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동해안 별미 ‘과메기’ 첫 출하
입력 2011.10.27 (07:53) 뉴스광장
<앵커 멘트>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면서 경북 동해안의 별미인 꽁치 과메기 만들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됐습니다.
올해는 일본 원전사태의 영향으로 꽁치 어획량이 줄면서 과메기 가격도 오를 전망입니다.
보도에 강전일 기자입니다.
<리포트>
푸른 바다를 배경으로 과메기가 주렁주렁 내걸렸습니다.
한낮의 따사로운 햇살과 차가운 바닷바람이 오묘한 조화를 이루며, 과메기의 속살은 검붉은 색을 더해갑니다.
포항 구룡포 과메기는 짠 바닷바람을 맞으며 꾸덕꾸덕 마르기 때문에 쫄깃한 식감이 일품입니다.
<인터뷰>조성남(과메기 생산 어민) : "이쪽이 바람이 좋고요. 온도나 습도가 굉장히 적절하게 맞습니다. 그래서 과메기 건조가 잘됩니다."
전국 과메기 생산량의 80%를 차지하는 경북 포항.
첫 서리가 내린다는 상강이 지나면서 과메기를 만드는 어민들의 손길이 바빠지고 있습니다.
올해는 특히, 일본 원전사고의 여파로 과메기의 주 원료인 꽁치 어획량이 줄어, 과메기 가격 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해안 덕장마다 과메기가 내걸리면서 동해안의 가을은 겨울로 치닫고 있습니다.
KBS 뉴스 강전일입니다.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면서 경북 동해안의 별미인 꽁치 과메기 만들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됐습니다.
올해는 일본 원전사태의 영향으로 꽁치 어획량이 줄면서 과메기 가격도 오를 전망입니다.
보도에 강전일 기자입니다.
<리포트>
푸른 바다를 배경으로 과메기가 주렁주렁 내걸렸습니다.
한낮의 따사로운 햇살과 차가운 바닷바람이 오묘한 조화를 이루며, 과메기의 속살은 검붉은 색을 더해갑니다.
포항 구룡포 과메기는 짠 바닷바람을 맞으며 꾸덕꾸덕 마르기 때문에 쫄깃한 식감이 일품입니다.
<인터뷰>조성남(과메기 생산 어민) : "이쪽이 바람이 좋고요. 온도나 습도가 굉장히 적절하게 맞습니다. 그래서 과메기 건조가 잘됩니다."
전국 과메기 생산량의 80%를 차지하는 경북 포항.
첫 서리가 내린다는 상강이 지나면서 과메기를 만드는 어민들의 손길이 바빠지고 있습니다.
올해는 특히, 일본 원전사고의 여파로 과메기의 주 원료인 꽁치 어획량이 줄어, 과메기 가격 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해안 덕장마다 과메기가 내걸리면서 동해안의 가을은 겨울로 치닫고 있습니다.
KBS 뉴스 강전일입니다.
- 동해안 별미 ‘과메기’ 첫 출하
-
- 입력 2011-10-27 07:53:42

<앵커 멘트>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면서 경북 동해안의 별미인 꽁치 과메기 만들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됐습니다.
올해는 일본 원전사태의 영향으로 꽁치 어획량이 줄면서 과메기 가격도 오를 전망입니다.
보도에 강전일 기자입니다.
<리포트>
푸른 바다를 배경으로 과메기가 주렁주렁 내걸렸습니다.
한낮의 따사로운 햇살과 차가운 바닷바람이 오묘한 조화를 이루며, 과메기의 속살은 검붉은 색을 더해갑니다.
포항 구룡포 과메기는 짠 바닷바람을 맞으며 꾸덕꾸덕 마르기 때문에 쫄깃한 식감이 일품입니다.
<인터뷰>조성남(과메기 생산 어민) : "이쪽이 바람이 좋고요. 온도나 습도가 굉장히 적절하게 맞습니다. 그래서 과메기 건조가 잘됩니다."
전국 과메기 생산량의 80%를 차지하는 경북 포항.
첫 서리가 내린다는 상강이 지나면서 과메기를 만드는 어민들의 손길이 바빠지고 있습니다.
올해는 특히, 일본 원전사고의 여파로 과메기의 주 원료인 꽁치 어획량이 줄어, 과메기 가격 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해안 덕장마다 과메기가 내걸리면서 동해안의 가을은 겨울로 치닫고 있습니다.
KBS 뉴스 강전일입니다.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면서 경북 동해안의 별미인 꽁치 과메기 만들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됐습니다.
올해는 일본 원전사태의 영향으로 꽁치 어획량이 줄면서 과메기 가격도 오를 전망입니다.
보도에 강전일 기자입니다.
<리포트>
푸른 바다를 배경으로 과메기가 주렁주렁 내걸렸습니다.
한낮의 따사로운 햇살과 차가운 바닷바람이 오묘한 조화를 이루며, 과메기의 속살은 검붉은 색을 더해갑니다.
포항 구룡포 과메기는 짠 바닷바람을 맞으며 꾸덕꾸덕 마르기 때문에 쫄깃한 식감이 일품입니다.
<인터뷰>조성남(과메기 생산 어민) : "이쪽이 바람이 좋고요. 온도나 습도가 굉장히 적절하게 맞습니다. 그래서 과메기 건조가 잘됩니다."
전국 과메기 생산량의 80%를 차지하는 경북 포항.
첫 서리가 내린다는 상강이 지나면서 과메기를 만드는 어민들의 손길이 바빠지고 있습니다.
올해는 특히, 일본 원전사고의 여파로 과메기의 주 원료인 꽁치 어획량이 줄어, 과메기 가격 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해안 덕장마다 과메기가 내걸리면서 동해안의 가을은 겨울로 치닫고 있습니다.
KBS 뉴스 강전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뉴스광장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강전일 기자 korkang@kbs.co.kr
강전일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