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성인 38%, 뇌졸중 증상 잘 몰라”
입력 2012.01.02 (16:02) 수정 2012.01.02 (19:25) 건강·생활
우리나라 성인 10명 가운데 4명은 뇌졸중 증상에 대해 잘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 신경과 연구진이 성인 천 명을 대상으로 뇌졸중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마비와 언어장애, 의식 저하와 현기증 같은 여러 가지 뇌졸중 증상 가운데 단 하나도 알지 못한다는 응답자가 38%에 달했습니다.
또 응답자의 56%는 고혈압과 과음, 흡연과 고지혈증 등이 뇌졸중 위험 요인이라는 것도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급성 뇌졸중의 표준 치료법인 혈전용해제에 대해서는 31%만이 알고 있었으며, 발병 직후 구급차를 타고 응급실로 가겠다는 응답도 33%에 그쳤습니다.
단일질환으로는 국내 사망률 1위인 뇌졸중은 발병 후 3시간 이내에 치료를 받는 게 중요하며, 이는 혈관이 막혔을 때 뇌세포가 버틸 수 있는 시간이 3시간이기 때문이라고 연구진은 설명했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 신경과 연구진이 성인 천 명을 대상으로 뇌졸중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마비와 언어장애, 의식 저하와 현기증 같은 여러 가지 뇌졸중 증상 가운데 단 하나도 알지 못한다는 응답자가 38%에 달했습니다.
또 응답자의 56%는 고혈압과 과음, 흡연과 고지혈증 등이 뇌졸중 위험 요인이라는 것도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급성 뇌졸중의 표준 치료법인 혈전용해제에 대해서는 31%만이 알고 있었으며, 발병 직후 구급차를 타고 응급실로 가겠다는 응답도 33%에 그쳤습니다.
단일질환으로는 국내 사망률 1위인 뇌졸중은 발병 후 3시간 이내에 치료를 받는 게 중요하며, 이는 혈관이 막혔을 때 뇌세포가 버틸 수 있는 시간이 3시간이기 때문이라고 연구진은 설명했습니다.
- “성인 38%, 뇌졸중 증상 잘 몰라”
-
- 입력 2012-01-02 16:02:17
- 수정2012-01-02 19:25:25
우리나라 성인 10명 가운데 4명은 뇌졸중 증상에 대해 잘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 신경과 연구진이 성인 천 명을 대상으로 뇌졸중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마비와 언어장애, 의식 저하와 현기증 같은 여러 가지 뇌졸중 증상 가운데 단 하나도 알지 못한다는 응답자가 38%에 달했습니다.
또 응답자의 56%는 고혈압과 과음, 흡연과 고지혈증 등이 뇌졸중 위험 요인이라는 것도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급성 뇌졸중의 표준 치료법인 혈전용해제에 대해서는 31%만이 알고 있었으며, 발병 직후 구급차를 타고 응급실로 가겠다는 응답도 33%에 그쳤습니다.
단일질환으로는 국내 사망률 1위인 뇌졸중은 발병 후 3시간 이내에 치료를 받는 게 중요하며, 이는 혈관이 막혔을 때 뇌세포가 버틸 수 있는 시간이 3시간이기 때문이라고 연구진은 설명했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 신경과 연구진이 성인 천 명을 대상으로 뇌졸중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마비와 언어장애, 의식 저하와 현기증 같은 여러 가지 뇌졸중 증상 가운데 단 하나도 알지 못한다는 응답자가 38%에 달했습니다.
또 응답자의 56%는 고혈압과 과음, 흡연과 고지혈증 등이 뇌졸중 위험 요인이라는 것도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급성 뇌졸중의 표준 치료법인 혈전용해제에 대해서는 31%만이 알고 있었으며, 발병 직후 구급차를 타고 응급실로 가겠다는 응답도 33%에 그쳤습니다.
단일질환으로는 국내 사망률 1위인 뇌졸중은 발병 후 3시간 이내에 치료를 받는 게 중요하며, 이는 혈관이 막혔을 때 뇌세포가 버틸 수 있는 시간이 3시간이기 때문이라고 연구진은 설명했습니다.
- 기자 정보
-
-
박석호 기자 parkseokho@kbs.co.kr
박석호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