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를 넘어섰습니다.
특히 장바구니 물가에 큰 영향을 주는 신선식품의 가격 상승률이 무려 50%에 육박했습니다.
윤양균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채소값 폭등세가 한풀 꺾였다지만 아직도 선뜻 사기에는 부담스럽다는 게 주부들의 반응입니다.
<인터뷰> 남은옥(서울 신길동) : "그래도 할 수 없이 먹어야 되니까 지금 사긴 샀어요. 근데 너무 비싸서 힘들어요. 이렇게 힘들어서 어떻게 살아요."
지난달 배추와 무 등 채소값이 폭등세를 보이면서 전체 신선식품은 1년 전보다 50% 가까이 올랐습니다.
전체 물가상승률도 한국은행 관리목표 상한치인 4%를 뛰어넘으면서 20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정부는 채소값 폭등세가 진정됐기 때문에 물가 불안은 곧 진정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양동희(통계청 물가동향과장) : "채소나 농산물 가격이 많이 떨어지면 물가는 상당히 안정기조로 3% 초반 때까지도 떨어질 수 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문제는 심리적으로 물가 상승세가 이어질 수도 있다는 겁니다.
<인터뷰> 이은미(삼성경제연구소 수석) : "이러한 농산물 가격 상승이 2차 상품가격으로 연결될거라는 우려로 물가 불안 심리를 자극할 수 있습니다."
물가불안심리와 관련해 이번 달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인지에 관심이 모아 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윤양균입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를 넘어섰습니다.
특히 장바구니 물가에 큰 영향을 주는 신선식품의 가격 상승률이 무려 50%에 육박했습니다.
윤양균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채소값 폭등세가 한풀 꺾였다지만 아직도 선뜻 사기에는 부담스럽다는 게 주부들의 반응입니다.
<인터뷰> 남은옥(서울 신길동) : "그래도 할 수 없이 먹어야 되니까 지금 사긴 샀어요. 근데 너무 비싸서 힘들어요. 이렇게 힘들어서 어떻게 살아요."
지난달 배추와 무 등 채소값이 폭등세를 보이면서 전체 신선식품은 1년 전보다 50% 가까이 올랐습니다.
전체 물가상승률도 한국은행 관리목표 상한치인 4%를 뛰어넘으면서 20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정부는 채소값 폭등세가 진정됐기 때문에 물가 불안은 곧 진정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양동희(통계청 물가동향과장) : "채소나 농산물 가격이 많이 떨어지면 물가는 상당히 안정기조로 3% 초반 때까지도 떨어질 수 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문제는 심리적으로 물가 상승세가 이어질 수도 있다는 겁니다.
<인터뷰> 이은미(삼성경제연구소 수석) : "이러한 농산물 가격 상승이 2차 상품가격으로 연결될거라는 우려로 물가 불안 심리를 자극할 수 있습니다."
물가불안심리와 관련해 이번 달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인지에 관심이 모아 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윤양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소비자물가 4.1% 상승, 20개월만에 최대
-
- 입력 2010-11-02 08:15:32

<앵커 멘트>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를 넘어섰습니다.
특히 장바구니 물가에 큰 영향을 주는 신선식품의 가격 상승률이 무려 50%에 육박했습니다.
윤양균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채소값 폭등세가 한풀 꺾였다지만 아직도 선뜻 사기에는 부담스럽다는 게 주부들의 반응입니다.
<인터뷰> 남은옥(서울 신길동) : "그래도 할 수 없이 먹어야 되니까 지금 사긴 샀어요. 근데 너무 비싸서 힘들어요. 이렇게 힘들어서 어떻게 살아요."
지난달 배추와 무 등 채소값이 폭등세를 보이면서 전체 신선식품은 1년 전보다 50% 가까이 올랐습니다.
전체 물가상승률도 한국은행 관리목표 상한치인 4%를 뛰어넘으면서 20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정부는 채소값 폭등세가 진정됐기 때문에 물가 불안은 곧 진정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양동희(통계청 물가동향과장) : "채소나 농산물 가격이 많이 떨어지면 물가는 상당히 안정기조로 3% 초반 때까지도 떨어질 수 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문제는 심리적으로 물가 상승세가 이어질 수도 있다는 겁니다.
<인터뷰> 이은미(삼성경제연구소 수석) : "이러한 농산물 가격 상승이 2차 상품가격으로 연결될거라는 우려로 물가 불안 심리를 자극할 수 있습니다."
물가불안심리와 관련해 이번 달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인지에 관심이 모아 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윤양균입니다.
-
-
윤양균 기자 ykyoon@kbs.co.kr
윤양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