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3金 의혹’ 어떻게 풀릴까?

입력 2011.06.02 (13:33) 수정 2011.06.02 (15:3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축은행 비리와 관련한 금융감독당국의 전·현직 고위당국자들에 대한 의혹이 일파만파로 번지면서 검찰 수사에서 어떤 결론이 나올지 주목된다.

2일 현재 검찰의 수사대상에 올랐거나 의혹이 제기된 고위직은 김종창(63) 전 금융감독원장, 김장호(53) 금융감독원 부원장보, 김광수(54)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장 등 3명.

이들에 대해서는 저축은행에서 직접 로비를 받거나 정·관계 고위인사 또는 로비스트를 통해 저축은행과 관련한 업무에 영향을 미쳤다는 여러 의혹이 제기된 상태다.

김종창 전 금감원장은 지난해 평소 친분이 있는 은진수(50·구속) 전 감사원 감사위원을 통해 부산저축은행 검사를 무마해달라는 청탁을 받았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여기에 금감원장 취임 직전까지 사외이사로 재직했던 아시아신탁㈜이 지난해 부산저축은행에 91억원을 유상증자하고 이 가운데 47억원을 회수하는 과정에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이 추가됐다.

현재 김 전 원장은 외부와 접촉을 끊은 채 금감원으로부터 부산저축은행 및 아시아신탁과 관련한 과거 자료를 받아 검찰의 소환 조사에 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 안팎에서는 평소 조심스럽고 꼼꼼한 성격과 부산저축은행 관련 로비가 통하기 어려웠을 전후 사정을 고려하면 김 전 원장이 실제로 사법처리 대상에 오르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다만 재임 기간(2008년 3월~2011년 3월)에 부산저축은행이 급성장한 데다 아시아신탁과 부산저축은행이 업무상 매우 밀접하게 관련돼 있었다는 점에서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번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2003년 옛 삼화저축은행 검사반장을 지내고 지난해 저축은행 담당 부원장보에 임명된 김장호 부원장보는 최근 사의를 표명했다가 보류된 가운데 현재 관련 업무에서 배제된 상태다.

김 부원장보는 삼화저축은행 관련 자료를 챙겨나가 시내 모처에서 검찰 소환에 대비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삼화저축은행에서 제공받았다는 금품이 1천만원 안팎으로 비교적 적은 액수지만, 그가 당시 재무건전성 지표를 점검했던 삼화저축은행이 결과적으로 부실 금융기관으로 전락했다는 점에서 의혹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는 게 중론이다.

전날 집무실을 압수수색당한 데 이어 이날 검찰에 출석한 김광수 금융정보분석원장은 검찰이 꽤 구체적인 금품수수 정황을 포착해 수사에 속도를 내는 것으로 보여 사법처리 가능성이 주목된다.

한나라당 수석전문위원으로 있을 때 부산저축은행으로부터 퇴출을 무마하도록 금융위를 설득해달라는 청탁을 받았다는 게 의혹의 핵심이며, 저축은행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규제를 완화하는 등 특혜성 정책을 주도하고 부산저축은행의 대전·전주저축은행 인수를 도왔다는 의혹도 사고 있다.

김 원장은 특히 김석동 금융위원장의 두터운 신임을 얻었던 정통 금융관료라는 점에서 의혹이 말끔히 해소되지 못하면 자칫 금융위 조직 전체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 섞인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금융당국, ‘3金 의혹’ 어떻게 풀릴까?
    • 입력 2011-06-02 13:33:41
    • 수정2011-06-02 15:31:53
    연합뉴스
저축은행 비리와 관련한 금융감독당국의 전·현직 고위당국자들에 대한 의혹이 일파만파로 번지면서 검찰 수사에서 어떤 결론이 나올지 주목된다. 2일 현재 검찰의 수사대상에 올랐거나 의혹이 제기된 고위직은 김종창(63) 전 금융감독원장, 김장호(53) 금융감독원 부원장보, 김광수(54)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장 등 3명. 이들에 대해서는 저축은행에서 직접 로비를 받거나 정·관계 고위인사 또는 로비스트를 통해 저축은행과 관련한 업무에 영향을 미쳤다는 여러 의혹이 제기된 상태다. 김종창 전 금감원장은 지난해 평소 친분이 있는 은진수(50·구속) 전 감사원 감사위원을 통해 부산저축은행 검사를 무마해달라는 청탁을 받았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여기에 금감원장 취임 직전까지 사외이사로 재직했던 아시아신탁㈜이 지난해 부산저축은행에 91억원을 유상증자하고 이 가운데 47억원을 회수하는 과정에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이 추가됐다. 현재 김 전 원장은 외부와 접촉을 끊은 채 금감원으로부터 부산저축은행 및 아시아신탁과 관련한 과거 자료를 받아 검찰의 소환 조사에 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 안팎에서는 평소 조심스럽고 꼼꼼한 성격과 부산저축은행 관련 로비가 통하기 어려웠을 전후 사정을 고려하면 김 전 원장이 실제로 사법처리 대상에 오르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다만 재임 기간(2008년 3월~2011년 3월)에 부산저축은행이 급성장한 데다 아시아신탁과 부산저축은행이 업무상 매우 밀접하게 관련돼 있었다는 점에서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번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2003년 옛 삼화저축은행 검사반장을 지내고 지난해 저축은행 담당 부원장보에 임명된 김장호 부원장보는 최근 사의를 표명했다가 보류된 가운데 현재 관련 업무에서 배제된 상태다. 김 부원장보는 삼화저축은행 관련 자료를 챙겨나가 시내 모처에서 검찰 소환에 대비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삼화저축은행에서 제공받았다는 금품이 1천만원 안팎으로 비교적 적은 액수지만, 그가 당시 재무건전성 지표를 점검했던 삼화저축은행이 결과적으로 부실 금융기관으로 전락했다는 점에서 의혹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는 게 중론이다. 전날 집무실을 압수수색당한 데 이어 이날 검찰에 출석한 김광수 금융정보분석원장은 검찰이 꽤 구체적인 금품수수 정황을 포착해 수사에 속도를 내는 것으로 보여 사법처리 가능성이 주목된다. 한나라당 수석전문위원으로 있을 때 부산저축은행으로부터 퇴출을 무마하도록 금융위를 설득해달라는 청탁을 받았다는 게 의혹의 핵심이며, 저축은행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규제를 완화하는 등 특혜성 정책을 주도하고 부산저축은행의 대전·전주저축은행 인수를 도왔다는 의혹도 사고 있다. 김 원장은 특히 김석동 금융위원장의 두터운 신임을 얻었던 정통 금융관료라는 점에서 의혹이 말끔히 해소되지 못하면 자칫 금융위 조직 전체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 섞인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