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발 위기 장기화 국면…한국경제 활로는?

입력 2011.11.02 (23: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그리스가 유럽연합이 주기로 한 구제 금융을 국민 투표에 부치겠다고 나서면서 파문이 일고 있습니다.

그리스가 왜 이런 '위험한 도박'을 벌이는지, 글로벌 금융 시장은 다시 혼란에 휩싸였고 우리 금융시장도 출렁거렸습니다.

문제는 유럽발 금융 위기가 장기화 국면에 접어들면서 우리 실물경제까지 그 파장을 미치고 있다는 점입니다.

조현진 기자와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질문> 그리스가 구제금융안을 국민투표에 붙이는 이유가 뭔가요?

<답변>

네, 그리스의 파판드레우 총리는 모레 신임투표를 앞두고 있습니다.

과반을 차지하고는 있지만 소속당 내부에서도 총리의 퇴진을 요구하며 탈당하는 의원들이 적지 않기 때문에 전망은 불투명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파판드레우 총리가 유럽연합의 구제금융안을 국민투표에 붙이겠다는 폭탄 선언을 한건데요.

정치 생명을 건 마지막 카드로 보입니다.

파판드레우 그리스 총리의 말입니다.

<인터뷰>파판드레우(그리스 총리): "민주주의의 최고 형태입니다.시민들의 애국심이 결정하는 단계입니다.국민들이 최종적으로 결정할 것입니다."

재정 긴축에 대한 국민적 반발을 정면 돌파하고, 투표가 부결될 경우 책임은 국민에게 돌리겠다는 정치적 셈법입니다.

<질문> 그리스 정부의 돌발적인 결정 때문에 세계 금융시장이 큰 충격을 받았죠?

<답변>

네, 그리스 국민투표는 이르면 올해 말, 늦으면 내년 초쯤 실시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부결이 된다면 그리스는 곧바로 디폴트, 국가 부도에 빠지게 됩니다.

그동안 도와준 유로존의 노력도 물거품으로 돌아갑니다.

유럽 지도부는 위험한 도박이라며 당혹감에 빠졌습니다.

내일,프랑스 칸에서 열리는 G 20 정상회담에서도 대책 논의가 이어지겠지만, 그리스의 돌출 행동에 해법이 나오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다시 찾아온 그리스발 불안에 세계 금융 시장도 휘청했습니다.

국민투표 발표 직후 뉴욕과 유럽 증시는 폭락했고 오늘 개장한 유럽증시는 이시각 현재 혼조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질문> 우리 경제에도 충격이 적지 않겠죠?

<답변>

네, 그리스발 충격에 오늘 코스피가 장중 50포인트나 떨어졌다 반등하는 등 우리 금융시장도 출렁거렸습니다.

문제는 유럽발 금융 위기가 장기화될 것이라는 게 거의 확실하다는 점입니다.

정부는 3천백억달러가 넘는 외환보유고 등을 들며 아직은 괜찮다는 입장입니다만, 낙관할수 만은 없는 상황입니다.

우선 외부 충격에 취약한 금융시장의 구조가 문젭니다.

우리 금융시장은 주식시장에서 외국인 비중이 30%를 넘고 자본시장 개방도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인데요.

단기 투기성 자본이 자유롭게 들락날락한다는 말입니다.

이때문에 8월 금융위기 이후 코스피는 35%나 오르내렸고 원-달러 환율 등락폭은 145원에 이릅니다.

아시아 금융시장 가운데 최대 변동폭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가계부채, 집값 급락, 저축은행 부실화 등 내부 불안 요소가 대두될 경우 문제는 심각해 질 수 있습니다.

<질문> 금융위기가 실물로 번지면 문제가 심각해질텐데요. 특히 우리나라는 수출 의존도가 높으니까 충격이 크지 않겠습니까?

<답변>

실제로 금융 위기가 실물로 번지고 있다는 신호가 곳곳에서 포착되고 있습니다.

미국,유럽으로의 수출이 줄면서 지난달 제조업 경기실사지수는 2년 3개월 만에 최저로 떨어졌습니다.

또 영업이익으로 이자조차 갚지 못하는 한계기업이 전체 상장기업 10곳 중 3곳이 넘습니다.

오동윤 중소기업연구원의 말입니다.

<인터뷰>오동윤(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 "원자재 가격 상승과 인건비 상승이 급격하게 이뤄지기 때문에 자금이 융통 안 되면 심지어 제품조차 생산하지 못하는 어려움.."

<질문> 어떤 대책이 필요할까요?

<답변>

현재 우리나라의 대외의존도가 90%가 넘는데요.

이처럼 수출과 대기업 위주인 산업구조의 개편이 시급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취약한 내수를 확대해서 수출에만 의존하는 경제구조를 수출과 내수가 함께 견인하는 쌍끌이 구조로 바꿀 필요가 있습니다.

