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앵커 멘트>
학교폭력이 고학년에서 저학년으로 대물림되면서 점점 잔혹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행정기관과 교육당국이 쏟아내는 대책들은 보여주기에 급급해 실효를 거두기 힘들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보도에 신지원 기자입니다.
<리포트>
저수지로 집어던지고, 머리 위로 음료수를 붓기도 합니다.
대구 모 고등학교 선배들이 후배에게 휘두른 학교폭력 동영상입니다.
폭력은 대물림되면서 3백 차례 넘게 자행됐습니다.
<인터뷰>배봉길(대구 수성경찰서장) : "선후배 간 기강 확립 차원에서 폭행, 가혹, 성추행 행위가 있었습니다."
중학생 자살사건에 이은 폭력 대물림까지, 잔혹해지고 있는 학교폭력에 맞서 폭력 근절대책도 쏟아지고 있습니다.
대구시와 교육청은 구군별로 학교폭력대책위를 설치하고 가해학생의 처벌수위를 크게 강화하는 등 수십 개의 대책을 내놨습니다.
하지만, 실효성이 없는 대책이라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대책 가운데 복수담임제는 교사수급상 실현가능성이 거의 없고 의무 체육시간이 생기면서 전체 수업시간도 늘어나게 돼 학생 상담시간은 턱없이 줄었습니다.
학생과 교사를 배제한 채 급하게 대책을 세운 탓입니다.
<녹취> 전형권(전교조 대구지부장) : "학생들이 학생규정 만들 때 참가해 스스로 지킬 수 있도록 약속하고, 지켜나가는 문화를 만들어야 합니다."
도를 넘어선 학교폭력, 전시성 대책으로는 해결할 수 없습니다.
KBS 뉴스 신지원입니다.
학교폭력이 고학년에서 저학년으로 대물림되면서 점점 잔혹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행정기관과 교육당국이 쏟아내는 대책들은 보여주기에 급급해 실효를 거두기 힘들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보도에 신지원 기자입니다.
<리포트>
저수지로 집어던지고, 머리 위로 음료수를 붓기도 합니다.
대구 모 고등학교 선배들이 후배에게 휘두른 학교폭력 동영상입니다.
폭력은 대물림되면서 3백 차례 넘게 자행됐습니다.
<인터뷰>배봉길(대구 수성경찰서장) : "선후배 간 기강 확립 차원에서 폭행, 가혹, 성추행 행위가 있었습니다."
중학생 자살사건에 이은 폭력 대물림까지, 잔혹해지고 있는 학교폭력에 맞서 폭력 근절대책도 쏟아지고 있습니다.
대구시와 교육청은 구군별로 학교폭력대책위를 설치하고 가해학생의 처벌수위를 크게 강화하는 등 수십 개의 대책을 내놨습니다.
하지만, 실효성이 없는 대책이라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대책 가운데 복수담임제는 교사수급상 실현가능성이 거의 없고 의무 체육시간이 생기면서 전체 수업시간도 늘어나게 돼 학생 상담시간은 턱없이 줄었습니다.
학생과 교사를 배제한 채 급하게 대책을 세운 탓입니다.
<녹취> 전형권(전교조 대구지부장) : "학생들이 학생규정 만들 때 참가해 스스로 지킬 수 있도록 약속하고, 지켜나가는 문화를 만들어야 합니다."
도를 넘어선 학교폭력, 전시성 대책으로는 해결할 수 없습니다.
KBS 뉴스 신지원입니다.
- 학교폭력 대책 보여주기 급급…실효성 의문
-
- 입력 2012-02-17 13:01:12

<앵커 멘트>
학교폭력이 고학년에서 저학년으로 대물림되면서 점점 잔혹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행정기관과 교육당국이 쏟아내는 대책들은 보여주기에 급급해 실효를 거두기 힘들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보도에 신지원 기자입니다.
<리포트>
저수지로 집어던지고, 머리 위로 음료수를 붓기도 합니다.
대구 모 고등학교 선배들이 후배에게 휘두른 학교폭력 동영상입니다.
폭력은 대물림되면서 3백 차례 넘게 자행됐습니다.
<인터뷰>배봉길(대구 수성경찰서장) : "선후배 간 기강 확립 차원에서 폭행, 가혹, 성추행 행위가 있었습니다."
중학생 자살사건에 이은 폭력 대물림까지, 잔혹해지고 있는 학교폭력에 맞서 폭력 근절대책도 쏟아지고 있습니다.
대구시와 교육청은 구군별로 학교폭력대책위를 설치하고 가해학생의 처벌수위를 크게 강화하는 등 수십 개의 대책을 내놨습니다.
하지만, 실효성이 없는 대책이라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대책 가운데 복수담임제는 교사수급상 실현가능성이 거의 없고 의무 체육시간이 생기면서 전체 수업시간도 늘어나게 돼 학생 상담시간은 턱없이 줄었습니다.
학생과 교사를 배제한 채 급하게 대책을 세운 탓입니다.
<녹취> 전형권(전교조 대구지부장) : "학생들이 학생규정 만들 때 참가해 스스로 지킬 수 있도록 약속하고, 지켜나가는 문화를 만들어야 합니다."
도를 넘어선 학교폭력, 전시성 대책으로는 해결할 수 없습니다.
KBS 뉴스 신지원입니다.
학교폭력이 고학년에서 저학년으로 대물림되면서 점점 잔혹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행정기관과 교육당국이 쏟아내는 대책들은 보여주기에 급급해 실효를 거두기 힘들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보도에 신지원 기자입니다.
<리포트>
저수지로 집어던지고, 머리 위로 음료수를 붓기도 합니다.
대구 모 고등학교 선배들이 후배에게 휘두른 학교폭력 동영상입니다.
폭력은 대물림되면서 3백 차례 넘게 자행됐습니다.
<인터뷰>배봉길(대구 수성경찰서장) : "선후배 간 기강 확립 차원에서 폭행, 가혹, 성추행 행위가 있었습니다."
중학생 자살사건에 이은 폭력 대물림까지, 잔혹해지고 있는 학교폭력에 맞서 폭력 근절대책도 쏟아지고 있습니다.
대구시와 교육청은 구군별로 학교폭력대책위를 설치하고 가해학생의 처벌수위를 크게 강화하는 등 수십 개의 대책을 내놨습니다.
하지만, 실효성이 없는 대책이라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대책 가운데 복수담임제는 교사수급상 실현가능성이 거의 없고 의무 체육시간이 생기면서 전체 수업시간도 늘어나게 돼 학생 상담시간은 턱없이 줄었습니다.
학생과 교사를 배제한 채 급하게 대책을 세운 탓입니다.
<녹취> 전형권(전교조 대구지부장) : "학생들이 학생규정 만들 때 참가해 스스로 지킬 수 있도록 약속하고, 지켜나가는 문화를 만들어야 합니다."
도를 넘어선 학교폭력, 전시성 대책으로는 해결할 수 없습니다.
KBS 뉴스 신지원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 12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신지원 기자 4you@kbs.co.kr
신지원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