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세번째 도전!
입력 2011.01.06 (23:47) 뉴스라인
<앵커 멘트>
동계올림픽 유치에 두번이나 고배를 마셨던 평창이, 세번째 도전에 시동을 걸었습니다.
2018 동계올림픽 결정까지 남은 여섯달 동안, 10년간 쌓아온 평창의 힘을 세계에 보여준다는 계획입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엄기숙 기자! (네, 엄기숙 입니다.)
<질문> 평창의 동계올림픽 유치 도전, 이번이 벌써 세번째죠?
<답변>
네, 강원도 평창이 첫번째 동계올림픽 유치에 나선것이 지난 2000년입니다.
올해로 벌써 11년째 길고도 힘든 도전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2010년 동계올림픽 선정 당시 뱅쿠버에게 3 표 차로 개최지를 내줬었구요,
2014년 동계올림픽 유치전에선 러시아 소치에게 2차 투표에서 역전패해 눈물을 삼켜야 했습니다.
그러나 평창은 아픔을 딛고, 2018동계올림픽 유치를 향해 세 번째 도전의 닻을 올렸습니다.
그 첫번째 관문으로,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위원회는 오늘, IOC에 제출할 후보도시 파일에 공식 서명했습니다.
<인터뷰>조양호(유치위원장): "좌절하지 않았고 더욱 진전된 모습을 만들기 위해 부단이 노력해왔기에 이젠 그노력이 열매 거둘때가 됐다고"
후보도시 파일은 오는 11일까지 IOC, 즉 국제올림픽위원회에 제출해야 합니다.
IOC는 후보도시들이 올림픽을 어떻게 치를 계획인지 이 파일을 통해 1차적으로 검증하게 됩니다.
<질문> 이 파일에 평창의 올림픽 유치 전략이 고스란히 담겼을 텐데, 어떤 내용이 포함돼 있습니까?
<답변>
IOC는 이 개최도시파일을 토대로 다음달 16일부터 나흘동안 평창을 찾아 현지실사를 벌입니다.
그만큼 이 파일이 중요할 수 밖에 없는데요.
후보도시 파일에는 스키점프대 등 중요 경기시설이 완성됐고, 30분 거리에 밀도있게 조성됐다는 준비된 평창의 강점이 담겼습니다.
동계올림픽이 아시아로 확산되기 위해서는 꼭 평창에서 개최되야 한다는 명분도 포함됐습니다.
올림픽 특구지정 계획 등 정부의 지원도 강화됐다는 점도 집중 부각했습니다.
<인터뷰>이광재(강원도지사): "도민들의 열광적 지원, 현재 투자한 경기장 시설이구요 그담에 우리가 특별법 지위를 만들어서"
현재 평창의 경쟁도시론 독일 뮌헨과 프랑스 안시가 뛰고 있습니다.
하지만 안시의 경우 유치위원장 사퇴 등 내부갈등을 겪고 있어 사실상, 평창과 뮌헨의 2파전 양상입니다.
평창의 꿈, 2018동계올림픽 개최지는 오는 7월 6일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 열리는 IOC총회에서 최종 결정됩니다.
KBS 뉴스 엄기숙 입니다.
동계올림픽 유치에 두번이나 고배를 마셨던 평창이, 세번째 도전에 시동을 걸었습니다.
2018 동계올림픽 결정까지 남은 여섯달 동안, 10년간 쌓아온 평창의 힘을 세계에 보여준다는 계획입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엄기숙 기자! (네, 엄기숙 입니다.)
<질문> 평창의 동계올림픽 유치 도전, 이번이 벌써 세번째죠?
<답변>
네, 강원도 평창이 첫번째 동계올림픽 유치에 나선것이 지난 2000년입니다.
올해로 벌써 11년째 길고도 힘든 도전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2010년 동계올림픽 선정 당시 뱅쿠버에게 3 표 차로 개최지를 내줬었구요,
2014년 동계올림픽 유치전에선 러시아 소치에게 2차 투표에서 역전패해 눈물을 삼켜야 했습니다.
그러나 평창은 아픔을 딛고, 2018동계올림픽 유치를 향해 세 번째 도전의 닻을 올렸습니다.
