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한-칠레 FTA로 한국 상품 점유율 배 이상 증가”
입력 2011.03.29 (14:08) 수정 2011.03.29 (14:54) 경제
한-칠레 FTA 발효 이후 칠레 수입시장에서 한국 상품의 점유율이 발효 전보다 배 이상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의 보고서를 보면 칠레 수입시장에서 우리 상품의 점유율은 지난해 기준 6.41%로 FTA 발효 전인 지난 2003년의 2.98%보다 2배 이상 높아졌습니다.
대 칠레 수출업체 수도 지난해에는 1200여 개 업체로 늘어 43%의 증가율을 보였으며, 수출 품목도 1647개로 5백여 개 이상 늘었습니다.
이 같은 점유율 증가는 FTA발효 이후 우리 수출제품에 붙는 평균 관세율이 6.0%에서 0.54%로 대폭 낮아져 우리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크게 높아졌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의 보고서를 보면 칠레 수입시장에서 우리 상품의 점유율은 지난해 기준 6.41%로 FTA 발효 전인 지난 2003년의 2.98%보다 2배 이상 높아졌습니다.
대 칠레 수출업체 수도 지난해에는 1200여 개 업체로 늘어 43%의 증가율을 보였으며, 수출 품목도 1647개로 5백여 개 이상 늘었습니다.
이 같은 점유율 증가는 FTA발효 이후 우리 수출제품에 붙는 평균 관세율이 6.0%에서 0.54%로 대폭 낮아져 우리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크게 높아졌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 “한-칠레 FTA로 한국 상품 점유율 배 이상 증가”
-
- 입력 2011-03-29 14:08:37
- 수정2011-03-29 14:54:07
한-칠레 FTA 발효 이후 칠레 수입시장에서 한국 상품의 점유율이 발효 전보다 배 이상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의 보고서를 보면 칠레 수입시장에서 우리 상품의 점유율은 지난해 기준 6.41%로 FTA 발효 전인 지난 2003년의 2.98%보다 2배 이상 높아졌습니다.
대 칠레 수출업체 수도 지난해에는 1200여 개 업체로 늘어 43%의 증가율을 보였으며, 수출 품목도 1647개로 5백여 개 이상 늘었습니다.
이 같은 점유율 증가는 FTA발효 이후 우리 수출제품에 붙는 평균 관세율이 6.0%에서 0.54%로 대폭 낮아져 우리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크게 높아졌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의 보고서를 보면 칠레 수입시장에서 우리 상품의 점유율은 지난해 기준 6.41%로 FTA 발효 전인 지난 2003년의 2.98%보다 2배 이상 높아졌습니다.
대 칠레 수출업체 수도 지난해에는 1200여 개 업체로 늘어 43%의 증가율을 보였으며, 수출 품목도 1647개로 5백여 개 이상 늘었습니다.
이 같은 점유율 증가는 FTA발효 이후 우리 수출제품에 붙는 평균 관세율이 6.0%에서 0.54%로 대폭 낮아져 우리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크게 높아졌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 기자 정보
-
-
김원장 기자 kim9@kbs.co.kr
김원장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