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도시 면적 여의도 면적의 24배 증가

입력 2011.07.26 (06: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말 기준 우리나라 도시면적이 전년도 말에 비해 72㎢ 늘었고, 도시지역 거주 인구도 75만명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면적의 경우 여의도(윤중로 둑 안쪽, 2.9㎢) 면적의 24.8배, 거주 인구는 경기도 안산시 인구 만큼 각각 늘어난 것이다.

국토해양부는 이와 같은 내용의 '2010년 도시계획 현황' 통계를 조사해 26일 발표했다.

국토부에 따르면 지난해말 기준 우리나라의 도시면적은 1만7천492㎢로 전체 면적의 16.6%를 차지했다. 이는 2009년 말의 1만7천420㎢에 비해 72㎢ 늘어난 것이다.

도시지역은 산업화 현상을 반영해 1960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5년 동안 연평균 90.5㎢ 가량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도시지역 가운데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이 각각 92㎢, 11㎢ 증가했고, 공업지역이 85㎢ 늘었으나 용도미지정 지역은 161㎢ 감소했다.

또 관리지역은 540㎢ 증가한 반면 농림지역과 자연환경보전지역은 각각 538㎢와 14㎢가 감소했다.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는 4천593만명으로 전년보다 약 75만명이 증가했다.

전체 인구중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인구의 비율(도시화율)은 2009년 말 90.8%에서 지난해 말에는 90.9%로 0.1%포인트 증가했다.

도시화율은 1960년 39.1%에서 2000년(88.3%)까지 매년 1% 이상 급증해왔으나 2005년(90.1%) 이후 5년 동안은 총 0.8% 늘어나는데 그치며 증가율이 둔화되는 모습이다.

용도지역별로는 농림지역이 5만481㎢로 전체 용도지역의 47.8%를 기록했고, 관리지역이 2만5천824㎢(24.5%), 도시지역 1만7천492㎢(16.6%), 자연환경 보전지역 1만1천725㎢(11.1%) 등이다.

전국의 1인당 공원면적(집행면적 기준)은 지난해보다 0.2㎡ 늘어난 7.6㎡이며 시도별로는 울산광역시가 16.3㎡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인천(11.3㎡), 전남(8.8㎡), 서울(8.7㎡), 전북(8.2㎡)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서울의 1인당 공원면적은 이웃나라인 베이징(4.7㎡), 도쿄(6.0㎡) 보다는 높지만 뉴욕(18.7㎡), 파리(11.6㎡) 등 선진국에 비해서는 낮았다.

도시지역에 지정하는 제1종 지구단위계획구역의 면적은 2009년말보다 59㎢ 증가한 1천414㎢, 비도시지역에 지정하는 제2종 지구단위계획은 1㎢ 감소한 668㎢로 조사됐다.

국토계획법상 개발행위허가 건수는 총 24만9천663건으로 경기도가 5만8천41건으로 가장 많고, 경남(2만6천30건), 경북(2만5천418건), 충남(2만2천227건) 등의 순이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국 도시 면적 여의도 면적의 24배 증가
    • 입력 2011-07-26 06:17:27
    연합뉴스
지난해말 기준 우리나라 도시면적이 전년도 말에 비해 72㎢ 늘었고, 도시지역 거주 인구도 75만명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면적의 경우 여의도(윤중로 둑 안쪽, 2.9㎢) 면적의 24.8배, 거주 인구는 경기도 안산시 인구 만큼 각각 늘어난 것이다. 국토해양부는 이와 같은 내용의 '2010년 도시계획 현황' 통계를 조사해 26일 발표했다. 국토부에 따르면 지난해말 기준 우리나라의 도시면적은 1만7천492㎢로 전체 면적의 16.6%를 차지했다. 이는 2009년 말의 1만7천420㎢에 비해 72㎢ 늘어난 것이다. 도시지역은 산업화 현상을 반영해 1960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5년 동안 연평균 90.5㎢ 가량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도시지역 가운데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이 각각 92㎢, 11㎢ 증가했고, 공업지역이 85㎢ 늘었으나 용도미지정 지역은 161㎢ 감소했다. 또 관리지역은 540㎢ 증가한 반면 농림지역과 자연환경보전지역은 각각 538㎢와 14㎢가 감소했다.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는 4천593만명으로 전년보다 약 75만명이 증가했다. 전체 인구중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인구의 비율(도시화율)은 2009년 말 90.8%에서 지난해 말에는 90.9%로 0.1%포인트 증가했다. 도시화율은 1960년 39.1%에서 2000년(88.3%)까지 매년 1% 이상 급증해왔으나 2005년(90.1%) 이후 5년 동안은 총 0.8% 늘어나는데 그치며 증가율이 둔화되는 모습이다. 용도지역별로는 농림지역이 5만481㎢로 전체 용도지역의 47.8%를 기록했고, 관리지역이 2만5천824㎢(24.5%), 도시지역 1만7천492㎢(16.6%), 자연환경 보전지역 1만1천725㎢(11.1%) 등이다. 전국의 1인당 공원면적(집행면적 기준)은 지난해보다 0.2㎡ 늘어난 7.6㎡이며 시도별로는 울산광역시가 16.3㎡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인천(11.3㎡), 전남(8.8㎡), 서울(8.7㎡), 전북(8.2㎡)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서울의 1인당 공원면적은 이웃나라인 베이징(4.7㎡), 도쿄(6.0㎡) 보다는 높지만 뉴욕(18.7㎡), 파리(11.6㎡) 등 선진국에 비해서는 낮았다. 도시지역에 지정하는 제1종 지구단위계획구역의 면적은 2009년말보다 59㎢ 증가한 1천414㎢, 비도시지역에 지정하는 제2종 지구단위계획은 1㎢ 감소한 668㎢로 조사됐다. 국토계획법상 개발행위허가 건수는 총 24만9천663건으로 경기도가 5만8천41건으로 가장 많고, 경남(2만6천30건), 경북(2만5천418건), 충남(2만2천227건) 등의 순이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