그 첫번째 관문으로,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위원회는 오늘, IOC에 제출할 후보도시 파일에 공식 서명했습니다.
<인터뷰>조양호(유치위원장): "좌절하지 않았고 더욱 진전된 모습을 만들기 위해 부단이 노력해왔기에 이젠 그노력이 열매 거둘때가 됐다고"
후보도시 파일은 오는 11일까지 IOC, 즉 국제올림픽위원회에 제출해야 합니다.
IOC는 후보도시들이 올림픽을 어떻게 치를 계획인지 이 파일을 통해 1차적으로 검증하게 됩니다.
<질문> 이 파일에 평창의 올림픽 유치 전략이 고스란히 담겼을 텐데, 어떤 내용이 포함돼 있습니까?
<답변>
IOC는 이 개최도시파일을 토대로 다음달 16일부터 나흘동안 평창을 찾아 현지실사를 벌입니다.
그만큼 이 파일이 중요할 수 밖에 없는데요.
후보도시 파일에는 스키점프대 등 중요 경기시설이 완성됐고, 30분 거리에 밀도있게 조성됐다는 준비된 평창의 강점이 담겼습니다.
동계올림픽이 아시아로 확산되기 위해서는 꼭 평창에서 개최되야 한다는 명분도 포함됐습니다.
올림픽 특구지정 계획 등 정부의 지원도 강화됐다는 점도 집중 부각했습니다.
<인터뷰>이광재(강원도지사): "도민들의 열광적 지원, 현재 투자한 경기장 시설이구요 그담에 우리가 특별법 지위를 만들어서"
현재 평창의 경쟁도시론 독일 뮌헨과 프랑스 안시가 뛰고 있습니다.
하지만 안시의 경우 유치위원장 사퇴 등 내부갈등을 겪고 있어 사실상, 평창과 뮌헨의 2파전 양상입니다.
평창의 꿈, 2018동계올림픽 개최지는 오는 7월 6일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 열리는 IOC총회에서 최종 결정됩니다.
KBS 뉴스 엄기숙 입니다.
-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세번째 도전!
-
- 입력 2011-01-06 23:47:31

<앵커 멘트>
동계올림픽 유치에 두번이나 고배를 마셨던 평창이, 세번째 도전에 시동을 걸었습니다.
2018 동계올림픽 결정까지 남은 여섯달 동안, 10년간 쌓아온 평창의 힘을 세계에 보여준다는 계획입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엄기숙 기자! (네, 엄기숙 입니다.)
<질문> 평창의 동계올림픽 유치 도전, 이번이 벌써 세번째죠?
<답변>
네, 강원도 평창이 첫번째 동계올림픽 유치에 나선것이 지난 2000년입니다.
올해로 벌써 11년째 길고도 힘든 도전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2010년 동계올림픽 선정 당시 뱅쿠버에게 3 표 차로 개최지를 내줬었구요,
2014년 동계올림픽 유치전에선 러시아 소치에게 2차 투표에서 역전패해 눈물을 삼켜야 했습니다.
그러나 평창은 아픔을 딛고, 2018동계올림픽 유치를 향해 세 번째 도전의 닻을 올렸습니다.
그 첫번째 관문으로,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위원회는 오늘, IOC에 제출할 후보도시 파일에 공식 서명했습니다.
<인터뷰>조양호(유치위원장): "좌절하지 않았고 더욱 진전된 모습을 만들기 위해 부단이 노력해왔기에 이젠 그노력이 열매 거둘때가 됐다고"
후보도시 파일은 오는 11일까지 IOC, 즉 국제올림픽위원회에 제출해야 합니다.
IOC는 후보도시들이 올림픽을 어떻게 치를 계획인지 이 파일을 통해 1차적으로 검증하게 됩니다.
<질문> 이 파일에 평창의 올림픽 유치 전략이 고스란히 담겼을 텐데, 어떤 내용이 포함돼 있습니까?
<답변>
IOC는 이 개최도시파일을 토대로 다음달 16일부터 나흘동안 평창을 찾아 현지실사를 벌입니다.
그만큼 이 파일이 중요할 수 밖에 없는데요.
