시점이 끝나가는 요즘 전셋값은 입주 당시에 비해 두 배 가까이 올랐습니다.
그래도 물량을 구하기 어려워지자, 최근엔 이른바 '반전세'까지 등장했습니다.
기존의 전세보증금 2억 원에다가 달마다 110만 원의 월세를 더 내는 것.
보증금의 비중이 매우 높다는 점에서 기존의 월세와는 비교됩니다.
<인터뷰> 김치순(공인중개사) : "전세도 없으니까 주인들이 반월세 (반전세)를 요구하면 울며겨자먹기로 어쩔 수 없이하는 경우들도 있고요."
잠실에서 시작된 이런 '반전세' 전환은 강남과 수도권 일대로 번지고 있습니다.
<인터뷰> 박성진(공인중개사) : " 학군이나 교통이 좋은 지역 같은 경우에는보증금이 많이 올랐기 때문에 반전세 전환이나 전세보증금 대출을 받으셔서 증액하는 경우가 많이 생겼습니다."
거액의 보증금에다가 월세부담까지 지게 된 세입자들의 부담은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녹취> 반전세 세입자 : "그런 돈을 매달 안 내다가, 월세 개념이 없다가 갑자기 거의 80만 원씩 내려고 하니까 많이 부담스럽습니다."
특히 반전세로 바꿔도 기존의 전세계약 형식을 유지합니다.
달마다 100만 원 이상의 임대수입이 생겨도 대부분 세금을 신고하지 않기 때문에 집주인에게만 지나치게 유리한 제도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 半 전세 급증…세입자 부담 커진다
-
- 입력 2010-10-19 21:50:57

<앵커 멘트>
최근 전셋값이 치솟으면서 올라간 전세보증금을 월세로 내야 하는 이른바 '반전세'가 크게 늘고 있습니다.
이런 '반전세'는 세입자의 부담을 가중시키는데다, 세금탈루 우려까지 낳고 있습니다.
박진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2년 전, 입주가 시작됐던 잠실의 대규모 재건축단집니다.
전세계약 시점이 끝나가는 요즘 전셋값은 입주 당시에 비해 두 배 가까이 올랐습니다.
그래도 물량을 구하기 어려워지자, 최근엔 이른바 '반전세'까지 등장했습니다.
기존의 전세보증금 2억 원에다가 달마다 110만 원의 월세를 더 내는 것.
보증금의 비중이 매우 높다는 점에서 기존의 월세와는 비교됩니다.
<인터뷰> 김치순(공인중개사) : "전세도 없으니까 주인들이 반월세 (반전세)를 요구하면 울며겨자먹기로 어쩔 수 없이하는 경우들도 있고요."
잠실에서 시작된 이런 '반전세' 전환은 강남과 수도권 일대로 번지고 있습니다.
<인터뷰> 박성진(공인중개사) : " 학군이나 교통이 좋은 지역 같은 경우에는보증금이 많이 올랐기 때문에 반전세 전환이나 전세보증금 대출을 받으셔서 증액하는 경우가 많이 생겼습니다."
거액의 보증금에다가 월세부담까지 지게 된 세입자들의 부담은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녹취> 반전세 세입자 : "그런 돈을 매달 안 내다가, 월세 개념이 없다가 갑자기 거의 80만 원씩 내려고 하니까 많이 부담스럽습니다."
특히 반전세로 바꿔도 기존의 전세계약 형식을 유지합니다.
달마다 100만 원 이상의 임대수입이 생겨도 대부분 세금을 신고하지 않기 때문에 집주인에게만 지나치게 유리한 제도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최근 전셋값이 치솟으면서 올라간 전세보증금을 월세로 내야 하는 이른바 '반전세'가 크게 늘고 있습니다.
이런 '반전세'는 세입자의 부담을 가중시키는데다, 세금탈루 우려까지 낳고 있습니다.
박진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2년 전, 입주가 시작됐던 잠실의 대규모 재건축단집니다.
전세계약 시점이 끝나가는 요즘 전셋값은 입주 당시에 비해 두 배 가까이 올랐습니다.
그래도 물량을 구하기 어려워지자, 최근엔 이른바 '반전세'까지 등장했습니다.
기존의 전세보증금 2억 원에다가 달마다 110만 원의 월세를 더 내는 것.
보증금의 비중이 매우 높다는 점에서 기존의 월세와는 비교됩니다.
<인터뷰> 김치순(공인중개사) : "전세도 없으니까 주인들이 반월세 (반전세)를 요구하면 울며겨자먹기로 어쩔 수 없이하는 경우들도 있고요."
잠실에서 시작된 이런 '반전세' 전환은 강남과 수도권 일대로 번지고 있습니다.
<인터뷰> 박성진(공인중개사) : " 학군이나 교통이 좋은 지역 같은 경우에는보증금이 많이 올랐기 때문에 반전세 전환이나 전세보증금 대출을 받으셔서 증액하는 경우가 많이 생겼습니다."
거액의 보증금에다가 월세부담까지 지게 된 세입자들의 부담은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녹취> 반전세 세입자 : "그런 돈을 매달 안 내다가, 월세 개념이 없다가 갑자기 거의 80만 원씩 내려고 하니까 많이 부담스럽습니다."
특히 반전세로 바꿔도 기존의 전세계약 형식을 유지합니다.
달마다 100만 원 이상의 임대수입이 생겨도 대부분 세금을 신고하지 않기 때문에 집주인에게만 지나치게 유리한 제도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9(경인)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박진영 기자 parkjy@kbs.co.kr
박진영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