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관 자원봉사들 구조활동

입력 2001.09.12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금 이 시간 참사현장에서는 소방관과 자원봉사자들이 몸을 아끼지 않고 구조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헌혈하겠다는 시민들도 줄을 잇고 있습니다.
뉴욕의 사고 현장에서 박종훈 기자입니다.
⊙기자: 가장 먼저 현장에 출동해 구조활동을 벌이던 소방관 300여 명은 건물 붕괴와 함께 행방불명됐습니다.
이들은 시민들을 안전한 곳으로 유도해 인명피해를 그나마 줄일 수 있었습니다.
⊙생존자: 소방관이 라이터불을 켰고 우리는 그 소방관을 따라 나왔어요.
⊙기자: 소방관들은 지금도 마스크를 쓴 채 짙은 먼지 구름을 뚫고 생존자 구조작업을 벌이느라 탈진상태입니다.
⊙소방관: 복도를 지나는데 큰 폭발이 있었고, 빠져나오려 했으나 갇히고 말았어요.
⊙기자: 이름없는 시민들의 자원봉사 신청도 줄을 잇고 있습니다.
보수없이 탈진한 경찰과 소방관을 돌보는가 하면 무선통신으로 구조작업을 돕고 있습니다.
⊙자원봉사자: 엄청난 재앙이죠.
저는 이스라엘 사람인데 이 같은 일에 어떻게 대처할지 잘 알죠.
⊙기자: 특히 수혈할 피가 모자란다는 보도가 나가자 뉴욕병원 등에는 헌혈을 하겠다는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더욱이 경찰 대부분이 참사현장에 투입돼 있는데도 치안 공백을 틈탄 방화나 절도 등은 단 한 건도 신고되지 않고 있습니다.
뉴욕에서 KBS뉴스 박종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소방관 자원봉사들 구조활동
    • 입력 2001-09-12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지금 이 시간 참사현장에서는 소방관과 자원봉사자들이 몸을 아끼지 않고 구조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헌혈하겠다는 시민들도 줄을 잇고 있습니다. 뉴욕의 사고 현장에서 박종훈 기자입니다. ⊙기자: 가장 먼저 현장에 출동해 구조활동을 벌이던 소방관 300여 명은 건물 붕괴와 함께 행방불명됐습니다. 이들은 시민들을 안전한 곳으로 유도해 인명피해를 그나마 줄일 수 있었습니다. ⊙생존자: 소방관이 라이터불을 켰고 우리는 그 소방관을 따라 나왔어요. ⊙기자: 소방관들은 지금도 마스크를 쓴 채 짙은 먼지 구름을 뚫고 생존자 구조작업을 벌이느라 탈진상태입니다. ⊙소방관: 복도를 지나는데 큰 폭발이 있었고, 빠져나오려 했으나 갇히고 말았어요. ⊙기자: 이름없는 시민들의 자원봉사 신청도 줄을 잇고 있습니다. 보수없이 탈진한 경찰과 소방관을 돌보는가 하면 무선통신으로 구조작업을 돕고 있습니다. ⊙자원봉사자: 엄청난 재앙이죠. 저는 이스라엘 사람인데 이 같은 일에 어떻게 대처할지 잘 알죠. ⊙기자: 특히 수혈할 피가 모자란다는 보도가 나가자 뉴욕병원 등에는 헌혈을 하겠다는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더욱이 경찰 대부분이 참사현장에 투입돼 있는데도 치안 공백을 틈탄 방화나 절도 등은 단 한 건도 신고되지 않고 있습니다. 뉴욕에서 KBS뉴스 박종훈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