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지난해 인구 이동 전년보다 26만 천명 감소
입력 2011.02.17 (12:40) 수정 2011.02.17 (17:10) 경제
지난해 읍, 면, 동 경계를 넘어 이동한 사람의 숫자가 전년보다 3.1% 줄어 1998년 이후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0년 국내인구이동 통계를 보면 지난해 읍, 면, 동 경계를 넘어 이동한 사람의 수는 822만 7천 명으로 1년 전보다 26만 천명 감소했습니다.
인구 100명당 이동자의 수를 나타내는 이동률은 지난해 16.5%로 전년보다 0.6% 포인트 감소했습니다.
시도 내 이동률은 11.2%, 시도 간 이동률은 5.3%로 1년 전보다 각각 0.4% 포인트, 0.2% 포인트 줄었습니다.
통계청은 미국과 일본에서도 교통과 통신 발달 등에 따라 인구의 도시집중화 현상이 약해지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이런 이유 때문에 1990년대부터 인구 이동률이 꾸준히 낮아지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0년 국내인구이동 통계를 보면 지난해 읍, 면, 동 경계를 넘어 이동한 사람의 수는 822만 7천 명으로 1년 전보다 26만 천명 감소했습니다.
인구 100명당 이동자의 수를 나타내는 이동률은 지난해 16.5%로 전년보다 0.6% 포인트 감소했습니다.
시도 내 이동률은 11.2%, 시도 간 이동률은 5.3%로 1년 전보다 각각 0.4% 포인트, 0.2% 포인트 줄었습니다.
통계청은 미국과 일본에서도 교통과 통신 발달 등에 따라 인구의 도시집중화 현상이 약해지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이런 이유 때문에 1990년대부터 인구 이동률이 꾸준히 낮아지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 지난해 인구 이동 전년보다 26만 천명 감소
-
- 입력 2011-02-17 12:40:21
- 수정2011-02-17 17:10:52
지난해 읍, 면, 동 경계를 넘어 이동한 사람의 숫자가 전년보다 3.1% 줄어 1998년 이후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0년 국내인구이동 통계를 보면 지난해 읍, 면, 동 경계를 넘어 이동한 사람의 수는 822만 7천 명으로 1년 전보다 26만 천명 감소했습니다.
인구 100명당 이동자의 수를 나타내는 이동률은 지난해 16.5%로 전년보다 0.6% 포인트 감소했습니다.
시도 내 이동률은 11.2%, 시도 간 이동률은 5.3%로 1년 전보다 각각 0.4% 포인트, 0.2% 포인트 줄었습니다.
통계청은 미국과 일본에서도 교통과 통신 발달 등에 따라 인구의 도시집중화 현상이 약해지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이런 이유 때문에 1990년대부터 인구 이동률이 꾸준히 낮아지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0년 국내인구이동 통계를 보면 지난해 읍, 면, 동 경계를 넘어 이동한 사람의 수는 822만 7천 명으로 1년 전보다 26만 천명 감소했습니다.
인구 100명당 이동자의 수를 나타내는 이동률은 지난해 16.5%로 전년보다 0.6% 포인트 감소했습니다.
시도 내 이동률은 11.2%, 시도 간 이동률은 5.3%로 1년 전보다 각각 0.4% 포인트, 0.2% 포인트 줄었습니다.
통계청은 미국과 일본에서도 교통과 통신 발달 등에 따라 인구의 도시집중화 현상이 약해지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이런 이유 때문에 1990년대부터 인구 이동률이 꾸준히 낮아지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자 정보
-
-
최대수 기자 freehead@kbs.co.kr
최대수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