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신용·주택대출 금리 전방위 인상

입력 2011.05.08 (07: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CD연동 주택대출 금리 2년4개월來 최고
코픽스연동 대출 금리 반년새 최고 1.2%P 급등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28개월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고 신용대출 금리도 속속 인상되면서 가계의 주름살이 깊어지고 있다.

은행들이 근저당권 설정비용과 관련한 대출금리 감면 혜택을 없애면 서민의 이자 부담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우려된다.

◇CD.코픽스 연동 주택대출 잇따라 인상

8일 은행권에 따르면 이번 주 은행권 양도성예금증서(CD) 연동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2009년 1월초 이후 2년4개월만에 최고치로 상승했다.

CD 금리가 6일 현재 3.46%로 지난달 21일 이후 보름간 0.06%포인트 오르면서 28개월만에 최고치를 경신한 데 따른 것이다.

국민은행의 이번 주 CD연동 주택대출 금리는 연 5.17∼6.47%로 지난주초보다 0.04%포인트 높아졌다.

3개월전인 2월초보다는 0.37%포인트 상승했으며, 6개월전인 작년 11월초에 비해서는 0.76%포인트 치솟았다.

우리은행 주택대출 금리는 이번 주초 4.86∼6.20%로 최고금리가 6개월전보다 0.90%포인트 급등했다.

신한은행은 5.06∼6.46%로 6개월간 0.80%포인트 상승했으며, 외환은행은 4.88∼6.63%로 0.63%포인트 오르면서 최고금리가 6.6%를 넘었다.

주택대출 금리 상승으로 서민 가계의 이자 부담도 눈덩이처럼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6개월 전 주택을 담보로 우리은행에서 2억원을 대출했다면 연간 이자 부담이 애초보다 180만원 늘어날 수 있다.

금리 변동성이 큰 CD를 대체하기 위해 도입된 코픽스 금리가 상승하면서 6개월마다 금리가 변하는 코픽스연동 주택대출의 금리도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이번 주 국민은행의 코픽스연동 주택대출 금리는 신규취급액 기준 연 4.17∼5.57%로 작년 11월 중순보다 0.33%포인트 상승했다.

우리은행은 4.06∼5.60%로 최고 금리가 0.59%포인트 급등했으며, 신한은행은 3.86∼6.26%로 0.25%포인트 올랐다.

1년마다 금리가 변하는 외환은행의 코픽스연동 주택대출 금리는 4.49∼6.26%로 최고 금리가 1.20%포인트 급등했다.

이달 중순 코픽스 기준 금리가 추가로 인상되면 가계의 이자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3월 신규 취급된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가운데 CD 등 시장금리 연동 대출과 코픽스 등 수신금리 연동 대출의 비중은 각각 22.3%와 63.7%를 차지했다.

◇신용대출 금리도 상승..서민 이자부담 눈덩이

은행들이 신용대출 금리도 속속 인상하고 있어 대출금리 인상이 전방위로 확산되고 있다.

한국씨티은행은 지난달말 직장인신용대출의 기준금리를 금리변동 주기별로 0.05∼0.18%포인트 인상했다.

6개월변동 신용대출 금리는 8.39%로 0.18%포인트 높아졌고 1년변동과 2년변동은 8.17%와 8.14%로 0.9%포인트와 0.08%포인트 올랐다. 씨티은행은 앞서 3월3일과 지난달 13일에도 2년변동 금리를 각각 0.09%포인트와 0.02%포인트 인상했다.

오는 7월부터 근저당권 설정비를 은행이 부담하게 된 것도 실질적인 이자 부담을 키울 수 있다.

