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65% “약효 같으면 더 싼 약 먹겠다”

입력 2012.02.14 (12:02) 수정 2012.02.14 (16: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 국민의 60% 이상은 약효가 서로 같은 약이라면 더 싼 약으로 바꿔 먹겠다고 응답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지난해 10월 전국의 20살 이상 성인남녀 천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65%가 동일한 약효라고 공표된 약 중 의사가 비싼 약을 처방하면, 더 싼 약으로 대체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또, 모든 연령에서 더 싼 약으로 대체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60% 이상이었고, 20대에서 40대까지는 66에서 67%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습니다.

이같은 결과는 처방 또는 조제 시점에 환자가 약의 가격을 알게 된다면 스스로 더 싼 약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심평원은 설명했습니다.

반면, 3백53명은 더 싼 약으로 바꾸지 않고 처방 받은 약으로 사겠다고 응답했으며, 그 이유로는 '처방 의사의 의견을 존중하기 때문'이 56%로 가장 많았고, '처방 받은 약과 저렴한 약의 약효가 같다고 확신할 수 없기 때문'이 35%였습니다.

심평원은 이와 관련해 소비자가 의약품 처방이나 조제 시점에 처방받은 약의 효능이나 성분 대체가 가능한 약의 종류나 가격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 앱을 지난달 출시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민 65% “약효 같으면 더 싼 약 먹겠다”
    • 입력 2012-02-14 12:02:26
    • 수정2012-02-14 16:55:32
    생활·건강
우리 국민의 60% 이상은 약효가 서로 같은 약이라면 더 싼 약으로 바꿔 먹겠다고 응답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지난해 10월 전국의 20살 이상 성인남녀 천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65%가 동일한 약효라고 공표된 약 중 의사가 비싼 약을 처방하면, 더 싼 약으로 대체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또, 모든 연령에서 더 싼 약으로 대체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60% 이상이었고, 20대에서 40대까지는 66에서 67%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습니다. 이같은 결과는 처방 또는 조제 시점에 환자가 약의 가격을 알게 된다면 스스로 더 싼 약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심평원은 설명했습니다. 반면, 3백53명은 더 싼 약으로 바꾸지 않고 처방 받은 약으로 사겠다고 응답했으며, 그 이유로는 '처방 의사의 의견을 존중하기 때문'이 56%로 가장 많았고, '처방 받은 약과 저렴한 약의 약효가 같다고 확신할 수 없기 때문'이 35%였습니다. 심평원은 이와 관련해 소비자가 의약품 처방이나 조제 시점에 처방받은 약의 효능이나 성분 대체가 가능한 약의 종류나 가격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 앱을 지난달 출시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