후보도시 파일에는 스키점프대 등 중요 경기시설이 완성됐고, 30분 거리에 밀도있게 조성됐다는 준비된 평창의 강점이 담겼습니다.
동계올림픽이 아시아로 확산되기 위해서는 꼭 평창에서 개최되야 한다는 명분도 포함됐습니다.
올림픽 특구지정 계획 등 정부의 지원도 강화됐다는 점도 집중 부각했습니다.
<인터뷰>이광재(강원도지사): "도민들의 열광적 지원, 현재 투자한 경기장 시설이구요 그담에 우리가 특별법 지위를 만들어서"
현재 평창의 경쟁도시론 독일 뮌헨과 프랑스 안시가 뛰고 있습니다.
하지만 안시의 경우 유치위원장 사퇴 등 내부갈등을 겪고 있어 사실상, 평창과 뮌헨의 2파전 양상입니다.
평창의 꿈, 2018동계올림픽 개최지는 오는 7월 6일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 열리는 IOC총회에서 최종 결정됩니다.
KBS 뉴스 엄기숙 입니다.
동계올림픽 유치에 두번이나 고배를 마셨던 평창이, 세번째 도전에 시동을 걸었습니다.
2018 동계올림픽 결정까지 남은 여섯달 동안, 10년간 쌓아온 평창의 힘을 세계에 보여준다는 계획입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엄기숙 기자! (네, 엄기숙 입니다.)
<질문> 평창의 동계올림픽 유치 도전, 이번이 벌써 세번째죠?
<답변>
네, 강원도 평창이 첫번째 동계올림픽 유치에 나선것이 지난 2000년입니다.
올해로 벌써 11년째 길고도 힘든 도전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2010년 동계올림픽 선정 당시 뱅쿠버에게 3 표 차로 개최지를 내줬었구요,
2014년 동계올림픽 유치전에선 러시아 소치에게 2차 투표에서 역전패해 눈물을 삼켜야 했습니다.
그러나 평창은 아픔을 딛고, 2018동계올림픽 유치를 향해 세 번째 도전의 닻을 올렸습니다.
그 첫번째 관문으로,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위원회는 오늘, IOC에 제출할 후보도시 파일에 공식 서명했습니다.
<인터뷰>조양호(유치위원장): "좌절하지 않았고 더욱 진전된 모습을 만들기 위해 부단이 노력해왔기에 이젠 그노력이 열매 거둘때가 됐다고"
후보도시 파일은 오는 11일까지 IOC, 즉 국제올림픽위원회에 제출해야 합니다.
IOC는 후보도시들이 올림픽을 어떻게 치를 계획인지 이 파일을 통해 1차적으로 검증하게 됩니다.
<질문> 이 파일에 평창의 올림픽 유치 전략이 고스란히 담겼을 텐데, 어떤 내용이 포함돼 있습니까?
<답변>
IOC는 이 개최도시파일을 토대로 다음달 16일부터 나흘동안 평창을 찾아 현지실사를 벌입니다.
그만큼 이 파일이 중요할 수 밖에 없는데요.
후보도시 파일에는 스키점프대 등 중요 경기시설이 완성됐고, 30분 거리에 밀도있게 조성됐다는 준비된 평창의 강점이 담겼습니다.
동계올림픽이 아시아로 확산되기 위해서는 꼭 평창에서 개최되야 한다는 명분도 포함됐습니다.
올림픽 특구지정 계획 등 정부의 지원도 강화됐다는 점도 집중 부각했습니다.
<인터뷰>이광재(강원도지사): "도민들의 열광적 지원, 현재 투자한 경기장 시설이구요 그담에 우리가 특별법 지위를 만들어서"
현재 평창의 경쟁도시론 독일 뮌헨과 프랑스 안시가 뛰고 있습니다.
하지만 안시의 경우 유치위원장 사퇴 등 내부갈등을 겪고 있어 사실상, 평창과 뮌헨의 2파전 양상입니다.
평창의 꿈, 2018동계올림픽 개최지는 오는 7월 6일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 열리는 IOC총회에서 최종 결정됩니다.
KBS 뉴스 엄기숙 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뉴스라인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엄기숙 기자 hotpencil@kbs.co.kr
엄기숙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