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확산일로…정부 방역대책 속수무책

입력 2011.01.06 (10: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제역 확산으로 인한 매몰대상 가축 두수가 100만 마리에 육박한 가운데 정부의 초동방역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쏟아지고 있다.

정부가 중앙재난대책안전본부까지 설치하며 부산하게 움직이고 있지만 구제역은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확산 일로로 치닫는 형국이다.

급기야 이명박 대통령은 6일 긴급 대책회의를 열어 정부 대응의 문제점을 점검하고 "근본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하기에 이르렀다.

◇초동대응 미흡..백신접종도 '실기'

농림수산식품부 차원의 대응만으로는 부족하다고 여긴 정부가 중앙재난대책안전본부까지 설치하며 방역과 구제역 확산 차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엄청난 전염성 앞에서는 역부족이다.

구제역이 이처럼 일파만파로 번져나가는 배경에는 당국의 안일한 태도에 따른 초동방역 실패가 큰 원인으로 지목된다. 안동의 돼지 농가에서 11월 23일 최초로 구제역 의심 신고를 했으나 이를 엿새나 방치하는 바람에 피해가 커졌다는 것이다.

전염력이 매우 강한 구제역 바이러스의 특성상 6일이라는 시간은 전국으로 확산되기에 그리 짧은 시간이 아니다. 또 11월 23~28일 안동 지역의 한우 15마리가 경기와 경남, 충북 등지로 빠져나가는 등 차단망에 허점도 드러났다.

첫 의심 신고를 접수하자마자 차단방역 등 초동대처를 발 빠르게 진행했다면 구제역 사태가 지금처럼 확산되지는 않았을 수 있다는 지적의 목소리가 높다.

백신 접종의 시기도 실기(失期)했다는 지적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백신 접종이 살(殺)처분을 통한 차단 방역이 실패로 돌아갔을 때 선택하는 최후 수단이라는 점을 십분 고려하더라도 좀 더 일찍 백신접종이라는 결단을 내렸어야 한다는 비판이다.

백신 접종의 범위가 점점 확대되고 있다는 것은 결국 백신 접종의 시기가 늦어져 접종 효과가 미약함을 증명하는 것이다.

정부는 이르면 이날부터 소 이외에 돼지에도 구제역 백신을 접종하는 방안도 신중히 검토하고 있지만, 백신 보유량에 비해 국내에서 사육하는 돼지 수가 적지 않은데다 농가의 반발 등으로 인해 최종 방침을 확정하지는 못하고 여전히 우왕좌왕하는 모습이다.

더군다나 국내에서 사육중인 돼지는 1천만마리, 소는 300만마리에 달하고, 사슴과 염소 등 가축들까지도 접종을 해야하는데다 야생 동물들을 통한 점염가능성 등 변수가 많아 백신접종 확대 역시 물리적으로 구제역을 차단하는 데에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마저도 백신 물량의 공급부족으로 큰 벽에 부닥친 상태다.

이미 접종이 확정된 한우에 배당된 백신물량을 빼면 남은 것은 15만~18만마리 분량에 불과하다. 정부는 당초 오는 14일과 다음 달 초 들여올 예정인 총 525만 마리 분량의 백신을 앞당겨 도입하기 위해 영국 제약업체 측과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당장 접종을 결정한다 하더라도 도입시기가 크게 앞당겨지지 않는 한 백신이 도착하기만을 마냥 기다려야 하는 상황인 것이다.

이에 따라 이명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긴급 구제역 대책회의를 열고 구제역 확산에 대비한 백신 확보와 접종 방안, 중앙정부와 지자체 간 유기적 협조체제 구축방안 등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매몰대상 가축 100만마리 육박

지난해 11월 말 경북 안동에서 시작된 구제역 파동이 한 달여를 넘기면서 충북.경기.강원을 거쳐 충남까지 번지면서 경남과 전남.북, 제주를 제외하고 전국으로 확대됐다. 구제역 피해가축도 한우에서 돼지로 급속히 확산되는 형국이다.

이날 현재까지 구제역은 6개 시.도, 42개 시.군의 91건으로 늘었다. 5일 자정까지 파악된 구제역 백신 접종대상 지역은 전국 7개 시.도 55개 시.군으로 늘었고, 접종 대상도 4만143농가의 소 98만9천293마리로 증가했다.

