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뇌 회복 과정 첫 규명
입력 2011.07.04 (11:42) 생활·건강
정신적으로 큰 충격을 받은 환자가 심리적 외상을 회복하는 변화 과정이 국내 연구진의 뇌 연구 결과로 처음으로 밝혀졌습니다.
서울대 류인균 교수와 이화여대 김지은 교수팀은, 지난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때 생존자 30명을 추적해 연구한 결과, 뇌의 전두엽 특정 부위가 심리적 외상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아냈다고 밝혔습니다.
화재 참사를 겪은 생존자들은 전두엽의 바깥쪽인 '배외측 전 전두엽'의 두께가 정상인보다 5~6% 두꺼워져 있었으며, 회복이 진행되면서 두께가 정상 수준으로 감소했습니다.
이 현상은 감정을 조절하고 기억을 소멸시키는 데 '비디엔에프(BDNF)'라는 유전자가 '배외측 전 전두엽'의 두께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습니다.
연구팀은 외상 후 나타나는 뇌의 반응과 변화를 최초로 규명했으며, 앞으로 심리적 외상의 치료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정신의학 분야 세계적인 학술지인 '일반 정신 의학회지'에 최근호에 게재됐습니다.
서울대 류인균 교수와 이화여대 김지은 교수팀은, 지난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때 생존자 30명을 추적해 연구한 결과, 뇌의 전두엽 특정 부위가 심리적 외상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아냈다고 밝혔습니다.
화재 참사를 겪은 생존자들은 전두엽의 바깥쪽인 '배외측 전 전두엽'의 두께가 정상인보다 5~6% 두꺼워져 있었으며, 회복이 진행되면서 두께가 정상 수준으로 감소했습니다.
이 현상은 감정을 조절하고 기억을 소멸시키는 데 '비디엔에프(BDNF)'라는 유전자가 '배외측 전 전두엽'의 두께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습니다.
연구팀은 외상 후 나타나는 뇌의 반응과 변화를 최초로 규명했으며, 앞으로 심리적 외상의 치료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정신의학 분야 세계적인 학술지인 '일반 정신 의학회지'에 최근호에 게재됐습니다.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뇌 회복 과정 첫 규명
-
- 입력 2011-07-04 11:42:33
정신적으로 큰 충격을 받은 환자가 심리적 외상을 회복하는 변화 과정이 국내 연구진의 뇌 연구 결과로 처음으로 밝혀졌습니다.
서울대 류인균 교수와 이화여대 김지은 교수팀은, 지난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때 생존자 30명을 추적해 연구한 결과, 뇌의 전두엽 특정 부위가 심리적 외상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아냈다고 밝혔습니다.
화재 참사를 겪은 생존자들은 전두엽의 바깥쪽인 '배외측 전 전두엽'의 두께가 정상인보다 5~6% 두꺼워져 있었으며, 회복이 진행되면서 두께가 정상 수준으로 감소했습니다.
이 현상은 감정을 조절하고 기억을 소멸시키는 데 '비디엔에프(BDNF)'라는 유전자가 '배외측 전 전두엽'의 두께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습니다.
연구팀은 외상 후 나타나는 뇌의 반응과 변화를 최초로 규명했으며, 앞으로 심리적 외상의 치료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정신의학 분야 세계적인 학술지인 '일반 정신 의학회지'에 최근호에 게재됐습니다.
서울대 류인균 교수와 이화여대 김지은 교수팀은, 지난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때 생존자 30명을 추적해 연구한 결과, 뇌의 전두엽 특정 부위가 심리적 외상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아냈다고 밝혔습니다.
화재 참사를 겪은 생존자들은 전두엽의 바깥쪽인 '배외측 전 전두엽'의 두께가 정상인보다 5~6% 두꺼워져 있었으며, 회복이 진행되면서 두께가 정상 수준으로 감소했습니다.
이 현상은 감정을 조절하고 기억을 소멸시키는 데 '비디엔에프(BDNF)'라는 유전자가 '배외측 전 전두엽'의 두께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습니다.
연구팀은 외상 후 나타나는 뇌의 반응과 변화를 최초로 규명했으며, 앞으로 심리적 외상의 치료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정신의학 분야 세계적인 학술지인 '일반 정신 의학회지'에 최근호에 게재됐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자 정보
-
-
이은정 기자 ejlee@kbs.co.kr
이은정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