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공공요금 들썩…정부, 물가잡기 총력전
입력 2011.01.06 (22:12) 뉴스 9
<앵커 멘트>
연초부터 뛰기 시작한 물가를 잡기 위해 정부가 발벗고 나섰습니다.
대학 등록금과 전셋값, 생활필수품 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해서 가능한 모든 정책적 수단을 동원하기로 했습니다.
김시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형마트에서 두부와 계란, 양파, 설탕 같은 식료품을 샀습니다.
4개 품목의 가격은 9천5백 원, 지난해 이맘때보다 무려 27%나 올랐습니다.
소비자원 조사에서도 80여 개의 생필품 가운데 20개 값이 전 주보다 올랐습니다.
<인터뷰> 박숭화(서울 염창동) : "조금만 사도 요즘은 5만 원이고, 조금 많이 담았다 하면 10만 원이고..예전에는 이정도 까지는 아니었던 것 같거든요."
상황이 이렇게 되자 정부가 사실상 물가를 잡기 위한 총력전에 돌입했습니다.
우선 교육과학기술부가 주요 대학들에 올해 등록금 인상 자제를 요청하고 국토부는 큰 폭으로 뛰고 있는 전셋값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본래의 임무가 아니라는 논란에도 불구하고 물가 감시 기구를 자처하며, 조직까지 개편했습니다.
<인터뷰> 한철수(공정거래위원회 사무처장) : "국가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정부 기구는 어느 기구가 됐든 자기 맡은 바 역할을 최대한 해야 된다."
금융통화위원회도 오늘 물가 안정 기조를 '확고히' 하겠다고 밝혀 향후 기준금리 인상을 시사했습니다.
정부는 오는 13일 농수산물 등 각종 식료품과 공공요금 안정을 포함한 범정부 차원의 강력한 물가 대책을 발표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김시원입니다.
연초부터 뛰기 시작한 물가를 잡기 위해 정부가 발벗고 나섰습니다.
대학 등록금과 전셋값, 생활필수품 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해서 가능한 모든 정책적 수단을 동원하기로 했습니다.
김시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형마트에서 두부와 계란, 양파, 설탕 같은 식료품을 샀습니다.
4개 품목의 가격은 9천5백 원, 지난해 이맘때보다 무려 27%나 올랐습니다.
소비자원 조사에서도 80여 개의 생필품 가운데 20개 값이 전 주보다 올랐습니다.
<인터뷰> 박숭화(서울 염창동) : "조금만 사도 요즘은 5만 원이고, 조금 많이 담았다 하면 10만 원이고..예전에는 이정도 까지는 아니었던 것 같거든요."
상황이 이렇게 되자 정부가 사실상 물가를 잡기 위한 총력전에 돌입했습니다.
우선 교육과학기술부가 주요 대학들에 올해 등록금 인상 자제를 요청하고 국토부는 큰 폭으로 뛰고 있는 전셋값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본래의 임무가 아니라는 논란에도 불구하고 물가 감시 기구를 자처하며, 조직까지 개편했습니다.
<인터뷰> 한철수(공정거래위원회 사무처장) : "국가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정부 기구는 어느 기구가 됐든 자기 맡은 바 역할을 최대한 해야 된다."
금융통화위원회도 오늘 물가 안정 기조를 '확고히' 하겠다고 밝혀 향후 기준금리 인상을 시사했습니다.
정부는 오는 13일 농수산물 등 각종 식료품과 공공요금 안정을 포함한 범정부 차원의 강력한 물가 대책을 발표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김시원입니다.
- 공공요금 들썩…정부, 물가잡기 총력전
-
- 입력 2011-01-06 22:12:24

<앵커 멘트>
연초부터 뛰기 시작한 물가를 잡기 위해 정부가 발벗고 나섰습니다.
대학 등록금과 전셋값, 생활필수품 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해서 가능한 모든 정책적 수단을 동원하기로 했습니다.
김시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형마트에서 두부와 계란, 양파, 설탕 같은 식료품을 샀습니다.
4개 품목의 가격은 9천5백 원, 지난해 이맘때보다 무려 27%나 올랐습니다.
소비자원 조사에서도 80여 개의 생필품 가운데 20개 값이 전 주보다 올랐습니다.
<인터뷰> 박숭화(서울 염창동) : "조금만 사도 요즘은 5만 원이고, 조금 많이 담았다 하면 10만 원이고..예전에는 이정도 까지는 아니었던 것 같거든요."
상황이 이렇게 되자 정부가 사실상 물가를 잡기 위한 총력전에 돌입했습니다.
우선 교육과학기술부가 주요 대학들에 올해 등록금 인상 자제를 요청하고 국토부는 큰 폭으로 뛰고 있는 전셋값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본래의 임무가 아니라는 논란에도 불구하고 물가 감시 기구를 자처하며, 조직까지 개편했습니다.
<인터뷰> 한철수(공정거래위원회 사무처장) : "국가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정부 기구는 어느 기구가 됐든 자기 맡은 바 역할을 최대한 해야 된다."
금융통화위원회도 오늘 물가 안정 기조를 '확고히' 하겠다고 밝혀 향후 기준금리 인상을 시사했습니다.
정부는 오는 13일 농수산물 등 각종 식료품과 공공요금 안정을 포함한 범정부 차원의 강력한 물가 대책을 발표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김시원입니다.
연초부터 뛰기 시작한 물가를 잡기 위해 정부가 발벗고 나섰습니다.
대학 등록금과 전셋값, 생활필수품 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해서 가능한 모든 정책적 수단을 동원하기로 했습니다.
김시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형마트에서 두부와 계란, 양파, 설탕 같은 식료품을 샀습니다.
4개 품목의 가격은 9천5백 원, 지난해 이맘때보다 무려 27%나 올랐습니다.
소비자원 조사에서도 80여 개의 생필품 가운데 20개 값이 전 주보다 올랐습니다.
<인터뷰> 박숭화(서울 염창동) : "조금만 사도 요즘은 5만 원이고, 조금 많이 담았다 하면 10만 원이고..예전에는 이정도 까지는 아니었던 것 같거든요."
상황이 이렇게 되자 정부가 사실상 물가를 잡기 위한 총력전에 돌입했습니다.
우선 교육과학기술부가 주요 대학들에 올해 등록금 인상 자제를 요청하고 국토부는 큰 폭으로 뛰고 있는 전셋값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본래의 임무가 아니라는 논란에도 불구하고 물가 감시 기구를 자처하며, 조직까지 개편했습니다.
<인터뷰> 한철수(공정거래위원회 사무처장) : "국가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정부 기구는 어느 기구가 됐든 자기 맡은 바 역할을 최대한 해야 된다."
금융통화위원회도 오늘 물가 안정 기조를 '확고히' 하겠다고 밝혀 향후 기준금리 인상을 시사했습니다.
정부는 오는 13일 농수산물 등 각종 식료품과 공공요금 안정을 포함한 범정부 차원의 강력한 물가 대책을 발표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김시원입니다.
뉴스 9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김시원 기자 siwon@kbs.co.kr
김시원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