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원자재 가격 급등…금값 사상 최고치 경신
입력 2011.03.04 (07:07) 수정 2011.03.04 (08:23) 뉴스광장 1부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멘트>
각종 원자재 가격 급등에 금값도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습니다.
돌반지 가격도 이제 1개에 20만 원입니다.
김원장 기자입니다.
<리포트>
금반지 한돈, 3.75그램 한 개 가격이 19만 4천 원까지 올랐습니다.
한 달 새 만원이 또 오른 것입니다.
지난 2일 기준 금의 국제 시세는 온스당 1,437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또 갈아치웠습니다.
영업이 정지된 부산저축은행과 대전저축은행에 대한 '가 지급금' 지급 첫날이었던 지난 2일, 모두 2천 8백여 명의 예금자들이 470억 원을 찾아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역시 영업이 정지된 부산2, 중앙부산, 전주, 보해 등 4곳 저축은행은 오늘부터 가 지급금을 지급합니다.
최고 2천만원 까지입니다.
한편 오늘부터는 농협중앙회 모든 지점에서 이들 저축은행의 가 지급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상조업체들의 자치단체 등록 마감이 2주 앞으로 다가왔지만 전체 상조회사의 1/3 정도인 132개 회사가 아직 등록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등록을 위해선 고객이 맡긴 돈의 20%를 금융 기관에 예치해야 하는데, 상당수 상조 회사들이 이미 고객 돈을 다 지출해 예치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에 따라 오는 17일 등록이 마감되면 부실 상조회사가 뚜렷하게 드러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김원장입니다.
각종 원자재 가격 급등에 금값도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습니다.
돌반지 가격도 이제 1개에 20만 원입니다.
김원장 기자입니다.
<리포트>
금반지 한돈, 3.75그램 한 개 가격이 19만 4천 원까지 올랐습니다.
한 달 새 만원이 또 오른 것입니다.
지난 2일 기준 금의 국제 시세는 온스당 1,437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또 갈아치웠습니다.
영업이 정지된 부산저축은행과 대전저축은행에 대한 '가 지급금' 지급 첫날이었던 지난 2일, 모두 2천 8백여 명의 예금자들이 470억 원을 찾아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역시 영업이 정지된 부산2, 중앙부산, 전주, 보해 등 4곳 저축은행은 오늘부터 가 지급금을 지급합니다.
최고 2천만원 까지입니다.
한편 오늘부터는 농협중앙회 모든 지점에서 이들 저축은행의 가 지급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상조업체들의 자치단체 등록 마감이 2주 앞으로 다가왔지만 전체 상조회사의 1/3 정도인 132개 회사가 아직 등록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등록을 위해선 고객이 맡긴 돈의 20%를 금융 기관에 예치해야 하는데, 상당수 상조 회사들이 이미 고객 돈을 다 지출해 예치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에 따라 오는 17일 등록이 마감되면 부실 상조회사가 뚜렷하게 드러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김원장입니다.
- 원자재 가격 급등…금값 사상 최고치 경신
-
- 입력 2011-03-04 07:07:24
- 수정2011-03-04 08:23:41

<앵커 멘트>
각종 원자재 가격 급등에 금값도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습니다.
돌반지 가격도 이제 1개에 20만 원입니다.
김원장 기자입니다.
<리포트>
금반지 한돈, 3.75그램 한 개 가격이 19만 4천 원까지 올랐습니다.
한 달 새 만원이 또 오른 것입니다.
지난 2일 기준 금의 국제 시세는 온스당 1,437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또 갈아치웠습니다.
영업이 정지된 부산저축은행과 대전저축은행에 대한 '가 지급금' 지급 첫날이었던 지난 2일, 모두 2천 8백여 명의 예금자들이 470억 원을 찾아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역시 영업이 정지된 부산2, 중앙부산, 전주, 보해 등 4곳 저축은행은 오늘부터 가 지급금을 지급합니다.
최고 2천만원 까지입니다.
한편 오늘부터는 농협중앙회 모든 지점에서 이들 저축은행의 가 지급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상조업체들의 자치단체 등록 마감이 2주 앞으로 다가왔지만 전체 상조회사의 1/3 정도인 132개 회사가 아직 등록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등록을 위해선 고객이 맡긴 돈의 20%를 금융 기관에 예치해야 하는데, 상당수 상조 회사들이 이미 고객 돈을 다 지출해 예치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에 따라 오는 17일 등록이 마감되면 부실 상조회사가 뚜렷하게 드러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김원장입니다.
각종 원자재 가격 급등에 금값도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습니다.
돌반지 가격도 이제 1개에 20만 원입니다.
김원장 기자입니다.
<리포트>
금반지 한돈, 3.75그램 한 개 가격이 19만 4천 원까지 올랐습니다.
한 달 새 만원이 또 오른 것입니다.
지난 2일 기준 금의 국제 시세는 온스당 1,437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또 갈아치웠습니다.
영업이 정지된 부산저축은행과 대전저축은행에 대한 '가 지급금' 지급 첫날이었던 지난 2일, 모두 2천 8백여 명의 예금자들이 470억 원을 찾아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역시 영업이 정지된 부산2, 중앙부산, 전주, 보해 등 4곳 저축은행은 오늘부터 가 지급금을 지급합니다.
최고 2천만원 까지입니다.
한편 오늘부터는 농협중앙회 모든 지점에서 이들 저축은행의 가 지급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상조업체들의 자치단체 등록 마감이 2주 앞으로 다가왔지만 전체 상조회사의 1/3 정도인 132개 회사가 아직 등록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등록을 위해선 고객이 맡긴 돈의 20%를 금융 기관에 예치해야 하는데, 상당수 상조 회사들이 이미 고객 돈을 다 지출해 예치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에 따라 오는 17일 등록이 마감되면 부실 상조회사가 뚜렷하게 드러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김원장입니다.
뉴스광장 1부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김원장 기자 kim9@kbs.co.kr
김원장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