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위, 담합 정유사에 4,000억 대 과징금

입력 2011.05.27 (07: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지난 1월, KBS 뉴스에서 공정위가 정유사의 담합 행위를 포착해 조사하고 있다는 소식 전해드렸는데요.

공정위가 정유 4사에 대해 무려 4천3백억 원이 넘는 과징금을 부과했습니다.

정정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이 주유소는 특정 정유사의 간판이 없습니다.

10년 전 주유소에 두 개의 간판을 다는 게 허용되면서 다른 정유사 간판을 달려고 했지만 거절당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조원준(무폴 주유소 운영) : "주유소가 타 브랜드를 얻고 싶어도 정유사들이 달아주지를 않았어요."

이면엔 정유사들의 담합이 있었다는게 공정위의 조사 결괍니다.

지난 2000년 정유사들이 서로 짜고 이른바 '주유소 확보 경쟁'을 그만두었다는 겁니다.

주유소를 빼앗아오는 데 드는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라는 게 공정위의 설명입니다.

정유사의 내부 문건입니다.

한 주유소가 간판 설치를 요청했지만 원적사, 그러니까 종전에 상표를 가졌던 정유사를 존중해 거절했다고 돼있습니다.

<인터뷰> 신영선(공정위 시장감시국장) : "담합이 없었다면 정유사들이 주유소 확보를 위해 더 싸게 기름을 공급했을 것이며, 결국 최종 소비자가격 하락으로 연결..."

공정위는 SK와 GS칼텍스 등에 모두 4천3백여 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했습니다.

특히 SK이노베이션과 GS칼텍스, 현대오일뱅크는 검찰에 고발하기로 했습니다.

이에 대해 정유업계는 담합을 한 사실이 없고, 법적 대응도 불사하겠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정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공정위, 담합 정유사에 4,000억 대 과징금
    • 입력 2011-05-27 07:38:33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지난 1월, KBS 뉴스에서 공정위가 정유사의 담합 행위를 포착해 조사하고 있다는 소식 전해드렸는데요. 공정위가 정유 4사에 대해 무려 4천3백억 원이 넘는 과징금을 부과했습니다. 정정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이 주유소는 특정 정유사의 간판이 없습니다. 10년 전 주유소에 두 개의 간판을 다는 게 허용되면서 다른 정유사 간판을 달려고 했지만 거절당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조원준(무폴 주유소 운영) : "주유소가 타 브랜드를 얻고 싶어도 정유사들이 달아주지를 않았어요." 이면엔 정유사들의 담합이 있었다는게 공정위의 조사 결괍니다. 지난 2000년 정유사들이 서로 짜고 이른바 '주유소 확보 경쟁'을 그만두었다는 겁니다. 주유소를 빼앗아오는 데 드는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라는 게 공정위의 설명입니다. 정유사의 내부 문건입니다. 한 주유소가 간판 설치를 요청했지만 원적사, 그러니까 종전에 상표를 가졌던 정유사를 존중해 거절했다고 돼있습니다. <인터뷰> 신영선(공정위 시장감시국장) : "담합이 없었다면 정유사들이 주유소 확보를 위해 더 싸게 기름을 공급했을 것이며, 결국 최종 소비자가격 하락으로 연결..." 공정위는 SK와 GS칼텍스 등에 모두 4천3백여 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했습니다. 특히 SK이노베이션과 GS칼텍스, 현대오일뱅크는 검찰에 고발하기로 했습니다. 이에 대해 정유업계는 담합을 한 사실이 없고, 법적 대응도 불사하겠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정훈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