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1년 전 가격으로”…정부, 전방위 물가 잡기
입력 2011.07.23 (08:05) 수정 2011.07.23 (15:12) 뉴스광장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멘트>
정부가 물가 잡기에 전방위로 나섰습니다.
과자와 아이스크림 등 일부 식품은 1년 전 권장 소비자가를 참조해 값을 책정해 달라고 주문했고 지방공공요금 인상률도 너무 높다고 지적했습니다.
김진화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1년 전부터 가격 표시가 사라진 아이스크림과 과자.
제조업자가 아닌 유통업자가 값을 결정함으로써 가격 하락을 유도한다는
오픈 프라이스제가 실시됐지만, 이 아이스크림 가격은 31.3%나 올랐고 과자들도 10% 정도 값이 뛰었습니다.
<인터뷰>홍성아(서울 여의도동) : "많이 올라서 그냥 잘 안 사주게 돼요."
<인터뷰>서영택(서울 당산동) : "저는 가격이 좀 있는 게 다른 회사랑 비교도 될 수 있고."
불만이 터져나오자, 정부는 시행 1년 만에 오픈 프라이스제를 폐지하고 권장 소비자가를 되살리기로 했습니다.
그러면서, 제도 시행 전인 지난해 6월 말 수준으로 가격을 책정해 달라고 업체들에게 주문했습니다.
권장 소비자가 부활을 통해 뛰는 물가를 잡겠다는 의도입니다.
<녹취>식품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정부의 의지가 그런 거니까 어쨌든 충분히 할 수 있는 범위에서 할 수 있도록 노력해 봐야죠."
지방 공공요금에 대한 강한 억제 의지도 보였습니다.
중앙공공요금이나 소비자 물가에 비해 지방공공요금 인상률이 높다는 지적 때문입니다.
<인터뷰>임종룡(기획재정부 제1차관) : "지방 공공요금은 최대한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불가피한 인상을 해야 할 경우에도 소비자 물가 상승률 범위 내에서.."
정부는 공공요금 관리 실적을 평가해 우수 지자체엔 재정 인센티브까지 부여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김진화입니다.
정부가 물가 잡기에 전방위로 나섰습니다.
과자와 아이스크림 등 일부 식품은 1년 전 권장 소비자가를 참조해 값을 책정해 달라고 주문했고 지방공공요금 인상률도 너무 높다고 지적했습니다.
김진화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1년 전부터 가격 표시가 사라진 아이스크림과 과자.
제조업자가 아닌 유통업자가 값을 결정함으로써 가격 하락을 유도한다는
오픈 프라이스제가 실시됐지만, 이 아이스크림 가격은 31.3%나 올랐고 과자들도 10% 정도 값이 뛰었습니다.
<인터뷰>홍성아(서울 여의도동) : "많이 올라서 그냥 잘 안 사주게 돼요."
<인터뷰>서영택(서울 당산동) : "저는 가격이 좀 있는 게 다른 회사랑 비교도 될 수 있고."
불만이 터져나오자, 정부는 시행 1년 만에 오픈 프라이스제를 폐지하고 권장 소비자가를 되살리기로 했습니다.
그러면서, 제도 시행 전인 지난해 6월 말 수준으로 가격을 책정해 달라고 업체들에게 주문했습니다.
권장 소비자가 부활을 통해 뛰는 물가를 잡겠다는 의도입니다.
<녹취>식품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정부의 의지가 그런 거니까 어쨌든 충분히 할 수 있는 범위에서 할 수 있도록 노력해 봐야죠."
지방 공공요금에 대한 강한 억제 의지도 보였습니다.
중앙공공요금이나 소비자 물가에 비해 지방공공요금 인상률이 높다는 지적 때문입니다.
<인터뷰>임종룡(기획재정부 제1차관) : "지방 공공요금은 최대한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불가피한 인상을 해야 할 경우에도 소비자 물가 상승률 범위 내에서.."
정부는 공공요금 관리 실적을 평가해 우수 지자체엔 재정 인센티브까지 부여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김진화입니다.
