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하마을 부엉이바위 추락사고 방지대책 시급

입력 2010.11.23 (10: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해시ㆍ경찰ㆍ봉하재단 책임 미루기..모방사건 가능성 상존

지난해 5월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이 투신했던 경남 김해시 봉하마을뒤편 부엉이바위에서 최근 50대 남성이 떨어져 숨진 일을 계기로 안전대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주민들은 '안전 사각지대'로 방치되던 이곳에서 우려했던 일이 결국 터졌다며 또 다른 사고를 우려하고 있으나 김해시와 경찰, 봉하재단 등은 서로 책임을 미루고 있다.

23일 봉하마을 주민 등에 따르면 김해시는 지난해 노 전 대통령의 영결식이 끝난 뒤 1주일 가량 부엉이바위 주변과 등산로 일부에 안전망을 설치하고 위험을 알리는 안내판만 설치했을 뿐 지금까지 아무런 안전조처를 취하지 않고 있다.

해발 140m의 봉화산 7부 능선에 위치한 부엉이바위는 경사가 70도에 이를 정도로 가파르고 높이는 45m에 달해 매우 위험한 곳이다.

이곳은 방문객들이 노 전 대통령 묘역에서 불과 5분이면 오를 수 있을 만큼 가깝지만 나무와 로프로 엮어만든 허술한 안전펜스는 제기능을 하지 못했고 '위험! 들어가지 마세요'라는 안내판은 헛구호에 불과했음이 최근 50대 추락사고로 입증됐다.

봉하마을 사저 경비를 맡은 경찰도 지난해 노 전 대통령 투신사건 이후 이곳에서 수사 목적으로 한시적으로 경비 근무를 섰지만 영결식이 끝난 뒤 곧바로 철수했다.

이후 이 바위 입구에 설치했던 안전펜스는 방문객들에 의해 훼손돼 대부분 사라졌고 바위 위에는 방문객들이 국화와 담배를 놓고 가거나 바위 부근에서 사진촬영을 하는 등 아찔한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김해시와 경찰은 '사후 약방문'으로 22일 안전문제 등을 협의했지만 뚜렷한 대책을 내놓지 못했다.

경찰은 "경비구역이 사저와 묘역으로 정해져 있어 야산까지 경비를 확대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산림지역을 관리하는 김해시와 묘역관리를 맡고 있는 봉하재단에서 좀 더 구체적인 안전대책을 마련돼야 할 것 같다"며 은근히 책임을 미루고 있다.

김해시는 이번 사건 이후 부엉이바위 입구에 훼손된 안전망에 임시로 지주목을 격자 형태로 덧대 방문객들의 출입을 막도록 했지만 '땜질식'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시 관계자는 "바위 주변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산불감시원을 상시 배치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지만 안전문제인데다 묘역시설과 연계된 만큼 경찰과 봉하재단측에서 적극적인 대책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봉하재단은 "국가로부터 아무런 지원을 받지 않고 있는데다 묘역관리와 참배객 안내도 힘겨운 상황에서 안전대책까지 세우는 것은 어렵다"며 "시와 경찰에다 안전대책을 촉구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처럼 3자가 책임을 미루고 있는 상황에서 봉하마을에는 최근 평일에는 평균 2천명, 주말에는 5천여명이 찾고 있으며 올들어 지난달 말까지 전국 각지에서 67만6천명이 방문해 마을 전체에 대한 안전대책 수립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봉하마을 부엉이바위 추락사고 방지대책 시급
    • 입력 2010-11-23 10:10:05
    연합뉴스
김해시ㆍ경찰ㆍ봉하재단 책임 미루기..모방사건 가능성 상존 지난해 5월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이 투신했던 경남 김해시 봉하마을뒤편 부엉이바위에서 최근 50대 남성이 떨어져 숨진 일을 계기로 안전대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주민들은 '안전 사각지대'로 방치되던 이곳에서 우려했던 일이 결국 터졌다며 또 다른 사고를 우려하고 있으나 김해시와 경찰, 봉하재단 등은 서로 책임을 미루고 있다. 23일 봉하마을 주민 등에 따르면 김해시는 지난해 노 전 대통령의 영결식이 끝난 뒤 1주일 가량 부엉이바위 주변과 등산로 일부에 안전망을 설치하고 위험을 알리는 안내판만 설치했을 뿐 지금까지 아무런 안전조처를 취하지 않고 있다. 해발 140m의 봉화산 7부 능선에 위치한 부엉이바위는 경사가 70도에 이를 정도로 가파르고 높이는 45m에 달해 매우 위험한 곳이다. 이곳은 방문객들이 노 전 대통령 묘역에서 불과 5분이면 오를 수 있을 만큼 가깝지만 나무와 로프로 엮어만든 허술한 안전펜스는 제기능을 하지 못했고 '위험! 들어가지 마세요'라는 안내판은 헛구호에 불과했음이 최근 50대 추락사고로 입증됐다. 봉하마을 사저 경비를 맡은 경찰도 지난해 노 전 대통령 투신사건 이후 이곳에서 수사 목적으로 한시적으로 경비 근무를 섰지만 영결식이 끝난 뒤 곧바로 철수했다. 이후 이 바위 입구에 설치했던 안전펜스는 방문객들에 의해 훼손돼 대부분 사라졌고 바위 위에는 방문객들이 국화와 담배를 놓고 가거나 바위 부근에서 사진촬영을 하는 등 아찔한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김해시와 경찰은 '사후 약방문'으로 22일 안전문제 등을 협의했지만 뚜렷한 대책을 내놓지 못했다. 경찰은 "경비구역이 사저와 묘역으로 정해져 있어 야산까지 경비를 확대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산림지역을 관리하는 김해시와 묘역관리를 맡고 있는 봉하재단에서 좀 더 구체적인 안전대책을 마련돼야 할 것 같다"며 은근히 책임을 미루고 있다. 김해시는 이번 사건 이후 부엉이바위 입구에 훼손된 안전망에 임시로 지주목을 격자 형태로 덧대 방문객들의 출입을 막도록 했지만 '땜질식'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시 관계자는 "바위 주변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산불감시원을 상시 배치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지만 안전문제인데다 묘역시설과 연계된 만큼 경찰과 봉하재단측에서 적극적인 대책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봉하재단은 "국가로부터 아무런 지원을 받지 않고 있는데다 묘역관리와 참배객 안내도 힘겨운 상황에서 안전대책까지 세우는 것은 어렵다"며 "시와 경찰에다 안전대책을 촉구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처럼 3자가 책임을 미루고 있는 상황에서 봉하마을에는 최근 평일에는 평균 2천명, 주말에는 5천여명이 찾고 있으며 올들어 지난달 말까지 전국 각지에서 67만6천명이 방문해 마을 전체에 대한 안전대책 수립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