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내륙은 무더위…강원산간·동해안 “추워요!”
입력 2012.06.16 (21:42) 뉴스 9
<앵커 멘트>
이와는 대조적으로 강원 산간과 동해안 지역엔 때아닌 저온 현상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일주일 가까이 기온이 20도 아래로 내려가면서 점퍼에 난로까지 등장했습니다.
박원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시원하게 물살을 가르며 더위를 한 방에 날려 버립니다.
솜씨는 어설프지만, 마냥 즐겁기만 합니다.
<인터뷰> 강형구(전남 나주시 봉황면) : "더위가 싹 가시네요. 물 많이 먹었네요. 정말 시원하고, 여름에 이것보다 더 좋은 건 없는 것 같아요."
하지만, 강원 산간지역은 사정이 다릅니다.
겨울에나 볼 법한 연탄난로가 여전히 뜨끈뜨끈합니다.
<인터뷰> 김복순(주민) : "쌀쌀하고 추우니까 위에 점퍼 같은 거 걸쳐 입어야 되는데, 그러면 아무래도 일하는데 불편하니까 난롯불도 피우는 거죠."
동해안 해수욕장도 마찬가지. 수온이 낮아 들어가기 어렵습니다.
이달 개장해 인파가 북적이는 남. 서해안 해수욕장과 대조적입니다.
<인터뷰> 이재용(서울시 동작구 사당동) : "물에 들어갈 생각이 있었지만, 지금 날씨에서는 들어가기가 조금……. 많이 온도 차이가 크기 때문에."
농작물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저온 현상이 빈번하게 나타나면 농작물 발육 부진이나 병충해가 나타날 가능성이 커 농민들도 우려가 큽니다.
<인터뷰> 김성기(벼 재배 농민) : "지금 시기적으로 한 30㎝는 커야 되는데 지금 20㎝ 정도 밖에 안 됩니다. 평년보다 10㎝는 적게 크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강릉지역은 오늘만 22도까지 올랐을 뿐, 지난 12일부터 나흘 동안이나 20도를 밑도는 저온현상을 보였습니다.
서늘한 동풍이 계속 불어오면서 동해안에는 저온 현상이 나타났고, 이 바람이 백두대간을 넘으며 고온 건조해지는 푄현상으로 내륙 지역은 더워진 겁니다.
기상청은, 동해안의 이런 저온 현상이, 내일부터는 누그러지면서 전국 대부분 지역이 무더워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또 제주도는 다음주에 장맛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했습니다.
KBS 뉴스, 박원기입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강원 산간과 동해안 지역엔 때아닌 저온 현상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일주일 가까이 기온이 20도 아래로 내려가면서 점퍼에 난로까지 등장했습니다.
박원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시원하게 물살을 가르며 더위를 한 방에 날려 버립니다.
솜씨는 어설프지만, 마냥 즐겁기만 합니다.
<인터뷰> 강형구(전남 나주시 봉황면) : "더위가 싹 가시네요. 물 많이 먹었네요. 정말 시원하고, 여름에 이것보다 더 좋은 건 없는 것 같아요."
하지만, 강원 산간지역은 사정이 다릅니다.
겨울에나 볼 법한 연탄난로가 여전히 뜨끈뜨끈합니다.
<인터뷰> 김복순(주민) : "쌀쌀하고 추우니까 위에 점퍼 같은 거 걸쳐 입어야 되는데, 그러면 아무래도 일하는데 불편하니까 난롯불도 피우는 거죠."
동해안 해수욕장도 마찬가지. 수온이 낮아 들어가기 어렵습니다.
이달 개장해 인파가 북적이는 남. 서해안 해수욕장과 대조적입니다.
<인터뷰> 이재용(서울시 동작구 사당동) : "물에 들어갈 생각이 있었지만, 지금 날씨에서는 들어가기가 조금……. 많이 온도 차이가 크기 때문에."
농작물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저온 현상이 빈번하게 나타나면 농작물 발육 부진이나 병충해가 나타날 가능성이 커 농민들도 우려가 큽니다.
<인터뷰> 김성기(벼 재배 농민) : "지금 시기적으로 한 30㎝는 커야 되는데 지금 20㎝ 정도 밖에 안 됩니다. 평년보다 10㎝는 적게 크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강릉지역은 오늘만 22도까지 올랐을 뿐, 지난 12일부터 나흘 동안이나 20도를 밑도는 저온현상을 보였습니다.
서늘한 동풍이 계속 불어오면서 동해안에는 저온 현상이 나타났고, 이 바람이 백두대간을 넘으며 고온 건조해지는 푄현상으로 내륙 지역은 더워진 겁니다.
기상청은, 동해안의 이런 저온 현상이, 내일부터는 누그러지면서 전국 대부분 지역이 무더워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또 제주도는 다음주에 장맛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했습니다.
KBS 뉴스, 박원기입니다.