이번 구제역으로 전국 농가의 매몰대상 가축 두수는 하루 사이에 12만2천여 마리가 늘어 5일까지 총 94만8천364두로 늘었으며 이 가운데 79만9천339두가 살처분.매몰됐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구제역 확산일로…정부 방역대책 속수무책
    • 입력 2011-01-06 10:42:16
    연합뉴스
구제역 확산으로 인한 매몰대상 가축 두수가 100만 마리에 육박한 가운데 정부의 초동방역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쏟아지고 있다. 정부가 중앙재난대책안전본부까지 설치하며 부산하게 움직이고 있지만 구제역은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확산 일로로 치닫는 형국이다. 급기야 이명박 대통령은 6일 긴급 대책회의를 열어 정부 대응의 문제점을 점검하고 "근본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하기에 이르렀다. ◇초동대응 미흡..백신접종도 '실기' 농림수산식품부 차원의 대응만으로는 부족하다고 여긴 정부가 중앙재난대책안전본부까지 설치하며 방역과 구제역 확산 차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엄청난 전염성 앞에서는 역부족이다. 구제역이 이처럼 일파만파로 번져나가는 배경에는 당국의 안일한 태도에 따른 초동방역 실패가 큰 원인으로 지목된다. 안동의 돼지 농가에서 11월 23일 최초로 구제역 의심 신고를 했으나 이를 엿새나 방치하는 바람에 피해가 커졌다는 것이다. 전염력이 매우 강한 구제역 바이러스의 특성상 6일이라는 시간은 전국으로 확산되기에 그리 짧은 시간이 아니다. 또 11월 23~28일 안동 지역의 한우 15마리가 경기와 경남, 충북 등지로 빠져나가는 등 차단망에 허점도 드러났다. 첫 의심 신고를 접수하자마자 차단방역 등 초동대처를 발 빠르게 진행했다면 구제역 사태가 지금처럼 확산되지는 않았을 수 있다는 지적의 목소리가 높다. 백신 접종의 시기도 실기(失期)했다는 지적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백신 접종이 살(殺)처분을 통한 차단 방역이 실패로 돌아갔을 때 선택하는 최후 수단이라는 점을 십분 고려하더라도 좀 더 일찍 백신접종이라는 결단을 내렸어야 한다는 비판이다. 백신 접종의 범위가 점점 확대되고 있다는 것은 결국 백신 접종의 시기가 늦어져 접종 효과가 미약함을 증명하는 것이다. 정부는 이르면 이날부터 소 이외에 돼지에도 구제역 백신을 접종하는 방안도 신중히 검토하고 있지만, 백신 보유량에 비해 국내에서 사육하는 돼지 수가 적지 않은데다 농가의 반발 등으로 인해 최종 방침을 확정하지는 못하고 여전히 우왕좌왕하는 모습이다. 더군다나 국내에서 사육중인 돼지는 1천만마리, 소는 300만마리에 달하고, 사슴과 염소 등 가축들까지도 접종을 해야하는데다 야생 동물들을 통한 점염가능성 등 변수가 많아 백신접종 확대 역시 물리적으로 구제역을 차단하는 데에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마저도 백신 물량의 공급부족으로 큰 벽에 부닥친 상태다. 이미 접종이 확정된 한우에 배당된 백신물량을 빼면 남은 것은 15만~18만마리 분량에 불과하다. 정부는 당초 오는 14일과 다음 달 초 들여올 예정인 총 525만 마리 분량의 백신을 앞당겨 도입하기 위해 영국 제약업체 측과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당장 접종을 결정한다 하더라도 도입시기가 크게 앞당겨지지 않는 한 백신이 도착하기만을 마냥 기다려야 하는 상황인 것이다. 이에 따라 이명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긴급 구제역 대책회의를 열고 구제역 확산에 대비한 백신 확보와 접종 방안, 중앙정부와 지자체 간 유기적 협조체제 구축방안 등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매몰대상 가축 100만마리 육박 지난해 11월 말 경북 안동에서 시작된 구제역 파동이 한 달여를 넘기면서 충북.경기.강원을 거쳐 충남까지 번지면서 경남과 전남.북, 제주를 제외하고 전국으로 확대됐다. 구제역 피해가축도 한우에서 돼지로 급속히 확산되는 형국이다. 이날 현재까지 구제역은 6개 시.도, 42개 시.군의 91건으로 늘었다. 5일 자정까지 파악된 구제역 백신 접종대상 지역은 전국 7개 시.도 55개 시.군으로 늘었고, 접종 대상도 4만143농가의 소 98만9천293마리로 증가했다. 이번 구제역으로 전국 농가의 매몰대상 가축 두수는 하루 사이에 12만2천여 마리가 늘어 5일까지 총 94만8천364두로 늘었으며 이 가운데 79만9천339두가 살처분.매몰됐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