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도시근로자 소득 계층 이동률 둔화”
입력 2011.07.04 (08:39) 수정 2011.07.04 (09:55) 사회
도시 근로자들의 소득상 계층 변화 비율이 줄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한국 보건사회연구원 강신욱 연구위원은 최근 발표한 '소득 이동성의 변화 추이' 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도시근로자 가구의 소득을 열 등분으로 나눠, 등분간 이동 비율을 분석한 결과, 지난 2003 년부터 2008 년 사이 이동 비율은 57 % 였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1990 년부터 1997 년사이엔 64 % 였던 이동 비율이, 1998 년부터 2002 년 사이엔 62 % 로 줄어든 데 이어, 최근엔 더욱 감소한 것입니다.
이같은 연구 결과는 저소득 계층의 경우 소득 지위가 상승할 수 있는 기회가, 점점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강 연구위원은 설명했습니다.
한국 보건사회연구원 강신욱 연구위원은 최근 발표한 '소득 이동성의 변화 추이' 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도시근로자 가구의 소득을 열 등분으로 나눠, 등분간 이동 비율을 분석한 결과, 지난 2003 년부터 2008 년 사이 이동 비율은 57 % 였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1990 년부터 1997 년사이엔 64 % 였던 이동 비율이, 1998 년부터 2002 년 사이엔 62 % 로 줄어든 데 이어, 최근엔 더욱 감소한 것입니다.
이같은 연구 결과는 저소득 계층의 경우 소득 지위가 상승할 수 있는 기회가, 점점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강 연구위원은 설명했습니다.
- “도시근로자 소득 계층 이동률 둔화”
-
- 입력 2011-07-04 08:39:22
- 수정2011-07-04 09:55:13
도시 근로자들의 소득상 계층 변화 비율이 줄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한국 보건사회연구원 강신욱 연구위원은 최근 발표한 '소득 이동성의 변화 추이' 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도시근로자 가구의 소득을 열 등분으로 나눠, 등분간 이동 비율을 분석한 결과, 지난 2003 년부터 2008 년 사이 이동 비율은 57 % 였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1990 년부터 1997 년사이엔 64 % 였던 이동 비율이, 1998 년부터 2002 년 사이엔 62 % 로 줄어든 데 이어, 최근엔 더욱 감소한 것입니다.
이같은 연구 결과는 저소득 계층의 경우 소득 지위가 상승할 수 있는 기회가, 점점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강 연구위원은 설명했습니다.
한국 보건사회연구원 강신욱 연구위원은 최근 발표한 '소득 이동성의 변화 추이' 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도시근로자 가구의 소득을 열 등분으로 나눠, 등분간 이동 비율을 분석한 결과, 지난 2003 년부터 2008 년 사이 이동 비율은 57 % 였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1990 년부터 1997 년사이엔 64 % 였던 이동 비율이, 1998 년부터 2002 년 사이엔 62 % 로 줄어든 데 이어, 최근엔 더욱 감소한 것입니다.
이같은 연구 결과는 저소득 계층의 경우 소득 지위가 상승할 수 있는 기회가, 점점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강 연구위원은 설명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자 정보
-
-
김나나 기자 nana@kbs.co.kr
김나나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