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세계 D램·낸드시장 ‘삼성 지배력’ 커졌다
입력 2011.09.12 (09:48) 경제
메모리 반도체인 D램 및 낸드 플래시 가격이 회복되지 않는 가운데 삼성전자의 시장 지배력이 더 공고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시장조사 전문업체인 아이서플라이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세계 낸드 플래시 시장 규모는 47억 달러로 1분기의 49억 달러보다 4.3% 축소됐습니다.
이는 2위 낸드 생산 업체인 일본 도시바의 올해 2분기 매출이 엔고와 동일본 대지진의 영향으로 부품 공급에 차질을 빚어 전분기보다 21.4%나 감소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이에 따라 도시바의 시장 점유율은 1분기 34.9%에서 2분기 28.7%로 6.2%포인트 떨어졌습니다.
반면 1위인 삼성전자의 매출은 같은 기간 19억 달러에서 20억 달러로 늘었고, 시장 점유율은 1분기 38.8%에서 2분기 41.6%로 높아졌습니다.
이어 미국 마이크론과 하이닉스반도체가 각각 2분기 시장 점유율 3위와 4위를 차지했습니다.
아이서플라이 관계자는 도시바의 생산과 공급망이 정상화되면 삼성전자의 경쟁자로 다시 부상할 것이고, 마이크론과 하이닉스의 3위 싸움도 점점 치열해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시장조사 전문업체인 아이서플라이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세계 낸드 플래시 시장 규모는 47억 달러로 1분기의 49억 달러보다 4.3% 축소됐습니다.
이는 2위 낸드 생산 업체인 일본 도시바의 올해 2분기 매출이 엔고와 동일본 대지진의 영향으로 부품 공급에 차질을 빚어 전분기보다 21.4%나 감소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이에 따라 도시바의 시장 점유율은 1분기 34.9%에서 2분기 28.7%로 6.2%포인트 떨어졌습니다.
반면 1위인 삼성전자의 매출은 같은 기간 19억 달러에서 20억 달러로 늘었고, 시장 점유율은 1분기 38.8%에서 2분기 41.6%로 높아졌습니다.
이어 미국 마이크론과 하이닉스반도체가 각각 2분기 시장 점유율 3위와 4위를 차지했습니다.
아이서플라이 관계자는 도시바의 생산과 공급망이 정상화되면 삼성전자의 경쟁자로 다시 부상할 것이고, 마이크론과 하이닉스의 3위 싸움도 점점 치열해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세계 D램·낸드시장 ‘삼성 지배력’ 커졌다
-
- 입력 2011-09-12 09:48:22
메모리 반도체인 D램 및 낸드 플래시 가격이 회복되지 않는 가운데 삼성전자의 시장 지배력이 더 공고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시장조사 전문업체인 아이서플라이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세계 낸드 플래시 시장 규모는 47억 달러로 1분기의 49억 달러보다 4.3% 축소됐습니다.
이는 2위 낸드 생산 업체인 일본 도시바의 올해 2분기 매출이 엔고와 동일본 대지진의 영향으로 부품 공급에 차질을 빚어 전분기보다 21.4%나 감소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이에 따라 도시바의 시장 점유율은 1분기 34.9%에서 2분기 28.7%로 6.2%포인트 떨어졌습니다.
반면 1위인 삼성전자의 매출은 같은 기간 19억 달러에서 20억 달러로 늘었고, 시장 점유율은 1분기 38.8%에서 2분기 41.6%로 높아졌습니다.
이어 미국 마이크론과 하이닉스반도체가 각각 2분기 시장 점유율 3위와 4위를 차지했습니다.
아이서플라이 관계자는 도시바의 생산과 공급망이 정상화되면 삼성전자의 경쟁자로 다시 부상할 것이고, 마이크론과 하이닉스의 3위 싸움도 점점 치열해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시장조사 전문업체인 아이서플라이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세계 낸드 플래시 시장 규모는 47억 달러로 1분기의 49억 달러보다 4.3% 축소됐습니다.
이는 2위 낸드 생산 업체인 일본 도시바의 올해 2분기 매출이 엔고와 동일본 대지진의 영향으로 부품 공급에 차질을 빚어 전분기보다 21.4%나 감소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이에 따라 도시바의 시장 점유율은 1분기 34.9%에서 2분기 28.7%로 6.2%포인트 떨어졌습니다.
반면 1위인 삼성전자의 매출은 같은 기간 19억 달러에서 20억 달러로 늘었고, 시장 점유율은 1분기 38.8%에서 2분기 41.6%로 높아졌습니다.
이어 미국 마이크론과 하이닉스반도체가 각각 2분기 시장 점유율 3위와 4위를 차지했습니다.
아이서플라이 관계자는 도시바의 생산과 공급망이 정상화되면 삼성전자의 경쟁자로 다시 부상할 것이고, 마이크론과 하이닉스의 3위 싸움도 점점 치열해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기자 정보
-
-
김진화 기자 evolution@kbs.co.kr
김진화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