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체육 근간 뒤흔들 ‘기금 이전 반대’
입력 2011.02.17 (22:15) 뉴스 9
<앵커 멘트>
체육진흥투표권,이른바 스포츠토토 사업을 통해 조성된 체육기금을 지방세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에 대해 스포츠계가 강력히 반발하고 있습니다.
체육기금을 딴곳으로 돌리면 국내 스포츠의 근간이 크게 흔들릴것이라는 우려때문입니다.
박종복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요즘 배구와 농구등 각 경기장엔 때아닌 플랭카드와 구호들이 넘칩니다.
또,경기장 밖에서는 장애체육인들까지 목소리를 높입니다.
일부 의원들이 스포츠토토를 통해 조성된 체육기금 약 3천억원을 지방자치단체를 지원하는 예산으로 바꾸려는 법안을 발의했기때문입니다.
<인터뷰> 김정권(국회의원) : "직접 지방에 기금을 돌려 줌으로써 지방체육을 활성화 하자는 취지로 이해하면 된다"
그러나 스포츠와 문화계는 체육기금이 동계올림픽 유치등 체육진흥과 문화,공익사업비로 써야지 지방세로 이전하는것은 말도되지 않는다고 주장합니다.
또 체육기금이 대폭 줄어들면 일반 생활체육은 물론 제 2의 김연아와 박태환 등 유망주 발굴과 장애인 스포츠가 크게 위축될것으로 우려합니다.
<인터뷰> 대한장애인 체육회 관계자 : "국제대회 지도자파견,합숙 등 어려가지 어려운 상황에 처해질것 같다"
스포츠 토토 즉 체육투표권 사업은 ’국민의 여가와 체육발전을 위한 것" 이라고 현행법에 명시돼 있습니다.
법을 바꾸면서까지 지방세수를 늘리는게 맞는지,국민 건강과 여가를 위해 써야하는지 현명한 판단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KBS 뉴스 박종복입니다.
체육진흥투표권,이른바 스포츠토토 사업을 통해 조성된 체육기금을 지방세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에 대해 스포츠계가 강력히 반발하고 있습니다.
체육기금을 딴곳으로 돌리면 국내 스포츠의 근간이 크게 흔들릴것이라는 우려때문입니다.
박종복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요즘 배구와 농구등 각 경기장엔 때아닌 플랭카드와 구호들이 넘칩니다.
또,경기장 밖에서는 장애체육인들까지 목소리를 높입니다.
일부 의원들이 스포츠토토를 통해 조성된 체육기금 약 3천억원을 지방자치단체를 지원하는 예산으로 바꾸려는 법안을 발의했기때문입니다.
<인터뷰> 김정권(국회의원) : "직접 지방에 기금을 돌려 줌으로써 지방체육을 활성화 하자는 취지로 이해하면 된다"
그러나 스포츠와 문화계는 체육기금이 동계올림픽 유치등 체육진흥과 문화,공익사업비로 써야지 지방세로 이전하는것은 말도되지 않는다고 주장합니다.
또 체육기금이 대폭 줄어들면 일반 생활체육은 물론 제 2의 김연아와 박태환 등 유망주 발굴과 장애인 스포츠가 크게 위축될것으로 우려합니다.
<인터뷰> 대한장애인 체육회 관계자 : "국제대회 지도자파견,합숙 등 어려가지 어려운 상황에 처해질것 같다"
스포츠 토토 즉 체육투표권 사업은 ’국민의 여가와 체육발전을 위한 것" 이라고 현행법에 명시돼 있습니다.
법을 바꾸면서까지 지방세수를 늘리는게 맞는지,국민 건강과 여가를 위해 써야하는지 현명한 판단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KBS 뉴스 박종복입니다.
- 체육 근간 뒤흔들 ‘기금 이전 반대’
-
- 입력 2011-02-17 22:15:51

<앵커 멘트>
체육진흥투표권,이른바 스포츠토토 사업을 통해 조성된 체육기금을 지방세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에 대해 스포츠계가 강력히 반발하고 있습니다.
체육기금을 딴곳으로 돌리면 국내 스포츠의 근간이 크게 흔들릴것이라는 우려때문입니다.
박종복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요즘 배구와 농구등 각 경기장엔 때아닌 플랭카드와 구호들이 넘칩니다.
또,경기장 밖에서는 장애체육인들까지 목소리를 높입니다.
일부 의원들이 스포츠토토를 통해 조성된 체육기금 약 3천억원을 지방자치단체를 지원하는 예산으로 바꾸려는 법안을 발의했기때문입니다.
<인터뷰> 김정권(국회의원) : "직접 지방에 기금을 돌려 줌으로써 지방체육을 활성화 하자는 취지로 이해하면 된다"
그러나 스포츠와 문화계는 체육기금이 동계올림픽 유치등 체육진흥과 문화,공익사업비로 써야지 지방세로 이전하는것은 말도되지 않는다고 주장합니다.
또 체육기금이 대폭 줄어들면 일반 생활체육은 물론 제 2의 김연아와 박태환 등 유망주 발굴과 장애인 스포츠가 크게 위축될것으로 우려합니다.
<인터뷰> 대한장애인 체육회 관계자 : "국제대회 지도자파견,합숙 등 어려가지 어려운 상황에 처해질것 같다"
스포츠 토토 즉 체육투표권 사업은 ’국민의 여가와 체육발전을 위한 것" 이라고 현행법에 명시돼 있습니다.
법을 바꾸면서까지 지방세수를 늘리는게 맞는지,국민 건강과 여가를 위해 써야하는지 현명한 판단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KBS 뉴스 박종복입니다.
체육진흥투표권,이른바 스포츠토토 사업을 통해 조성된 체육기금을 지방세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에 대해 스포츠계가 강력히 반발하고 있습니다.
체육기금을 딴곳으로 돌리면 국내 스포츠의 근간이 크게 흔들릴것이라는 우려때문입니다.
박종복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요즘 배구와 농구등 각 경기장엔 때아닌 플랭카드와 구호들이 넘칩니다.
또,경기장 밖에서는 장애체육인들까지 목소리를 높입니다.
일부 의원들이 스포츠토토를 통해 조성된 체육기금 약 3천억원을 지방자치단체를 지원하는 예산으로 바꾸려는 법안을 발의했기때문입니다.
<인터뷰> 김정권(국회의원) : "직접 지방에 기금을 돌려 줌으로써 지방체육을 활성화 하자는 취지로 이해하면 된다"
그러나 스포츠와 문화계는 체육기금이 동계올림픽 유치등 체육진흥과 문화,공익사업비로 써야지 지방세로 이전하는것은 말도되지 않는다고 주장합니다.
또 체육기금이 대폭 줄어들면 일반 생활체육은 물론 제 2의 김연아와 박태환 등 유망주 발굴과 장애인 스포츠가 크게 위축될것으로 우려합니다.
<인터뷰> 대한장애인 체육회 관계자 : "국제대회 지도자파견,합숙 등 어려가지 어려운 상황에 처해질것 같다"
스포츠 토토 즉 체육투표권 사업은 ’국민의 여가와 체육발전을 위한 것" 이라고 현행법에 명시돼 있습니다.
법을 바꾸면서까지 지방세수를 늘리는게 맞는지,국민 건강과 여가를 위해 써야하는지 현명한 판단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KBS 뉴스 박종복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 9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박종복 기자 jobo@kbs.co.kr
박종복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