- “1년 전 가격으로”…정부, 전방위 물가 잡기
-
- 입력 2011-07-23 08:05:32
- 수정2011-07-23 15:12:17

<앵커 멘트>
정부가 물가 잡기에 전방위로 나섰습니다.
과자와 아이스크림 등 일부 식품은 1년 전 권장 소비자가를 참조해 값을 책정해 달라고 주문했고 지방공공요금 인상률도 너무 높다고 지적했습니다.
김진화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1년 전부터 가격 표시가 사라진 아이스크림과 과자.
제조업자가 아닌 유통업자가 값을 결정함으로써 가격 하락을 유도한다는
오픈 프라이스제가 실시됐지만, 이 아이스크림 가격은 31.3%나 올랐고 과자들도 10% 정도 값이 뛰었습니다.
<인터뷰>홍성아(서울 여의도동) : "많이 올라서 그냥 잘 안 사주게 돼요."
<인터뷰>서영택(서울 당산동) : "저는 가격이 좀 있는 게 다른 회사랑 비교도 될 수 있고."
불만이 터져나오자, 정부는 시행 1년 만에 오픈 프라이스제를 폐지하고 권장 소비자가를 되살리기로 했습니다.
그러면서, 제도 시행 전인 지난해 6월 말 수준으로 가격을 책정해 달라고 업체들에게 주문했습니다.
권장 소비자가 부활을 통해 뛰는 물가를 잡겠다는 의도입니다.
<녹취>식품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정부의 의지가 그런 거니까 어쨌든 충분히 할 수 있는 범위에서 할 수 있도록 노력해 봐야죠."
지방 공공요금에 대한 강한 억제 의지도 보였습니다.
중앙공공요금이나 소비자 물가에 비해 지방공공요금 인상률이 높다는 지적 때문입니다.
<인터뷰>임종룡(기획재정부 제1차관) : "지방 공공요금은 최대한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불가피한 인상을 해야 할 경우에도 소비자 물가 상승률 범위 내에서.."
정부는 공공요금 관리 실적을 평가해 우수 지자체엔 재정 인센티브까지 부여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김진화입니다.
정부가 물가 잡기에 전방위로 나섰습니다.
과자와 아이스크림 등 일부 식품은 1년 전 권장 소비자가를 참조해 값을 책정해 달라고 주문했고 지방공공요금 인상률도 너무 높다고 지적했습니다.
김진화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1년 전부터 가격 표시가 사라진 아이스크림과 과자.
제조업자가 아닌 유통업자가 값을 결정함으로써 가격 하락을 유도한다는
오픈 프라이스제가 실시됐지만, 이 아이스크림 가격은 31.3%나 올랐고 과자들도 10% 정도 값이 뛰었습니다.
<인터뷰>홍성아(서울 여의도동) : "많이 올라서 그냥 잘 안 사주게 돼요."
<인터뷰>서영택(서울 당산동) : "저는 가격이 좀 있는 게 다른 회사랑 비교도 될 수 있고."
불만이 터져나오자, 정부는 시행 1년 만에 오픈 프라이스제를 폐지하고 권장 소비자가를 되살리기로 했습니다.
그러면서, 제도 시행 전인 지난해 6월 말 수준으로 가격을 책정해 달라고 업체들에게 주문했습니다.
권장 소비자가 부활을 통해 뛰는 물가를 잡겠다는 의도입니다.
<녹취>식품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정부의 의지가 그런 거니까 어쨌든 충분히 할 수 있는 범위에서 할 수 있도록 노력해 봐야죠."
지방 공공요금에 대한 강한 억제 의지도 보였습니다.
중앙공공요금이나 소비자 물가에 비해 지방공공요금 인상률이 높다는 지적 때문입니다.
<인터뷰>임종룡(기획재정부 제1차관) : "지방 공공요금은 최대한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불가피한 인상을 해야 할 경우에도 소비자 물가 상승률 범위 내에서.."
정부는 공공요금 관리 실적을 평가해 우수 지자체엔 재정 인센티브까지 부여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김진화입니다.
뉴스광장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김진화 기자 evolution@kbs.co.kr
김진화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