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환자 배우자, 심혈관질환 위험↑

입력 2012.04.04 (10:13) 수정 2012.04.04 (16: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암환자의 배우자는 관상동맥질환(심장병)과 뇌졸중 위험이 높아진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스웨덴 룬드 대학 보건의료연구소의 지젠광(Jianguang Ji) 박사는 암환자의 배우자는 보통사람들에 비해 관상동맥질환과 뇌졸중을 겪을 위험이 13-29%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힌 것으로 과학뉴스 포털 피조그 닷컴(Physorg.com)이 3일 보도했다.



이 같은 사실은 스웨덴의 전국암환자등록부와 전국입원환자등록부의 자료를 조사분석한 결과 밝혀졌다.



지 박사는 가장 큰 이유로 암환자의 배우자가 겪게 되는 부정적 스트레스(negative stress)를 꼽았다.



부정적 스트레스란 개인의 능력으로는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말한다.



만성질환, 특히 암 환자를 돌보는 보호자가 정신적 스트레스와 우울증을 겪을 가능성이 많다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다.



이는 신경계, 혈압, 염증에 영향을 미쳐 관상동맥질환과 뇌졸중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지 박사는 지적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심장학회(AHA) 학술지 '순환(Circulation)' 최신호에 실렸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암환자 배우자, 심혈관질환 위험↑
    • 입력 2012-04-04 10:13:11
    • 수정2012-04-04 16:16:59
    연합뉴스
암환자의 배우자는 관상동맥질환(심장병)과 뇌졸중 위험이 높아진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스웨덴 룬드 대학 보건의료연구소의 지젠광(Jianguang Ji) 박사는 암환자의 배우자는 보통사람들에 비해 관상동맥질환과 뇌졸중을 겪을 위험이 13-29%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힌 것으로 과학뉴스 포털 피조그 닷컴(Physorg.com)이 3일 보도했다.

이 같은 사실은 스웨덴의 전국암환자등록부와 전국입원환자등록부의 자료를 조사분석한 결과 밝혀졌다.

지 박사는 가장 큰 이유로 암환자의 배우자가 겪게 되는 부정적 스트레스(negative stress)를 꼽았다.

부정적 스트레스란 개인의 능력으로는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말한다.

만성질환, 특히 암 환자를 돌보는 보호자가 정신적 스트레스와 우울증을 겪을 가능성이 많다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다.

이는 신경계, 혈압, 염증에 영향을 미쳐 관상동맥질환과 뇌졸중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지 박사는 지적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심장학회(AHA) 학술지 '순환(Circulation)' 최신호에 실렸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