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5·18 광주 민주화운동’ 기념식 엄수
입력 2011.05.18 (18:57) 뉴스 7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멘트>
5.18 민주화운동 31주년 기념식이 오늘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엄수됐습니다.
곽선정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올해로 31주년을 맞는 5.18 민주화 운동 기념식이 오늘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차분하고 엄숙한 분위기 속에 치러졌습니다.
오늘 기념식에는 5.18민주화 운동 유공자와 유가족, 김황식 국무총리를 비롯한 정부 인사와 시민 등 2천 5백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기념식은 유가족 대표 등의 헌화와 분향을 시작으로 5.18 민주화운동 경과 보고와 기념 영상 상영, 추모 공연 등으로 진행됐습니다.
이명박 대통령은 김황식 총리가 대독한 기념사에서 "31년 전 광주는 많은 희생을 통해 민주화의 희망을 이 땅에 심었고, 그날의 함성은 6월 항쟁으로 이어져 한국 민주주의를 회복시켰다"고 5.18 의미를 평가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또 "모두가 힘을 합치고, 5·18 민주화운동의 정신을 계승 발전시켜 선진일류국가로 도약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지난해 30주년 기념식 때 제외돼 유족들과 오월 단체들의 반발을 샀던 '임을 위한 행진곡'이 마지막 순서에서 합창되기도 했습니다.
국립 5.18 민주 묘지에는 오늘 하루만 9만여 명이 다녀갔습니다.
조금 뒤 7시부터는 5.18민주 묘지에 마련된 특설무대에서 KBS교향악단의 기념 공연이 시작됩니다.
KBS 뉴스 곽선정입니다.
5.18 민주화운동 31주년 기념식이 오늘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엄수됐습니다.
곽선정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올해로 31주년을 맞는 5.18 민주화 운동 기념식이 오늘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차분하고 엄숙한 분위기 속에 치러졌습니다.
오늘 기념식에는 5.18민주화 운동 유공자와 유가족, 김황식 국무총리를 비롯한 정부 인사와 시민 등 2천 5백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기념식은 유가족 대표 등의 헌화와 분향을 시작으로 5.18 민주화운동 경과 보고와 기념 영상 상영, 추모 공연 등으로 진행됐습니다.
이명박 대통령은 김황식 총리가 대독한 기념사에서 "31년 전 광주는 많은 희생을 통해 민주화의 희망을 이 땅에 심었고, 그날의 함성은 6월 항쟁으로 이어져 한국 민주주의를 회복시켰다"고 5.18 의미를 평가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또 "모두가 힘을 합치고, 5·18 민주화운동의 정신을 계승 발전시켜 선진일류국가로 도약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지난해 30주년 기념식 때 제외돼 유족들과 오월 단체들의 반발을 샀던 '임을 위한 행진곡'이 마지막 순서에서 합창되기도 했습니다.
국립 5.18 민주 묘지에는 오늘 하루만 9만여 명이 다녀갔습니다.
조금 뒤 7시부터는 5.18민주 묘지에 마련된 특설무대에서 KBS교향악단의 기념 공연이 시작됩니다.
KBS 뉴스 곽선정입니다.
- ‘5·18 광주 민주화운동’ 기념식 엄수
-
- 입력 2011-05-18 18:57:28

<앵커 멘트>
5.18 민주화운동 31주년 기념식이 오늘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엄수됐습니다.
곽선정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올해로 31주년을 맞는 5.18 민주화 운동 기념식이 오늘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차분하고 엄숙한 분위기 속에 치러졌습니다.
오늘 기념식에는 5.18민주화 운동 유공자와 유가족, 김황식 국무총리를 비롯한 정부 인사와 시민 등 2천 5백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기념식은 유가족 대표 등의 헌화와 분향을 시작으로 5.18 민주화운동 경과 보고와 기념 영상 상영, 추모 공연 등으로 진행됐습니다.
이명박 대통령은 김황식 총리가 대독한 기념사에서 "31년 전 광주는 많은 희생을 통해 민주화의 희망을 이 땅에 심었고, 그날의 함성은 6월 항쟁으로 이어져 한국 민주주의를 회복시켰다"고 5.18 의미를 평가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또 "모두가 힘을 합치고, 5·18 민주화운동의 정신을 계승 발전시켜 선진일류국가로 도약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지난해 30주년 기념식 때 제외돼 유족들과 오월 단체들의 반발을 샀던 '임을 위한 행진곡'이 마지막 순서에서 합창되기도 했습니다.
국립 5.18 민주 묘지에는 오늘 하루만 9만여 명이 다녀갔습니다.
조금 뒤 7시부터는 5.18민주 묘지에 마련된 특설무대에서 KBS교향악단의 기념 공연이 시작됩니다.
KBS 뉴스 곽선정입니다.
5.18 민주화운동 31주년 기념식이 오늘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엄수됐습니다.
곽선정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올해로 31주년을 맞는 5.18 민주화 운동 기념식이 오늘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차분하고 엄숙한 분위기 속에 치러졌습니다.
오늘 기념식에는 5.18민주화 운동 유공자와 유가족, 김황식 국무총리를 비롯한 정부 인사와 시민 등 2천 5백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기념식은 유가족 대표 등의 헌화와 분향을 시작으로 5.18 민주화운동 경과 보고와 기념 영상 상영, 추모 공연 등으로 진행됐습니다.
이명박 대통령은 김황식 총리가 대독한 기념사에서 "31년 전 광주는 많은 희생을 통해 민주화의 희망을 이 땅에 심었고, 그날의 함성은 6월 항쟁으로 이어져 한국 민주주의를 회복시켰다"고 5.18 의미를 평가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또 "모두가 힘을 합치고, 5·18 민주화운동의 정신을 계승 발전시켜 선진일류국가로 도약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지난해 30주년 기념식 때 제외돼 유족들과 오월 단체들의 반발을 샀던 '임을 위한 행진곡'이 마지막 순서에서 합창되기도 했습니다.
국립 5.18 민주 묘지에는 오늘 하루만 9만여 명이 다녀갔습니다.
조금 뒤 7시부터는 5.18민주 묘지에 마련된 특설무대에서 KBS교향악단의 기념 공연이 시작됩니다.
KBS 뉴스 곽선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