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권 조정, 경찰 개혁 전제돼야”

입력 2011.07.02 (07: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지방변호사회는 검.경 수사권 조정은 인권 침해를 막기 위해 경찰 수사 관행의 제도적 개선을 전제로 이뤄져야 했는데 그렇지 못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서울변호사회는 양천경찰서 고문 사건과 서울광장 '차벽 봉쇄' 등을 예로 들며 "이런 상황에서 경찰의 독자적인 수사개시권을 명문화한 것은 심각한 인권침해 우려를 자아내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서울변호사회 회원 7천8백 명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경찰의 수사관행이 고압적이고, 변호인 조사참여권과 접견권이 제대로 보장되지 않는 문제점이 지적됐다고 덧붙였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수사권 조정, 경찰 개혁 전제돼야”
    • 입력 2011-07-02 07:03:05
    사회
서울지방변호사회는 검.경 수사권 조정은 인권 침해를 막기 위해 경찰 수사 관행의 제도적 개선을 전제로 이뤄져야 했는데 그렇지 못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서울변호사회는 양천경찰서 고문 사건과 서울광장 '차벽 봉쇄' 등을 예로 들며 "이런 상황에서 경찰의 독자적인 수사개시권을 명문화한 것은 심각한 인권침해 우려를 자아내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서울변호사회 회원 7천8백 명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경찰의 수사관행이 고압적이고, 변호인 조사참여권과 접견권이 제대로 보장되지 않는 문제점이 지적됐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