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의무 감축, 우리도 발등의 불

입력 2011.12.12 (23: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어제 채택된 더반 기후협약에 따라 오는 2020년부터 우리를 포함해 전 세계 국가들이 온실가스 의무감축에 들어갑니다.

우리에게도 발등의 불인데, 이런 조치로도 기후 재앙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용태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끝없이 뿜어내는 굴뚝 연기, 그 속엔 온실가스가 있습니다.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은 지난 2000년 5억 천만 톤에서 2009년 6억 톤으로 거침없이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제동이 걸렸습니다.

어제 채택된 더반 기후협약에 따라 오는 2020년부터는 세계 모든 국가가 의무감축에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가 선진국의 절반 수준으로 감축의무를 지더라도 지금의 배출량의 절반 수준인 3억 톤 이하로 줄여야 합니다.

<인터뷰> 이재현(환경부 기후대기정책관):"온실가스 감축 정책이 보다 빠르게, 보다 강화돼야 한다는 것이죠. 그것이 산업체에 이득이 되고..."

정부는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도입해 오는 15년부터는 배출량을 줄이겠다는 목표입니다.

하지만 배출권 거래제 법안은 현재 국회에서 논의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이러다가는 오는 15년 제도를 시행할 수 있을지조차 의문입니다.

더욱이, 더반 협약이 전지구적인 재앙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2020년에야 의무감축에 들어갈 경우 마지노선인 2도 이내 상승 목표를 달성하기엔 너무 늦다는 겁니다.

<인터뷰> 안병옥(기후변화행동연구소 소장):"2도 이내로 막기 위한 어떤 절대절명의 과제를 갖고 있는데 이 시나리오대로 가면 3도에서 4도 올라갈 것이다."

미국과 중국 등 주요 배출 국가들이 자국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가운데 기후 재앙은 점점 빠르게 다가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용태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온실가스 의무 감축, 우리도 발등의 불
    • 입력 2011-12-12 23:42:02
    뉴스라인 W
<앵커 멘트> 어제 채택된 더반 기후협약에 따라 오는 2020년부터 우리를 포함해 전 세계 국가들이 온실가스 의무감축에 들어갑니다. 우리에게도 발등의 불인데, 이런 조치로도 기후 재앙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용태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끝없이 뿜어내는 굴뚝 연기, 그 속엔 온실가스가 있습니다.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은 지난 2000년 5억 천만 톤에서 2009년 6억 톤으로 거침없이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제동이 걸렸습니다. 어제 채택된 더반 기후협약에 따라 오는 2020년부터는 세계 모든 국가가 의무감축에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가 선진국의 절반 수준으로 감축의무를 지더라도 지금의 배출량의 절반 수준인 3억 톤 이하로 줄여야 합니다. <인터뷰> 이재현(환경부 기후대기정책관):"온실가스 감축 정책이 보다 빠르게, 보다 강화돼야 한다는 것이죠. 그것이 산업체에 이득이 되고..." 정부는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도입해 오는 15년부터는 배출량을 줄이겠다는 목표입니다. 하지만 배출권 거래제 법안은 현재 국회에서 논의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이러다가는 오는 15년 제도를 시행할 수 있을지조차 의문입니다. 더욱이, 더반 협약이 전지구적인 재앙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2020년에야 의무감축에 들어갈 경우 마지노선인 2도 이내 상승 목표를 달성하기엔 너무 늦다는 겁니다. <인터뷰> 안병옥(기후변화행동연구소 소장):"2도 이내로 막기 위한 어떤 절대절명의 과제를 갖고 있는데 이 시나리오대로 가면 3도에서 4도 올라갈 것이다." 미국과 중국 등 주요 배출 국가들이 자국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가운데 기후 재앙은 점점 빠르게 다가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용태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