복지와 교육, 금융 등 지식기반 서비스 산업을 활성화하고 혁신적인 창업이 활발히 이뤄지도록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해 보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유럽발 위기 장기화 국면…한국경제 활로는?
    • 입력 2011-11-02 23:40:36
    뉴스라인 W
<앵커 멘트> 그리스가 유럽연합이 주기로 한 구제 금융을 국민 투표에 부치겠다고 나서면서 파문이 일고 있습니다. 그리스가 왜 이런 '위험한 도박'을 벌이는지, 글로벌 금융 시장은 다시 혼란에 휩싸였고 우리 금융시장도 출렁거렸습니다. 문제는 유럽발 금융 위기가 장기화 국면에 접어들면서 우리 실물경제까지 그 파장을 미치고 있다는 점입니다. 조현진 기자와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질문> 그리스가 구제금융안을 국민투표에 붙이는 이유가 뭔가요? <답변> 네, 그리스의 파판드레우 총리는 모레 신임투표를 앞두고 있습니다. 과반을 차지하고는 있지만 소속당 내부에서도 총리의 퇴진을 요구하며 탈당하는 의원들이 적지 않기 때문에 전망은 불투명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파판드레우 총리가 유럽연합의 구제금융안을 국민투표에 붙이겠다는 폭탄 선언을 한건데요. 정치 생명을 건 마지막 카드로 보입니다. 파판드레우 그리스 총리의 말입니다. <인터뷰>파판드레우(그리스 총리): "민주주의의 최고 형태입니다.시민들의 애국심이 결정하는 단계입니다.국민들이 최종적으로 결정할 것입니다." 재정 긴축에 대한 국민적 반발을 정면 돌파하고, 투표가 부결될 경우 책임은 국민에게 돌리겠다는 정치적 셈법입니다. <질문> 그리스 정부의 돌발적인 결정 때문에 세계 금융시장이 큰 충격을 받았죠? <답변> 네, 그리스 국민투표는 이르면 올해 말, 늦으면 내년 초쯤 실시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부결이 된다면 그리스는 곧바로 디폴트, 국가 부도에 빠지게 됩니다. 그동안 도와준 유로존의 노력도 물거품으로 돌아갑니다. 유럽 지도부는 위험한 도박이라며 당혹감에 빠졌습니다. 내일,프랑스 칸에서 열리는 G 20 정상회담에서도 대책 논의가 이어지겠지만, 그리스의 돌출 행동에 해법이 나오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다시 찾아온 그리스발 불안에 세계 금융 시장도 휘청했습니다. 국민투표 발표 직후 뉴욕과 유럽 증시는 폭락했고 오늘 개장한 유럽증시는 이시각 현재 혼조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질문> 우리 경제에도 충격이 적지 않겠죠? <답변> 네, 그리스발 충격에 오늘 코스피가 장중 50포인트나 떨어졌다 반등하는 등 우리 금융시장도 출렁거렸습니다. 문제는 유럽발 금융 위기가 장기화될 것이라는 게 거의 확실하다는 점입니다. 정부는 3천백억달러가 넘는 외환보유고 등을 들며 아직은 괜찮다는 입장입니다만, 낙관할수 만은 없는 상황입니다. 우선 외부 충격에 취약한 금융시장의 구조가 문젭니다. 우리 금융시장은 주식시장에서 외국인 비중이 30%를 넘고 자본시장 개방도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인데요. 단기 투기성 자본이 자유롭게 들락날락한다는 말입니다. 이때문에 8월 금융위기 이후 코스피는 35%나 오르내렸고 원-달러 환율 등락폭은 145원에 이릅니다. 아시아 금융시장 가운데 최대 변동폭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가계부채, 집값 급락, 저축은행 부실화 등 내부 불안 요소가 대두될 경우 문제는 심각해 질 수 있습니다. <질문> 금융위기가 실물로 번지면 문제가 심각해질텐데요. 특히 우리나라는 수출 의존도가 높으니까 충격이 크지 않겠습니까? <답변> 실제로 금융 위기가 실물로 번지고 있다는 신호가 곳곳에서 포착되고 있습니다. 미국,유럽으로의 수출이 줄면서 지난달 제조업 경기실사지수는 2년 3개월 만에 최저로 떨어졌습니다. 또 영업이익으로 이자조차 갚지 못하는 한계기업이 전체 상장기업 10곳 중 3곳이 넘습니다. 오동윤 중소기업연구원의 말입니다. <인터뷰>오동윤(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 "원자재 가격 상승과 인건비 상승이 급격하게 이뤄지기 때문에 자금이 융통 안 되면 심지어 제품조차 생산하지 못하는 어려움.." <질문> 어떤 대책이 필요할까요? <답변> 현재 우리나라의 대외의존도가 90%가 넘는데요. 이처럼 수출과 대기업 위주인 산업구조의 개편이 시급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취약한 내수를 확대해서 수출에만 의존하는 경제구조를 수출과 내수가 함께 견인하는 쌍끌이 구조로 바꿀 필요가 있습니다. 복지와 교육, 금융 등 지식기반 서비스 산업을 활성화하고 혁신적인 창업이 활발히 이뤄지도록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해 보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