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어린이집 집단 휴원 돌입…“큰 차질 없어”
입력 2012.02.27 (19:34)
수정 2012.02.27 (19: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전국 민간 어린이집들이 보육료 현실화 등을 요구하며 오늘부터 일부가 집단 휴업에 들어갔습니다.
하지만 실제 문을 닫은 어린이집이 적고 대부분 어린이집이 당직교사를 배치해 큰 혼란은 없었습니다.
한승복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어린이집총연합회 민간분과위원회가 보육료 현실화와 교사 처우 개선 등을 요구하며 다음달 2일까지 집단휴원을 선언한 가운데, 일부 어린이집이 오늘 문을 닫았습니다.
하지만 실제 완전 휴원한 어린이집은 거의 없어서 우려했던 큰 혼란은 없었습니다.
대구와 대전, 광주 등 8개 지역은 휴원에 동참하지 않기로 한데다 서울과 경기 등 7개 광역지자체에서도 5% 정도만 완전휴업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오늘 오전 수도권 민간어린이집 8백 곳에 전화를 걸어 확인한 결과 94%가 아이들을 받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구체적으로는 81.5%가 정상운영을 하고 있었고, 12.8%는 당직교사를 배치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이와관련해 어린이집연합회 측은 오늘 추가 성명을 내고 보육 현장의 목소리를 정부가 내부 선거용으로 왜곡하고 있다며 오는 29일에는 당직 교사 없이 100% 휴원에 들어가겠다고 선언했습니다.
정부는 앞으로 휴원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는 한편 어린이집 측과 대화를 통해 사태 해결을 시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영유아를 볼모로 한 집단행동은 용납할 수 없으며 휴원한 어린이집에 대해서는 관련법에 따라 운영정지 처분 등 강력 대처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현재 전국 어린이집 4만여 곳 가운데 민간 어린이집은 만 5천여 곳으로 75만명의 원아를 보육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한승복입니다.
전국 민간 어린이집들이 보육료 현실화 등을 요구하며 오늘부터 일부가 집단 휴업에 들어갔습니다.
하지만 실제 문을 닫은 어린이집이 적고 대부분 어린이집이 당직교사를 배치해 큰 혼란은 없었습니다.
한승복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어린이집총연합회 민간분과위원회가 보육료 현실화와 교사 처우 개선 등을 요구하며 다음달 2일까지 집단휴원을 선언한 가운데, 일부 어린이집이 오늘 문을 닫았습니다.
하지만 실제 완전 휴원한 어린이집은 거의 없어서 우려했던 큰 혼란은 없었습니다.
대구와 대전, 광주 등 8개 지역은 휴원에 동참하지 않기로 한데다 서울과 경기 등 7개 광역지자체에서도 5% 정도만 완전휴업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오늘 오전 수도권 민간어린이집 8백 곳에 전화를 걸어 확인한 결과 94%가 아이들을 받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구체적으로는 81.5%가 정상운영을 하고 있었고, 12.8%는 당직교사를 배치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이와관련해 어린이집연합회 측은 오늘 추가 성명을 내고 보육 현장의 목소리를 정부가 내부 선거용으로 왜곡하고 있다며 오는 29일에는 당직 교사 없이 100% 휴원에 들어가겠다고 선언했습니다.
정부는 앞으로 휴원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는 한편 어린이집 측과 대화를 통해 사태 해결을 시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영유아를 볼모로 한 집단행동은 용납할 수 없으며 휴원한 어린이집에 대해서는 관련법에 따라 운영정지 처분 등 강력 대처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현재 전국 어린이집 4만여 곳 가운데 민간 어린이집은 만 5천여 곳으로 75만명의 원아를 보육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한승복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민간 어린이집 집단 휴원 돌입…“큰 차질 없어”
-
- 입력 2012-02-27 19:34:03
- 수정2012-02-27 19:42:08
<앵커 멘트>
전국 민간 어린이집들이 보육료 현실화 등을 요구하며 오늘부터 일부가 집단 휴업에 들어갔습니다.
하지만 실제 문을 닫은 어린이집이 적고 대부분 어린이집이 당직교사를 배치해 큰 혼란은 없었습니다.
한승복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어린이집총연합회 민간분과위원회가 보육료 현실화와 교사 처우 개선 등을 요구하며 다음달 2일까지 집단휴원을 선언한 가운데, 일부 어린이집이 오늘 문을 닫았습니다.
하지만 실제 완전 휴원한 어린이집은 거의 없어서 우려했던 큰 혼란은 없었습니다.
대구와 대전, 광주 등 8개 지역은 휴원에 동참하지 않기로 한데다 서울과 경기 등 7개 광역지자체에서도 5% 정도만 완전휴업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오늘 오전 수도권 민간어린이집 8백 곳에 전화를 걸어 확인한 결과 94%가 아이들을 받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구체적으로는 81.5%가 정상운영을 하고 있었고, 12.8%는 당직교사를 배치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이와관련해 어린이집연합회 측은 오늘 추가 성명을 내고 보육 현장의 목소리를 정부가 내부 선거용으로 왜곡하고 있다며 오는 29일에는 당직 교사 없이 100% 휴원에 들어가겠다고 선언했습니다.
정부는 앞으로 휴원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는 한편 어린이집 측과 대화를 통해 사태 해결을 시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영유아를 볼모로 한 집단행동은 용납할 수 없으며 휴원한 어린이집에 대해서는 관련법에 따라 운영정지 처분 등 강력 대처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현재 전국 어린이집 4만여 곳 가운데 민간 어린이집은 만 5천여 곳으로 75만명의 원아를 보육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한승복입니다.
-
-
한승복 기자 seungbok@kbs.co.kr
한승복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