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효능 입증 안 된 ‘항암배추’…예산만 낭비?
입력 2011.11.10 (08:04) 수정 2017.01.31 (11:31) 뉴스광장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멘트>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항암 성분이 있다는 채소와 과일이 주목받고 있는데요.
세계 최초로 ’항암 배추’를 개발했다는 발표가 있었는데, 정작 실험을 한 기관에서는 항암 효능이 없었다고 반박하고 나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함영구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회의원과 농림부 관계자, 지자체장까지 참여해 열린 세계 최초 항암 배추 개발 발표회장. 항암 효과가 있는 ’베타카로틴’과 ’글루코나스투틴’ 성분이 일반 배추보다 30배 이상 많다며 자체 의뢰했던 연구기관의 성분 분석자료도 제시했습니다.
<인터뷰> 박동복(항암 배추 개발 업체) : "수많은 실패를 거듭해서 오늘날 이 항암 배추를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KBS가 입수한 이들 연구기관 중 1곳의 분석 내용은 달랐습니다.
글루코나스투틴 성분의 경우 일반 배추보다 33배 높다고 발표했지만, 배추 겉이 아닌 속은 일반 배추보다 오히려 낮았습니다.
또, 34배 이상이라고 밝힌 베타카로틴의 경우도 항암 배추보다 한 일반 배추 품종이 월등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연구기관은 종묘업체가 분석 자료를 왜곡했다며 자료사용 중단을 요청하고 나섰습니다.
<인터뷰> 박종태(교수/충남대 식물성분 분석센터) : "저희가 판단하기에는 그런 과학적인 근거로 저희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은 잘못됐다는 판단을 내린 거죠."
더구나, 이 두 성분은 학계에서도 항암 효과 여부에 대해 논란이 많은 것들입니다.
<인터뷰> 김대중(교수/충북대 암예방연구실) : "(베타카로틴과 글루코나스투틴은) 임상에서 항암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도 연구가 돼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 종묘업체 인근의 충북 괴산군은 예산을 투입해 100여 농가에 항암 배추 종자를 보급했습니다.
KBS 뉴스 함영구입니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항암 성분이 있다는 채소와 과일이 주목받고 있는데요.
세계 최초로 ’항암 배추’를 개발했다는 발표가 있었는데, 정작 실험을 한 기관에서는 항암 효능이 없었다고 반박하고 나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함영구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회의원과 농림부 관계자, 지자체장까지 참여해 열린 세계 최초 항암 배추 개발 발표회장. 항암 효과가 있는 ’베타카로틴’과 ’글루코나스투틴’ 성분이 일반 배추보다 30배 이상 많다며 자체 의뢰했던 연구기관의 성분 분석자료도 제시했습니다.
<인터뷰> 박동복(항암 배추 개발 업체) : "수많은 실패를 거듭해서 오늘날 이 항암 배추를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KBS가 입수한 이들 연구기관 중 1곳의 분석 내용은 달랐습니다.
글루코나스투틴 성분의 경우 일반 배추보다 33배 높다고 발표했지만, 배추 겉이 아닌 속은 일반 배추보다 오히려 낮았습니다.
또, 34배 이상이라고 밝힌 베타카로틴의 경우도 항암 배추보다 한 일반 배추 품종이 월등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연구기관은 종묘업체가 분석 자료를 왜곡했다며 자료사용 중단을 요청하고 나섰습니다.
<인터뷰> 박종태(교수/충남대 식물성분 분석센터) : "저희가 판단하기에는 그런 과학적인 근거로 저희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은 잘못됐다는 판단을 내린 거죠."
더구나, 이 두 성분은 학계에서도 항암 효과 여부에 대해 논란이 많은 것들입니다.
<인터뷰> 김대중(교수/충북대 암예방연구실) : "(베타카로틴과 글루코나스투틴은) 임상에서 항암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도 연구가 돼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 종묘업체 인근의 충북 괴산군은 예산을 투입해 100여 농가에 항암 배추 종자를 보급했습니다.
KBS 뉴스 함영구입니다.
