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용 후 건조에 각별히 주의해야
때 이른 불볕더위가 끝나면 장마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그런데 요즘 장마철을 맞아 장화 패션이 새로운 트렌드가 되고 있다. 이 장화 패션은 젊은 층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데, 비가 오는 날 발을 젖지 않게 하는 데는 최고라는 게 착용자들의 설명이다.
하지만, 이런 장화는 대개 천연고무나 PVC 재질로 만들어져 있어 빗물은 물론이고 공기도 잘 통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무릎까지 올라오는 장화를 착용하면 발뿐만 아니라 종아리 전체가 습기에 장기간 노출될 우려가 있다. 빗물이 들어가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그 안에 습기로 남아 있기 때문에 장화를 사용하고 나서는 반드시 잘 건조시켜야 발 건강을 지킬 수 있고 무좀의 위험에서도 멀어질 수 있다.
무좀은 피부진균증의 일종인 '피부사상균'에 의해 발생한다. 이 균은 피부각질층의 케라틴을 영양소로 삼아 번식하는데, 고온다습한 신발 속은 피부사상균이 번식하기에 최적의 장소다.
특히 신발 속에서 땀이 나고 건조되지 않으면 땀으로 피부의 각질층이 불어나 무좀균이 기생하기 쉽다. 무좀균이 각질을 분해해 영양소를 얻으면서 '이소발레릭산'이라는 악취를 동반한 물질을 만들어내 발 냄새가 유발되는 것이다.
고려대 안산병원 피부과 김재환 교수는 "습한 발과 신발에서 악취가 난다면 이미 무좀균이 어느 정도 번식했다고 볼 수 있다"며 "젖은 신발은 즉시 잘 말리고 여러 켤레를 번갈아 신는 게 여름철 무좀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만약 무좀에 걸렸다면 조기에 치료하는 게 좋다. 오래 방치하면 각화형 무좀으로 발전하는데, 특별한 증상 없이 발바닥이나 발뒤꿈치에 하얀 각질이 일어나고 발바닥이 두꺼워져 치료하기 어려운 상태로 악화된다. 무좀을 치료하려면 항진균제를 바르거나, 먹는 약을 이용해야 한다.
김재환 교수는 "무좀은 초기 증상이 완화됐다고 해도 비슷한 서식 조건이 갖춰지면 즉시 재발할 수 있다"면서 "민간요법으로 널리 알려진 식초를 이용한 치료법은 피부 특성에 따라 오히려 자극을 줘 심한 화상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 만큼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때 이른 불볕더위가 끝나면 장마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그런데 요즘 장마철을 맞아 장화 패션이 새로운 트렌드가 되고 있다. 이 장화 패션은 젊은 층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데, 비가 오는 날 발을 젖지 않게 하는 데는 최고라는 게 착용자들의 설명이다.
하지만, 이런 장화는 대개 천연고무나 PVC 재질로 만들어져 있어 빗물은 물론이고 공기도 잘 통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무릎까지 올라오는 장화를 착용하면 발뿐만 아니라 종아리 전체가 습기에 장기간 노출될 우려가 있다. 빗물이 들어가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그 안에 습기로 남아 있기 때문에 장화를 사용하고 나서는 반드시 잘 건조시켜야 발 건강을 지킬 수 있고 무좀의 위험에서도 멀어질 수 있다.
무좀은 피부진균증의 일종인 '피부사상균'에 의해 발생한다. 이 균은 피부각질층의 케라틴을 영양소로 삼아 번식하는데, 고온다습한 신발 속은 피부사상균이 번식하기에 최적의 장소다.
특히 신발 속에서 땀이 나고 건조되지 않으면 땀으로 피부의 각질층이 불어나 무좀균이 기생하기 쉽다. 무좀균이 각질을 분해해 영양소를 얻으면서 '이소발레릭산'이라는 악취를 동반한 물질을 만들어내 발 냄새가 유발되는 것이다.
고려대 안산병원 피부과 김재환 교수는 "습한 발과 신발에서 악취가 난다면 이미 무좀균이 어느 정도 번식했다고 볼 수 있다"며 "젖은 신발은 즉시 잘 말리고 여러 켤레를 번갈아 신는 게 여름철 무좀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만약 무좀에 걸렸다면 조기에 치료하는 게 좋다. 오래 방치하면 각화형 무좀으로 발전하는데, 특별한 증상 없이 발바닥이나 발뒤꿈치에 하얀 각질이 일어나고 발바닥이 두꺼워져 치료하기 어려운 상태로 악화된다. 무좀을 치료하려면 항진균제를 바르거나, 먹는 약을 이용해야 한다.
김재환 교수는 "무좀은 초기 증상이 완화됐다고 해도 비슷한 서식 조건이 갖춰지면 즉시 재발할 수 있다"면서 "민간요법으로 널리 알려진 식초를 이용한 치료법은 피부 특성에 따라 오히려 자극을 줘 심한 화상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 만큼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장마철 트렌드 장화, 무좀은 못 피해
-
- 입력 2011-06-21 11:02:15
착용 후 건조에 각별히 주의해야
때 이른 불볕더위가 끝나면 장마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그런데 요즘 장마철을 맞아 장화 패션이 새로운 트렌드가 되고 있다. 이 장화 패션은 젊은 층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데, 비가 오는 날 발을 젖지 않게 하는 데는 최고라는 게 착용자들의 설명이다.
하지만, 이런 장화는 대개 천연고무나 PVC 재질로 만들어져 있어 빗물은 물론이고 공기도 잘 통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무릎까지 올라오는 장화를 착용하면 발뿐만 아니라 종아리 전체가 습기에 장기간 노출될 우려가 있다. 빗물이 들어가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그 안에 습기로 남아 있기 때문에 장화를 사용하고 나서는 반드시 잘 건조시켜야 발 건강을 지킬 수 있고 무좀의 위험에서도 멀어질 수 있다.
무좀은 피부진균증의 일종인 '피부사상균'에 의해 발생한다. 이 균은 피부각질층의 케라틴을 영양소로 삼아 번식하는데, 고온다습한 신발 속은 피부사상균이 번식하기에 최적의 장소다.
특히 신발 속에서 땀이 나고 건조되지 않으면 땀으로 피부의 각질층이 불어나 무좀균이 기생하기 쉽다. 무좀균이 각질을 분해해 영양소를 얻으면서 '이소발레릭산'이라는 악취를 동반한 물질을 만들어내 발 냄새가 유발되는 것이다.
고려대 안산병원 피부과 김재환 교수는 "습한 발과 신발에서 악취가 난다면 이미 무좀균이 어느 정도 번식했다고 볼 수 있다"며 "젖은 신발은 즉시 잘 말리고 여러 켤레를 번갈아 신는 게 여름철 무좀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만약 무좀에 걸렸다면 조기에 치료하는 게 좋다. 오래 방치하면 각화형 무좀으로 발전하는데, 특별한 증상 없이 발바닥이나 발뒤꿈치에 하얀 각질이 일어나고 발바닥이 두꺼워져 치료하기 어려운 상태로 악화된다. 무좀을 치료하려면 항진균제를 바르거나, 먹는 약을 이용해야 한다.
김재환 교수는 "무좀은 초기 증상이 완화됐다고 해도 비슷한 서식 조건이 갖춰지면 즉시 재발할 수 있다"면서 "민간요법으로 널리 알려진 식초를 이용한 치료법은 피부 특성에 따라 오히려 자극을 줘 심한 화상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 만큼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