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에 많이 든 성분인 '페놀릭파이토케미칼(Phenolicphytochemical)'이 대장암의 진행을 억제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0일 경북대에 따르면 이 대학 농업생명과학대 식품공학부 강남주 교수를 비롯한 공동 연구팀이 페놀릭파이토케미칼의 일종인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에 이런 효능이 있고 식품 가운데는 커피에 이 성분이 가장 많이 들어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커피를 장기간 꾸준히 섭취하면 대장암 발병률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커피의 어떤 성분이 대장암 발생을 저해하는지는 그동안 규명하지 못했다.
강 교수팀은 동물 실험을 통해 클로로겐산과 카페인산이 '세포 외 신호조절 키나아제(ERK)'의 활성화를 줄여 대장암 세포의 증식과 전이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또 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실험을 통해서는 커피 섭취가 ERK의 인산화를 억제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ERK는 염증이나 암세포의 증식과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발암 단백질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분자생물학과 화학유전체학, 컴퓨터 생물학, 임상의학 등의 기술을 융합해 이룬 것으로, 영국 옥스퍼드대 출판사가 발간하는 학술지 '카시노제너시스(Carcinogenesis)' 6월호에 실렸다.
연구에는 강 교수 외에도 서울대 이기원ㆍ이형주 교수팀, 미국 미네소타대 지강동 교수팀, 미국 메이오클리닉 연구팀이 함께 참여했다.
20일 경북대에 따르면 이 대학 농업생명과학대 식품공학부 강남주 교수를 비롯한 공동 연구팀이 페놀릭파이토케미칼의 일종인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에 이런 효능이 있고 식품 가운데는 커피에 이 성분이 가장 많이 들어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커피를 장기간 꾸준히 섭취하면 대장암 발병률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커피의 어떤 성분이 대장암 발생을 저해하는지는 그동안 규명하지 못했다.
강 교수팀은 동물 실험을 통해 클로로겐산과 카페인산이 '세포 외 신호조절 키나아제(ERK)'의 활성화를 줄여 대장암 세포의 증식과 전이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또 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실험을 통해서는 커피 섭취가 ERK의 인산화를 억제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ERK는 염증이나 암세포의 증식과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발암 단백질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분자생물학과 화학유전체학, 컴퓨터 생물학, 임상의학 등의 기술을 융합해 이룬 것으로, 영국 옥스퍼드대 출판사가 발간하는 학술지 '카시노제너시스(Carcinogenesis)' 6월호에 실렸다.
연구에는 강 교수 외에도 서울대 이기원ㆍ이형주 교수팀, 미국 미네소타대 지강동 교수팀, 미국 메이오클리닉 연구팀이 함께 참여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학 공동연구팀 “커피가 대장암 진행 억제”
-
- 입력 2011-07-20 16:55:44
커피에 많이 든 성분인 '페놀릭파이토케미칼(Phenolicphytochemical)'이 대장암의 진행을 억제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0일 경북대에 따르면 이 대학 농업생명과학대 식품공학부 강남주 교수를 비롯한 공동 연구팀이 페놀릭파이토케미칼의 일종인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에 이런 효능이 있고 식품 가운데는 커피에 이 성분이 가장 많이 들어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커피를 장기간 꾸준히 섭취하면 대장암 발병률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커피의 어떤 성분이 대장암 발생을 저해하는지는 그동안 규명하지 못했다.
강 교수팀은 동물 실험을 통해 클로로겐산과 카페인산이 '세포 외 신호조절 키나아제(ERK)'의 활성화를 줄여 대장암 세포의 증식과 전이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또 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실험을 통해서는 커피 섭취가 ERK의 인산화를 억제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ERK는 염증이나 암세포의 증식과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발암 단백질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분자생물학과 화학유전체학, 컴퓨터 생물학, 임상의학 등의 기술을 융합해 이룬 것으로, 영국 옥스퍼드대 출판사가 발간하는 학술지 '카시노제너시스(Carcinogenesis)' 6월호에 실렸다.
연구에는 강 교수 외에도 서울대 이기원ㆍ이형주 교수팀, 미국 미네소타대 지강동 교수팀, 미국 메이오클리닉 연구팀이 함께 참여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