- 효능 입증 안 된 ‘항암배추’…예산만 낭비?
-
- 입력 2011-11-10 08:04:54
- 수정2017-01-31 11:31:48

<앵커 멘트>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항암 성분이 있다는 채소와 과일이 주목받고 있는데요.
세계 최초로 ’항암 배추’를 개발했다는 발표가 있었는데, 정작 실험을 한 기관에서는 항암 효능이 없었다고 반박하고 나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함영구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회의원과 농림부 관계자, 지자체장까지 참여해 열린 세계 최초 항암 배추 개발 발표회장. 항암 효과가 있는 ’베타카로틴’과 ’글루코나스투틴’ 성분이 일반 배추보다 30배 이상 많다며 자체 의뢰했던 연구기관의 성분 분석자료도 제시했습니다.
<인터뷰> 박동복(항암 배추 개발 업체) : "수많은 실패를 거듭해서 오늘날 이 항암 배추를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KBS가 입수한 이들 연구기관 중 1곳의 분석 내용은 달랐습니다.
글루코나스투틴 성분의 경우 일반 배추보다 33배 높다고 발표했지만, 배추 겉이 아닌 속은 일반 배추보다 오히려 낮았습니다.
또, 34배 이상이라고 밝힌 베타카로틴의 경우도 항암 배추보다 한 일반 배추 품종이 월등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연구기관은 종묘업체가 분석 자료를 왜곡했다며 자료사용 중단을 요청하고 나섰습니다.
<인터뷰> 박종태(교수/충남대 식물성분 분석센터) : "저희가 판단하기에는 그런 과학적인 근거로 저희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은 잘못됐다는 판단을 내린 거죠."
더구나, 이 두 성분은 학계에서도 항암 효과 여부에 대해 논란이 많은 것들입니다.
<인터뷰> 김대중(교수/충북대 암예방연구실) : "(베타카로틴과 글루코나스투틴은) 임상에서 항암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도 연구가 돼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 종묘업체 인근의 충북 괴산군은 예산을 투입해 100여 농가에 항암 배추 종자를 보급했습니다.
KBS 뉴스 함영구입니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항암 성분이 있다는 채소와 과일이 주목받고 있는데요.
세계 최초로 ’항암 배추’를 개발했다는 발표가 있었는데, 정작 실험을 한 기관에서는 항암 효능이 없었다고 반박하고 나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함영구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회의원과 농림부 관계자, 지자체장까지 참여해 열린 세계 최초 항암 배추 개발 발표회장. 항암 효과가 있는 ’베타카로틴’과 ’글루코나스투틴’ 성분이 일반 배추보다 30배 이상 많다며 자체 의뢰했던 연구기관의 성분 분석자료도 제시했습니다.
<인터뷰> 박동복(항암 배추 개발 업체) : "수많은 실패를 거듭해서 오늘날 이 항암 배추를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KBS가 입수한 이들 연구기관 중 1곳의 분석 내용은 달랐습니다.
글루코나스투틴 성분의 경우 일반 배추보다 33배 높다고 발표했지만, 배추 겉이 아닌 속은 일반 배추보다 오히려 낮았습니다.
또, 34배 이상이라고 밝힌 베타카로틴의 경우도 항암 배추보다 한 일반 배추 품종이 월등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연구기관은 종묘업체가 분석 자료를 왜곡했다며 자료사용 중단을 요청하고 나섰습니다.
<인터뷰> 박종태(교수/충남대 식물성분 분석센터) : "저희가 판단하기에는 그런 과학적인 근거로 저희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은 잘못됐다는 판단을 내린 거죠."
더구나, 이 두 성분은 학계에서도 항암 효과 여부에 대해 논란이 많은 것들입니다.
<인터뷰> 김대중(교수/충북대 암예방연구실) : "(베타카로틴과 글루코나스투틴은) 임상에서 항암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도 연구가 돼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 종묘업체 인근의 충북 괴산군은 예산을 투입해 100여 농가에 항암 배추 종자를 보급했습니다.
KBS 뉴스 함영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