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중고생 자치활동 확대…학생회 예산 독립
입력 2011.03.13 (16:03) 수정 2011.03.13 (16:37) 사회
앞으로 학교 운영과 의사결정 과정에 서울시내 중. 고교생의 참여가 보장됩니다.
서울시교육청이 공개한 '학생 자치활동 활성화 방안' 등을 보면 교사의 간섭 없이 학생회 예산을 학생들이 독자적으로 집행할 수 있고 아르바이트생과 특성화고 학생을 대상으로 노동 관계법과 노동인권 교육도 이뤄집니다.
또 학칙 개정과정에 학생대표가 참여하도록 하는 등 학생의견 수렴이 제도화되고 학생 생활규정과 상벌. 징계제도 등에도 학생의견이 반영됩니다.
서울시교육청은 자치활동 운영 매뉴얼을 제작해 이달 안에 보급하고, 중학교 5개교와 고교 4개교 등 9개교를 자치활동 시범학교로 운영할 방침입니다.
학생회 대표나 지역교육청별 학생대표로 구성되는 학생참여위원회는 매 학기 교육감과 교육장과의 대화를 통해 현재 추진되고 있는 교육정책을 평가하고, 학생들이 원하는 정책과제를 건의할 수도 있습니다.
서울시교육청이 공개한 '학생 자치활동 활성화 방안' 등을 보면 교사의 간섭 없이 학생회 예산을 학생들이 독자적으로 집행할 수 있고 아르바이트생과 특성화고 학생을 대상으로 노동 관계법과 노동인권 교육도 이뤄집니다.
또 학칙 개정과정에 학생대표가 참여하도록 하는 등 학생의견 수렴이 제도화되고 학생 생활규정과 상벌. 징계제도 등에도 학생의견이 반영됩니다.
서울시교육청은 자치활동 운영 매뉴얼을 제작해 이달 안에 보급하고, 중학교 5개교와 고교 4개교 등 9개교를 자치활동 시범학교로 운영할 방침입니다.
학생회 대표나 지역교육청별 학생대표로 구성되는 학생참여위원회는 매 학기 교육감과 교육장과의 대화를 통해 현재 추진되고 있는 교육정책을 평가하고, 학생들이 원하는 정책과제를 건의할 수도 있습니다.
- 중고생 자치활동 확대…학생회 예산 독립
-
- 입력 2011-03-13 16:03:25
- 수정2011-03-13 16:37:58
앞으로 학교 운영과 의사결정 과정에 서울시내 중. 고교생의 참여가 보장됩니다.
서울시교육청이 공개한 '학생 자치활동 활성화 방안' 등을 보면 교사의 간섭 없이 학생회 예산을 학생들이 독자적으로 집행할 수 있고 아르바이트생과 특성화고 학생을 대상으로 노동 관계법과 노동인권 교육도 이뤄집니다.
또 학칙 개정과정에 학생대표가 참여하도록 하는 등 학생의견 수렴이 제도화되고 학생 생활규정과 상벌. 징계제도 등에도 학생의견이 반영됩니다.
서울시교육청은 자치활동 운영 매뉴얼을 제작해 이달 안에 보급하고, 중학교 5개교와 고교 4개교 등 9개교를 자치활동 시범학교로 운영할 방침입니다.
학생회 대표나 지역교육청별 학생대표로 구성되는 학생참여위원회는 매 학기 교육감과 교육장과의 대화를 통해 현재 추진되고 있는 교육정책을 평가하고, 학생들이 원하는 정책과제를 건의할 수도 있습니다.
서울시교육청이 공개한 '학생 자치활동 활성화 방안' 등을 보면 교사의 간섭 없이 학생회 예산을 학생들이 독자적으로 집행할 수 있고 아르바이트생과 특성화고 학생을 대상으로 노동 관계법과 노동인권 교육도 이뤄집니다.
또 학칙 개정과정에 학생대표가 참여하도록 하는 등 학생의견 수렴이 제도화되고 학생 생활규정과 상벌. 징계제도 등에도 학생의견이 반영됩니다.
서울시교육청은 자치활동 운영 매뉴얼을 제작해 이달 안에 보급하고, 중학교 5개교와 고교 4개교 등 9개교를 자치활동 시범학교로 운영할 방침입니다.
학생회 대표나 지역교육청별 학생대표로 구성되는 학생참여위원회는 매 학기 교육감과 교육장과의 대화를 통해 현재 추진되고 있는 교육정책을 평가하고, 학생들이 원하는 정책과제를 건의할 수도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 기자 정보
-
-
복창현 기자 changhyun@kbs.co.kr
복창현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