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상수도가 설치되지 않은 구제역 매몰지 주변 마을에선 어쩔 수 없이 지하수를 이용해야 합니다.
정부가 상수도 보급 공사에 나섰지만 실적이 미미해 장마철 주민들의 불편과 불안이 큽니다.
박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구제역이 휩쓸고 지나간 이 마을은 지난 해 2만 5천 마리의 가축을 묻었습니다.
혹시 침출수가 유출돼 지하수가 오염될까 걱정하면서도 주민들은 어쩔 수 없이 지하수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상수도 시설이 없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이유경(매몰지 주변 주민) : “뭐 어떡해. 어디 가서 길어올 수가 있나. 난 걸음도 못 걸어요. 힘들어서”
두 달 전에야 상수도 보급 공사가 시작되긴 했지만 여전히 공사중입니다.
장마까지 겹치면서 공정은 더욱 더뎌질 수 밖에 없습니다.
현재 상수도 보급이 필요한 구제역 매몰지 주변 마을은 천 5백여 곳.
공사가 끝난 곳은 128곳으로 10%에도 못 미칩니다.
상수도 보급 사업을 위한 국고 지원금 3천억 원 가운데 절반은 공사가 끝나야 지급하도록 돼있는게 주된 이유입니다.
<인터뷰> 김호연(한나라당 의원) : “용두사미식 정책은 더 이상 안됩니다. 지방교부세를 긴급히 편성해 지자체에 우선 지원해야 합니다”
상수도 늑장 설치가 구제역으로 아픔을 겪었던 농민들의 불안과 불편을 키우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지은입니다.
상수도가 설치되지 않은 구제역 매몰지 주변 마을에선 어쩔 수 없이 지하수를 이용해야 합니다.
정부가 상수도 보급 공사에 나섰지만 실적이 미미해 장마철 주민들의 불편과 불안이 큽니다.
박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구제역이 휩쓸고 지나간 이 마을은 지난 해 2만 5천 마리의 가축을 묻었습니다.
혹시 침출수가 유출돼 지하수가 오염될까 걱정하면서도 주민들은 어쩔 수 없이 지하수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상수도 시설이 없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이유경(매몰지 주변 주민) : “뭐 어떡해. 어디 가서 길어올 수가 있나. 난 걸음도 못 걸어요. 힘들어서”
두 달 전에야 상수도 보급 공사가 시작되긴 했지만 여전히 공사중입니다.
장마까지 겹치면서 공정은 더욱 더뎌질 수 밖에 없습니다.
현재 상수도 보급이 필요한 구제역 매몰지 주변 마을은 천 5백여 곳.
공사가 끝난 곳은 128곳으로 10%에도 못 미칩니다.
상수도 보급 사업을 위한 국고 지원금 3천억 원 가운데 절반은 공사가 끝나야 지급하도록 돼있는게 주된 이유입니다.
<인터뷰> 김호연(한나라당 의원) : “용두사미식 정책은 더 이상 안됩니다. 지방교부세를 긴급히 편성해 지자체에 우선 지원해야 합니다”
상수도 늑장 설치가 구제역으로 아픔을 겪었던 농민들의 불안과 불편을 키우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지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구제역 매몰지, 상수도 지지부진
-
- 입력 2011-06-27 07:23:14

<앵커 멘트>
상수도가 설치되지 않은 구제역 매몰지 주변 마을에선 어쩔 수 없이 지하수를 이용해야 합니다.
정부가 상수도 보급 공사에 나섰지만 실적이 미미해 장마철 주민들의 불편과 불안이 큽니다.
박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구제역이 휩쓸고 지나간 이 마을은 지난 해 2만 5천 마리의 가축을 묻었습니다.
혹시 침출수가 유출돼 지하수가 오염될까 걱정하면서도 주민들은 어쩔 수 없이 지하수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상수도 시설이 없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이유경(매몰지 주변 주민) : “뭐 어떡해. 어디 가서 길어올 수가 있나. 난 걸음도 못 걸어요. 힘들어서”
두 달 전에야 상수도 보급 공사가 시작되긴 했지만 여전히 공사중입니다.
장마까지 겹치면서 공정은 더욱 더뎌질 수 밖에 없습니다.
현재 상수도 보급이 필요한 구제역 매몰지 주변 마을은 천 5백여 곳.
공사가 끝난 곳은 128곳으로 10%에도 못 미칩니다.
상수도 보급 사업을 위한 국고 지원금 3천억 원 가운데 절반은 공사가 끝나야 지급하도록 돼있는게 주된 이유입니다.
<인터뷰> 김호연(한나라당 의원) : “용두사미식 정책은 더 이상 안됩니다. 지방교부세를 긴급히 편성해 지자체에 우선 지원해야 합니다”
상수도 늑장 설치가 구제역으로 아픔을 겪었던 농민들의 불안과 불편을 키우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지은입니다.
-
-
박지은 기자 now@kbs.co.kr
박지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