은행들은 그동안 근저당권 설정비를 고객이 부담하면 대출금리를 0.10∼0.20%포인트 감면해줬지만, 공정위의 은행 여신 관련 표준약관 개정으로 근저당권 설정비용을 고객이 부담할 수 없게 되자 대출금리 감면 혜택도 없앨 방침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연초 이후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CD 금리가 상승세를 보이는데다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도 5개월째 상승하고 있어 고객의 이자 부담이 확대될 수 있다"며 "근저당권 설정비를 부담하게 된 은행들이 어떤 형태로든 비용을 고객에게 전가할 것으로 보여 고객의 이자 부담이 더 커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은행권 신용·주택대출 금리 전방위 인상
    • 입력 2011-05-08 07:54:05
    연합뉴스
CD연동 주택대출 금리 2년4개월來 최고 코픽스연동 대출 금리 반년새 최고 1.2%P 급등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28개월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고 신용대출 금리도 속속 인상되면서 가계의 주름살이 깊어지고 있다. 은행들이 근저당권 설정비용과 관련한 대출금리 감면 혜택을 없애면 서민의 이자 부담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우려된다. ◇CD.코픽스 연동 주택대출 잇따라 인상 8일 은행권에 따르면 이번 주 은행권 양도성예금증서(CD) 연동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2009년 1월초 이후 2년4개월만에 최고치로 상승했다. CD 금리가 6일 현재 3.46%로 지난달 21일 이후 보름간 0.06%포인트 오르면서 28개월만에 최고치를 경신한 데 따른 것이다. 국민은행의 이번 주 CD연동 주택대출 금리는 연 5.17∼6.47%로 지난주초보다 0.04%포인트 높아졌다. 3개월전인 2월초보다는 0.37%포인트 상승했으며, 6개월전인 작년 11월초에 비해서는 0.76%포인트 치솟았다. 우리은행 주택대출 금리는 이번 주초 4.86∼6.20%로 최고금리가 6개월전보다 0.90%포인트 급등했다. 신한은행은 5.06∼6.46%로 6개월간 0.80%포인트 상승했으며, 외환은행은 4.88∼6.63%로 0.63%포인트 오르면서 최고금리가 6.6%를 넘었다. 주택대출 금리 상승으로 서민 가계의 이자 부담도 눈덩이처럼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6개월 전 주택을 담보로 우리은행에서 2억원을 대출했다면 연간 이자 부담이 애초보다 180만원 늘어날 수 있다. 금리 변동성이 큰 CD를 대체하기 위해 도입된 코픽스 금리가 상승하면서 6개월마다 금리가 변하는 코픽스연동 주택대출의 금리도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이번 주 국민은행의 코픽스연동 주택대출 금리는 신규취급액 기준 연 4.17∼5.57%로 작년 11월 중순보다 0.33%포인트 상승했다. 우리은행은 4.06∼5.60%로 최고 금리가 0.59%포인트 급등했으며, 신한은행은 3.86∼6.26%로 0.25%포인트 올랐다. 1년마다 금리가 변하는 외환은행의 코픽스연동 주택대출 금리는 4.49∼6.26%로 최고 금리가 1.20%포인트 급등했다. 이달 중순 코픽스 기준 금리가 추가로 인상되면 가계의 이자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3월 신규 취급된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가운데 CD 등 시장금리 연동 대출과 코픽스 등 수신금리 연동 대출의 비중은 각각 22.3%와 63.7%를 차지했다. ◇신용대출 금리도 상승..서민 이자부담 눈덩이 은행들이 신용대출 금리도 속속 인상하고 있어 대출금리 인상이 전방위로 확산되고 있다. 한국씨티은행은 지난달말 직장인신용대출의 기준금리를 금리변동 주기별로 0.05∼0.18%포인트 인상했다. 6개월변동 신용대출 금리는 8.39%로 0.18%포인트 높아졌고 1년변동과 2년변동은 8.17%와 8.14%로 0.9%포인트와 0.08%포인트 올랐다. 씨티은행은 앞서 3월3일과 지난달 13일에도 2년변동 금리를 각각 0.09%포인트와 0.02%포인트 인상했다. 오는 7월부터 근저당권 설정비를 은행이 부담하게 된 것도 실질적인 이자 부담을 키울 수 있다. 은행들은 그동안 근저당권 설정비를 고객이 부담하면 대출금리를 0.10∼0.20%포인트 감면해줬지만, 공정위의 은행 여신 관련 표준약관 개정으로 근저당권 설정비용을 고객이 부담할 수 없게 되자 대출금리 감면 혜택도 없앨 방침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연초 이후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CD 금리가 상승세를 보이는데다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도 5개월째 상승하고 있어 고객의 이자 부담이 확대될 수 있다"며 "근저당권 설정비를 부담하게 된 은행들이 어떤 형태로든 비용을 고객에게 전가할 것으로 보여 고객의 이자 부담이 더 커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