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력충전] 메밀꽃 구경하고! 별미도 맛보고!

입력 2011.09.12 (08:31) 수정 2011.09.12 (09: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가을이 되면 소금을 뿌린 듯 하얀 꽃밭이 펼쳐지는 그곳 아시겠죠?

소설 메밀꽃 필 무렵의 고장, 강원도 봉평 말씀이죠?

메밀꽃의 낭만에 막국수도 일품이라죠.

네 눈도 입도 즐거운 곳인데요. 심연희 기자, 가을비와 함께여도 낭만적이겠어요?

네, 그렇습니다. 우산을 쓰면 쓴 대로 나름의 운치가 있는데요.

봉평에 가면 지금이 아니면 못 보는 귀한 풍경을 만날 수 있습니다.

그 이유! 일 년 중 딱 보름 동안만 새하얀 메밀꽃이 만개하기 때문인데요.

여기에 봉평의 별미! 먹을거리까지 더해지면 더할 나위 없겠죠? 메밀꽃밭으로 안내합니다!

<리포트>

추석 연휴, 얄궂은 날씨에도 사람들 이곳으로 몰려드는 이유!

<녹취> “이야, 정말 좋아. 이거 향기가 정말 끝내준다.”

손을 뻗으면 닿을 듯한 하늘 아래, 촘촘히 소금을 뿌려낸듯... 새하얀 메밀꽃이 흐드러지게 만개했죠.

여기에 촉촉한 가을비와 어우러져, 운치를 더해주는데요.

<녹취> “여기 메밀꽃이 저보다 더 예쁜 것 같아서 질투 나요.”

이 질투심, 나이와는 무관한가봅니다.

<녹취> “꽃이 예뻐, 내가 예뻐?”

<녹취> “꽃이 예쁘지.”

<녹취> “혼나!”

수줍게 터뜨린 메밀꽃망울, 잊었던 소녀 감성도 제대로 자극하죠.

<녹취> “학교 다닐 때,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배웠잖아요. 유일하게 남자 문학 선생님이 계셨는데, 그 선생님도 떠오르고 정말 좋은 것 같아요.”

그렇죠. 이 봉평은 소설 메밀꽃 필 무렵의 배경이 된 곳인데요.

동이가 허생원을 업고 건너던 그 돌다리도 그대로지만요.

<녹취> “물레방앗간이요.”

<녹취> “물레방앗간!”

<녹취> “물레방앗간!”

<녹취> “그 책 읽으면서 얼마나 두근두근했는데요.”

허생원과 성씨 처녀가 하룻밤을 보냈던 물레방앗간에선 이렇게 모처럼 분위기도 잡아보는데요.

<녹취> “우리 심심한데 뽀뽀나 한 번 해볼까?”

어둠이 짙게 깔리고 나니, 메밀꽃밭을 묘사한 소설의 한 구절...눈앞에 그대로 펼쳐집니다.

<녹취> “산허리는 온통 메밀밭이라서 피기 시작한 꽃이 소금을 뿌린 듯이 흐뭇한 달빛에 숨이 막힐 지경이다.“

<녹취> “올 추석엔 보름달을 못 본다고 해서 굉장히 서운했는데, 이렇게 아름다운 메밀꽃을 보니까 정말 좋은 것 같아요.”

이 메밀꽃 필 무렵... 그 향기 진하게 느낄 수 있다는 곳인데요.

고무장갑에, 망사 모자까지 쓰고, 중무장은 필숩니다.

<녹취> “보물을 만나러 가려면 이렇게 복장을 단단히 하고 가야 하니까 말 시키지 말고 빨리 따라와요.”

그 보물의 정체~ 수백 개의 상자 중 하나를 열어보니, 8만 마리의 벌떼들이 꽉꽉 들어차 있네요.

<녹취> “메밀꿀이에요. 메밀꿀, 들어봤어요?”

매년 꽃이 피고 지는 보름 동안만, 꿀벌들이 메밀꽃을 찾아 열심히 따온다는 귀한 보물, 메밀꿀!

끈끈하니 빛깔 한번 참 곱죠.

<인터뷰>전기현(메밀꿀 농장 운영) : “메밀엔 루틴이라는 성분이 있어서 고혈압, 심장 질환에 정말 좋거든요. 꿀은 그 영양분이 농축됐기 때문에 더 좋습니다.”

그 맛보러 일부러 찾아올 정돈데요. 메밀꿀 맛, 궁금하시죠?

<녹취> “음, 맛있다.”

<녹취> “야야, 이거 나 먹을 건데 왜 자꾸 뺏어 먹으려고 해.”