- 내륙은 무더위…강원산간·동해안 “추워요!”
-
- 입력 2012-06-16 21:42:45

<앵커 멘트>
이와는 대조적으로 강원 산간과 동해안 지역엔 때아닌 저온 현상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일주일 가까이 기온이 20도 아래로 내려가면서 점퍼에 난로까지 등장했습니다.
박원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시원하게 물살을 가르며 더위를 한 방에 날려 버립니다.
솜씨는 어설프지만, 마냥 즐겁기만 합니다.
<인터뷰> 강형구(전남 나주시 봉황면) : "더위가 싹 가시네요. 물 많이 먹었네요. 정말 시원하고, 여름에 이것보다 더 좋은 건 없는 것 같아요."
하지만, 강원 산간지역은 사정이 다릅니다.
겨울에나 볼 법한 연탄난로가 여전히 뜨끈뜨끈합니다.
<인터뷰> 김복순(주민) : "쌀쌀하고 추우니까 위에 점퍼 같은 거 걸쳐 입어야 되는데, 그러면 아무래도 일하는데 불편하니까 난롯불도 피우는 거죠."
동해안 해수욕장도 마찬가지. 수온이 낮아 들어가기 어렵습니다.
이달 개장해 인파가 북적이는 남. 서해안 해수욕장과 대조적입니다.
<인터뷰> 이재용(서울시 동작구 사당동) : "물에 들어갈 생각이 있었지만, 지금 날씨에서는 들어가기가 조금……. 많이 온도 차이가 크기 때문에."
농작물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저온 현상이 빈번하게 나타나면 농작물 발육 부진이나 병충해가 나타날 가능성이 커 농민들도 우려가 큽니다.
<인터뷰> 김성기(벼 재배 농민) : "지금 시기적으로 한 30㎝는 커야 되는데 지금 20㎝ 정도 밖에 안 됩니다. 평년보다 10㎝는 적게 크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강릉지역은 오늘만 22도까지 올랐을 뿐, 지난 12일부터 나흘 동안이나 20도를 밑도는 저온현상을 보였습니다.
서늘한 동풍이 계속 불어오면서 동해안에는 저온 현상이 나타났고, 이 바람이 백두대간을 넘으며 고온 건조해지는 푄현상으로 내륙 지역은 더워진 겁니다.
기상청은, 동해안의 이런 저온 현상이, 내일부터는 누그러지면서 전국 대부분 지역이 무더워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또 제주도는 다음주에 장맛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했습니다.
KBS 뉴스, 박원기입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강원 산간과 동해안 지역엔 때아닌 저온 현상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일주일 가까이 기온이 20도 아래로 내려가면서 점퍼에 난로까지 등장했습니다.
박원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시원하게 물살을 가르며 더위를 한 방에 날려 버립니다.
솜씨는 어설프지만, 마냥 즐겁기만 합니다.
<인터뷰> 강형구(전남 나주시 봉황면) : "더위가 싹 가시네요. 물 많이 먹었네요. 정말 시원하고, 여름에 이것보다 더 좋은 건 없는 것 같아요."
하지만, 강원 산간지역은 사정이 다릅니다.
겨울에나 볼 법한 연탄난로가 여전히 뜨끈뜨끈합니다.
<인터뷰> 김복순(주민) : "쌀쌀하고 추우니까 위에 점퍼 같은 거 걸쳐 입어야 되는데, 그러면 아무래도 일하는데 불편하니까 난롯불도 피우는 거죠."
동해안 해수욕장도 마찬가지. 수온이 낮아 들어가기 어렵습니다.
이달 개장해 인파가 북적이는 남. 서해안 해수욕장과 대조적입니다.
<인터뷰> 이재용(서울시 동작구 사당동) : "물에 들어갈 생각이 있었지만, 지금 날씨에서는 들어가기가 조금……. 많이 온도 차이가 크기 때문에."
농작물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저온 현상이 빈번하게 나타나면 농작물 발육 부진이나 병충해가 나타날 가능성이 커 농민들도 우려가 큽니다.
<인터뷰> 김성기(벼 재배 농민) : "지금 시기적으로 한 30㎝는 커야 되는데 지금 20㎝ 정도 밖에 안 됩니다. 평년보다 10㎝는 적게 크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강릉지역은 오늘만 22도까지 올랐을 뿐, 지난 12일부터 나흘 동안이나 20도를 밑도는 저온현상을 보였습니다.
서늘한 동풍이 계속 불어오면서 동해안에는 저온 현상이 나타났고, 이 바람이 백두대간을 넘으며 고온 건조해지는 푄현상으로 내륙 지역은 더워진 겁니다.
기상청은, 동해안의 이런 저온 현상이, 내일부터는 누그러지면서 전국 대부분 지역이 무더워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또 제주도는 다음주에 장맛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했습니다.
KBS 뉴스, 박원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 9 전체보기
- 기자 정보