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카드 정보 판매부터 복제카드 판매, 돈세탁, 불법구매 대행까지
훔친 신용카드 정보 한건 당 2달러, 스팸메일 보내는 데 필요한 컴퓨터망 대여에 15달러.
컴퓨터 보안업체 판다시큐리티가 온라인 범죄망에 대한 비밀조사를 벌인 결과 사이버 범죄꾼들의 '사업 영역'이 은행계좌나 신용카드 정보를 훔쳐 파는 것에서부터 접속 식별번호와 비밀번호, 복제 신용카드와 기타 자료 등 "훨씬 광범위한 범위의 훔친 비밀정보"에 이르기까지 다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는 급성장하는 산업"으로 "사이버 범죄꾼들은 팔아먹기 위한 개인정보를 훔치기 위해 서로 돕고 부추기고 있다"고 이 회사는 설명하고, 각종 게시판과 50개 이상의 전용 온라인 상점에서 은행계좌정보를 비롯한 각종 훔친 정보를 파는 거대한 사이버범죄꾼 조직도 발견했다고 덧붙였다.
일부 사이버 범죄꾼들은 대담하게도 자신들의 '상품 진열장'으로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계정을 사용하기도 한다고 판다시큐리티는 밝혔다.
2달러짜리 신용카드 정보엔 신용한도나 은행 예금잔고 등의 정보는 들어 있지 않다. 이런 고급정보까지 포함된 신용카드 정보의 가치는 예금잔고가 비교적 소액일 경우는 80달러, 8만2천달러의 잔고가 있는 계좌 접근 정보는 700달러를 상회한다.
또 스팸 메일 등을 보내기 위한 감염된 컴퓨터망인 봇넷을 빌려주는 대가는 최저 15달러에서부터 시작한다.
복제 신용카드나 현금카드도 180달러부터 팔리고 있었고, 돈세탁 서비스 수수료는 세탁 금액에 따라 10-40%였다.
사이버 범죄꾼들은 불법으로 구매한 상품들을 배달하는 일도 돈을 받고 해준다.
"구매자가 훔진 은행정보로 온라인에서 물건을 사려는데 배송지 주소 때문에 추적당하는 것이 겁나면 사이버 범죄꾼들이 구매를 대신해주고 30달러에서 300달러의 비용을 받고 이 상품을 보내준다"고 판다시큐리티는 실태를 밝혔다.
훔친 신용카드 정보 한건 당 2달러, 스팸메일 보내는 데 필요한 컴퓨터망 대여에 15달러.
컴퓨터 보안업체 판다시큐리티가 온라인 범죄망에 대한 비밀조사를 벌인 결과 사이버 범죄꾼들의 '사업 영역'이 은행계좌나 신용카드 정보를 훔쳐 파는 것에서부터 접속 식별번호와 비밀번호, 복제 신용카드와 기타 자료 등 "훨씬 광범위한 범위의 훔친 비밀정보"에 이르기까지 다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는 급성장하는 산업"으로 "사이버 범죄꾼들은 팔아먹기 위한 개인정보를 훔치기 위해 서로 돕고 부추기고 있다"고 이 회사는 설명하고, 각종 게시판과 50개 이상의 전용 온라인 상점에서 은행계좌정보를 비롯한 각종 훔친 정보를 파는 거대한 사이버범죄꾼 조직도 발견했다고 덧붙였다.
일부 사이버 범죄꾼들은 대담하게도 자신들의 '상품 진열장'으로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계정을 사용하기도 한다고 판다시큐리티는 밝혔다.
2달러짜리 신용카드 정보엔 신용한도나 은행 예금잔고 등의 정보는 들어 있지 않다. 이런 고급정보까지 포함된 신용카드 정보의 가치는 예금잔고가 비교적 소액일 경우는 80달러, 8만2천달러의 잔고가 있는 계좌 접근 정보는 700달러를 상회한다.
또 스팸 메일 등을 보내기 위한 감염된 컴퓨터망인 봇넷을 빌려주는 대가는 최저 15달러에서부터 시작한다.
복제 신용카드나 현금카드도 180달러부터 팔리고 있었고, 돈세탁 서비스 수수료는 세탁 금액에 따라 10-40%였다.
사이버 범죄꾼들은 불법으로 구매한 상품들을 배달하는 일도 돈을 받고 해준다.
"구매자가 훔진 은행정보로 온라인에서 물건을 사려는데 배송지 주소 때문에 추적당하는 것이 겁나면 사이버 범죄꾼들이 구매를 대신해주고 30달러에서 300달러의 비용을 받고 이 상품을 보내준다"고 판다시큐리티는 실태를 밝혔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사이버 범죄는 급성장 사업…영역도 다변화”
-
- 입력 2011-01-21 16:53:17
신용카드 정보 판매부터 복제카드 판매, 돈세탁, 불법구매 대행까지
훔친 신용카드 정보 한건 당 2달러, 스팸메일 보내는 데 필요한 컴퓨터망 대여에 15달러.
컴퓨터 보안업체 판다시큐리티가 온라인 범죄망에 대한 비밀조사를 벌인 결과 사이버 범죄꾼들의 '사업 영역'이 은행계좌나 신용카드 정보를 훔쳐 파는 것에서부터 접속 식별번호와 비밀번호, 복제 신용카드와 기타 자료 등 "훨씬 광범위한 범위의 훔친 비밀정보"에 이르기까지 다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는 급성장하는 산업"으로 "사이버 범죄꾼들은 팔아먹기 위한 개인정보를 훔치기 위해 서로 돕고 부추기고 있다"고 이 회사는 설명하고, 각종 게시판과 50개 이상의 전용 온라인 상점에서 은행계좌정보를 비롯한 각종 훔친 정보를 파는 거대한 사이버범죄꾼 조직도 발견했다고 덧붙였다.
일부 사이버 범죄꾼들은 대담하게도 자신들의 '상품 진열장'으로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계정을 사용하기도 한다고 판다시큐리티는 밝혔다.
2달러짜리 신용카드 정보엔 신용한도나 은행 예금잔고 등의 정보는 들어 있지 않다. 이런 고급정보까지 포함된 신용카드 정보의 가치는 예금잔고가 비교적 소액일 경우는 80달러, 8만2천달러의 잔고가 있는 계좌 접근 정보는 700달러를 상회한다.
또 스팸 메일 등을 보내기 위한 감염된 컴퓨터망인 봇넷을 빌려주는 대가는 최저 15달러에서부터 시작한다.
복제 신용카드나 현금카드도 180달러부터 팔리고 있었고, 돈세탁 서비스 수수료는 세탁 금액에 따라 10-40%였다.
사이버 범죄꾼들은 불법으로 구매한 상품들을 배달하는 일도 돈을 받고 해준다.
"구매자가 훔진 은행정보로 온라인에서 물건을 사려는데 배송지 주소 때문에 추적당하는 것이 겁나면 사이버 범죄꾼들이 구매를 대신해주고 30달러에서 300달러의 비용을 받고 이 상품을 보내준다"고 판다시큐리티는 실태를 밝혔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