직접 사갈 수도 있는데요. 병에 묻은 것 한 방울도 아쉬울 정돕니다.

<녹취> “아까워라. 정말 맛있어.”

<녹취> “사장님, 바닥에 많이 흘려놓지, 먹게.”

메밀꿀만큼이나 달콤하다는 봉평 대표 주전부리도 있는데요.

<녹취> “아, 내가 제일 좋아하는 메밀 찐빵이에요.”

색깔부터 좀 다르죠. 이 메밀찐빵, 메밀 반죽에 팥소 듬뿍 넣어서 찜통에 쪄주면~ 구수한 냄새가 한가득! 포근포근 메밀찐빵입니다.

일반 찐빵이랑 맛이 어떻게 다를까요?

<녹취> “메밀이 까칠까칠해서 목에 안 넘어갈 줄 알았는데 되게 담백하고, 맛도 좋고, 목 넘김도 좋고, 구수한 게 좋은 것 같아요.”

이 맛에 반해, 멀리서 온 손님들 포장은 잊지 않습니다.

<녹취> “부모님, 기다리세요. 저희가 찐빵 가지고 갈게요.”

하지만, 메밀 맛의 진수,,, 요리로 맛봐야겠죠?

후르륵-하고 넘어가는 이 경쾌한 소리, 들리시나요?

메밀 대표요리, 메밀국숩니다.

갓 뽑아낸 메밀 면에~ 살얼음 육수, 아삭한 메밀싹 듬뿍 올려 말아먹는 시원한 맛이죠.

본고장의 맛, 아이들도 홀딱 반했는데요.

<녹취> “맛있다!”

<녹취> “이야, 시원해!”

가을 향이 물씬 나는 메밀 전도 있는데요.

김치, 부추 넣고 얇게 부쳐낸 메밀 전~ 만두속을 메밀 반죽에 돌돌 말아 부쳐낸 메밀 전병까지~

입안에 봉평의 가을이 가득 들어찹니다.

<녹취> “오늘 아침에 기름진 음식만 먹었는데 시원한 메밀국수 먹으니까 속이 시원해지는 게 정말 좋습니다. 속이 후련합니다.”

눈부신 순백 물결, 메밀꽃밭에서 정겨운 추석을 온 가족이 즐거운, 마침표로 찍어보세요.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활력충전] 메밀꽃 구경하고! 별미도 맛보고!
    • 입력 2011-09-12 08:31:41
    • 수정2011-09-12 09:07:38
    아침뉴스타임
<앵커 멘트> 가을이 되면 소금을 뿌린 듯 하얀 꽃밭이 펼쳐지는 그곳 아시겠죠? 소설 메밀꽃 필 무렵의 고장, 강원도 봉평 말씀이죠? 메밀꽃의 낭만에 막국수도 일품이라죠. 네 눈도 입도 즐거운 곳인데요. 심연희 기자, 가을비와 함께여도 낭만적이겠어요? 네, 그렇습니다. 우산을 쓰면 쓴 대로 나름의 운치가 있는데요. 봉평에 가면 지금이 아니면 못 보는 귀한 풍경을 만날 수 있습니다. 그 이유! 일 년 중 딱 보름 동안만 새하얀 메밀꽃이 만개하기 때문인데요. 여기에 봉평의 별미! 먹을거리까지 더해지면 더할 나위 없겠죠? 메밀꽃밭으로 안내합니다! <리포트> 추석 연휴, 얄궂은 날씨에도 사람들 이곳으로 몰려드는 이유! <녹취> “이야, 정말 좋아. 이거 향기가 정말 끝내준다.” 손을 뻗으면 닿을 듯한 하늘 아래, 촘촘히 소금을 뿌려낸듯... 새하얀 메밀꽃이 흐드러지게 만개했죠. 여기에 촉촉한 가을비와 어우러져, 운치를 더해주는데요. <녹취> “여기 메밀꽃이 저보다 더 예쁜 것 같아서 질투 나요.” 이 질투심, 나이와는 무관한가봅니다. <녹취> “꽃이 예뻐, 내가 예뻐?” <녹취> “꽃이 예쁘지.” <녹취> “혼나!” 수줍게 터뜨린 메밀꽃망울, 잊었던 소녀 감성도 제대로 자극하죠. <녹취> “학교 다닐 때,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배웠잖아요. 유일하게 남자 문학 선생님이 계셨는데, 그 선생님도 떠오르고 정말 좋은 것 같아요.” 그렇죠. 이 봉평은 소설 메밀꽃 필 무렵의 배경이 된 곳인데요. 동이가 허생원을 업고 건너던 그 돌다리도 그대로지만요. <녹취> “물레방앗간이요.” <녹취> “물레방앗간!” <녹취> “물레방앗간!” <녹취> “그 책 읽으면서 얼마나 두근두근했는데요.” 허생원과 성씨 처녀가 하룻밤을 보냈던 물레방앗간에선 이렇게 모처럼 분위기도 잡아보는데요. <녹취> “우리 심심한데 뽀뽀나 한 번 해볼까?” 어둠이 짙게 깔리고 나니, 메밀꽃밭을 묘사한 소설의 한 구절...눈앞에 그대로 펼쳐집니다. <녹취> “산허리는 온통 메밀밭이라서 피기 시작한 꽃이 소금을 뿌린 듯이 흐뭇한 달빛에 숨이 막힐 지경이다.“ <녹취> “올 추석엔 보름달을 못 본다고 해서 굉장히 서운했는데, 이렇게 아름다운 메밀꽃을 보니까 정말 좋은 것 같아요.” 이 메밀꽃 필 무렵... 그 향기 진하게 느낄 수 있다는 곳인데요. 고무장갑에, 망사 모자까지 쓰고, 중무장은 필숩니다. <녹취> “보물을 만나러 가려면 이렇게 복장을 단단히 하고 가야 하니까 말 시키지 말고 빨리 따라와요.” 그 보물의 정체~ 수백 개의 상자 중 하나를 열어보니, 8만 마리의 벌떼들이 꽉꽉 들어차 있네요. <녹취> “메밀꿀이에요. 메밀꿀, 들어봤어요?” 매년 꽃이 피고 지는 보름 동안만, 꿀벌들이 메밀꽃을 찾아 열심히 따온다는 귀한 보물, 메밀꿀! 끈끈하니 빛깔 한번 참 곱죠. <인터뷰>전기현(메밀꿀 농장 운영) : “메밀엔 루틴이라는 성분이 있어서 고혈압, 심장 질환에 정말 좋거든요. 꿀은 그 영양분이 농축됐기 때문에 더 좋습니다.” 그 맛보러 일부러 찾아올 정돈데요. 메밀꿀 맛, 궁금하시죠? <녹취> “음, 맛있다.” <녹취> “야야, 이거 나 먹을 건데 왜 자꾸 뺏어 먹으려고 해.” 직접 사갈 수도 있는데요. 병에 묻은 것 한 방울도 아쉬울 정돕니다. <녹취> “아까워라. 정말 맛있어.” <녹취> “사장님, 바닥에 많이 흘려놓지, 먹게.” 메밀꿀만큼이나 달콤하다는 봉평 대표 주전부리도 있는데요. <녹취> “아, 내가 제일 좋아하는 메밀 찐빵이에요.” 색깔부터 좀 다르죠. 이 메밀찐빵, 메밀 반죽에 팥소 듬뿍 넣어서 찜통에 쪄주면~ 구수한 냄새가 한가득! 포근포근 메밀찐빵입니다. 일반 찐빵이랑 맛이 어떻게 다를까요? <녹취> “메밀이 까칠까칠해서 목에 안 넘어갈 줄 알았는데 되게 담백하고, 맛도 좋고, 목 넘김도 좋고, 구수한 게 좋은 것 같아요.” 이 맛에 반해, 멀리서 온 손님들 포장은 잊지 않습니다. <녹취> “부모님, 기다리세요. 저희가 찐빵 가지고 갈게요.” 하지만, 메밀 맛의 진수,,, 요리로 맛봐야겠죠? 후르륵-하고 넘어가는 이 경쾌한 소리, 들리시나요? 메밀 대표요리, 메밀국숩니다. 갓 뽑아낸 메밀 면에~ 살얼음 육수, 아삭한 메밀싹 듬뿍 올려 말아먹는 시원한 맛이죠. 본고장의 맛, 아이들도 홀딱 반했는데요. <녹취> “맛있다!” <녹취> “이야, 시원해!” 가을 향이 물씬 나는 메밀 전도 있는데요. 김치, 부추 넣고 얇게 부쳐낸 메밀 전~ 만두속을 메밀 반죽에 돌돌 말아 부쳐낸 메밀 전병까지~ 입안에 봉평의 가을이 가득 들어찹니다. <녹취> “오늘 아침에 기름진 음식만 먹었는데 시원한 메밀국수 먹으니까 속이 시원해지는 게 정말 좋습니다. 속이 후련합니다.” 눈부신 순백 물결, 메밀꽃밭에서 정겨운 추석을 온 가족이 즐거운, 마침표로 찍어보세요.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